홍계 월전 전문 - hong-gye woljeon jeonmun

 글  이정원

전라북도 완주군에서 태어나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나왔다. 서강대학교에서 논문 〈기술 판소리 문학의 수용미학적 연구〉로 석사 학위를, 〈조선조 애정 전기소설의 소설시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에서 안성 방각본을, 세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산업연구소에서 캐릭터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신작 구소설을 연구했다. 지금은 경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 〈장화홍련전의 환상성〉, 〈애정 전기소설사 초기의 서사적 성격〉, 〈신작 구소설의 근대성〉이 있고, 대표 저서로 《전을 범하다》가 있다. 

그림  이수진

대학에서 한국화를 공부하고, 일본 소케이 미술전문학교,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대학원에서 일러스트레이션을 공부했다. 2012년 일본 고잔상을 받았으며, 그린 책으로는 《가시내》, 《재주 있는 처녀》, 《조마구》 등이 있다. 

기획  전국국어교사모임 

전국국어교사모임은 1988년 ‘국어교육을 위한 교사모임’으로 시작해 국어 교육의 올바른 길을 찾기 위해 애쓰는 국어 교사들의 연구‧실천 모임이다. 신나고 재미있는 국어 수업, 삶을 나누는 국어 교육을 꿈꾸며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읽기 자료와 국어 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국어 교육 이론서를 기획하고 집필하는 데 애쓰고 있다.

홍계 월전 전문 - hong-gye woljeon jeonmun

  • ȫ�����
  • ���� : ������ ���ǻ� : �޸ӴϽ�Ʈ ������ : 2015.06.01
  • �Ҽӵ�����: ����û  ���� ���: ����Ʈ�� ���డ��  ���� : EPUB ����
  • ī�װ��� : �ι�>�ι��л�å ����� : ��������
  • ��õ��: 0  ���� : 0/5 �ݳ������� : 2023.01.02 ���� : 0
  • �������� ����å ����Ʈ�� �̿�ȳ�


���� ���� ȫ���, ����� ���� �Ǿ� ����ij�� ����ġ�� ���� ���ϴ�

ȫ����� �θ�� ��ư� ���� ���� � ���̿� �θ�� ���̺��ϸ���� ������ ���� ����� ���̱� ���� ���� ���� ���� �Ƶ�� �⸨�ϴ�. �̷� ��¿��� �ᱹ ����� �Ž��� �� ������ ����� ��θ� ���� �й��� ������ ��� �� �����Ϳ� ���ư� ū ���� �����, ������� ģ�θ�͵� �ٽ� ���� ��ȭ�� �����ϴ�. �������� �پ �ɷ°� ��������� �����͸� �ָ����� ȫ����� ������ ���ǽ��� ���� �����Ǵ� ��ȸ �����⿡�� ���� �ı� �������� ������ �Ǿ���� �ھƽ����� ����� �������� �������� �� ������ ���� �����Դϴ�.

작품 개관
갈래 : 군담 소설, 여성 영웅 소설
성격 : 영웅적, 일대기적
배경 : 명나라 서달의 난 시기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편집자적 논평
주제 : 홍계월의 영웅적인 행적과 활약
특징 1. 여성의 봉건적 역할을 거부하는 근대적 가치관이 담겨 있음
2. 남성보다 여성을 주체적, 의지적으로 표현
3. 신분을 감추기 위한 남장 모티브가 사용됨
4. 서술자의 주관적 평가가 담김

작품의 전체 구성과 영웅의 일대기 구조

홍계 월전 전문 - hong-gye woljeon jeonmun

여성 영웅 소설의 발생
조선후기 '임진왜란, 병자호란' 양란을 겪은 후에 지배층에 대해 민중이 실망함.
또한 패전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민족적인 보상심리가 생김.
그래서 영웅소설과 군담소설이 많이 발생하기 시작.

양란 이후에 유교 사회의 무능함과 모순이 드러남

개인의 능력 강조하는 사회분위기 (+ 실학, 천주교)
(몰락 양반, 부농이 생성되어 계층이 뒤죽박죽됨)
참고) 성리학은 '예'를 통해 인간의 본성을 누르려 함 실학은 인간의 본성을 그대로 인정 천주교는 기본적으로 평등이 원칙 ☞ 여성 영웅 소설이 등장할 수 있었음

<홍계월전>에 담긴 여성 의식
1. 주체적인 한 인간으로서의 여성의 능력을 인정함.
계월이 남편인 보국과의 갈등을 능력의 우월함으로 해결하는 것은
남성의 권위에서 벗어나지 못하던 기존 여성 영웅 소설의 한계를 과감히 탈피한 것.
2. 새로운 시대에 맞는 여성상 제시.
당대 여성들에게 통쾌함과 평등사회 실현에 대한 희망을 줌.
계월이 국가에 충성하는 신하이자 국난을 극복하는 영웅으로 사회적 자아를 실현하는 것은
여성도 삶의 주체로 사회적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당당한 존재임을 보여주었고,
여성의 사회 진출을 막고 있던 당대 남성 중심의 사회적 현실과 제도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홍계 월전 전문 - hong-gye woljeon jeonmun

남성과 여성의 대비를 통해 기존의 남존여비 비판하고, 남녀 평등 의식을 보이고 있으며
이것은 고전소설의 독자층이 여성으로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는 증거가 된다.

남장 모티프
권위적이고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여성이 사회진출을 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
조선 후기 여성 독자들의 취향과 욕구를 반영함.
그러나 계월은 불합리한 사회제도에 대한 개혁 의지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것은 작품의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홍계월전에 나타난 갈등 양상

홍계 월전 전문 - hong-gye woljeon jeonmun

작품의 내용면에서의 한계
- 남성성을 추구하는 행위 (남존여비의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함)
- 가정의 일을 군법을 내세워 영춘을 죽임 (생명 경시 태도로 주인공의 영웅성에 흠이 됨)

작품의 형식면에서의 한계
- 영웅의 일대기적 구성에 따라 사건이 획일적이고, 우연적으로 전개된다
(고전소설의 특징. 문제해결의 우연성으로 인해 작품의 완성도가 떨어짐)
- 상투적 표현 구사 (개성이 떨어짐)
- 서술자가 객관적이지 않음 (계월에게 유리하게 전개하여 계월의 영웅성에 흠이 됨)

작품과 관련된 한자성어들
'효' 관련 : 반포지효, 반포보은, 혼정신성, 왕상리어, 맹종동순
'충' 관련 : 갈충보국, 진충보국, 견마지로, 견위치명, 위국충절
'은혜' 관련 : 결초보은, 각골난망, 백골난망, 난망지은, 난망지택
'육체적 사랑' 관련 : 운우지정, 운우지락, 조운모우, 무산지몽

참고 : 신사고 문학 자습서

# 고등학교 국어 고등학교 문학 고등국어 고등문학 고전소설 홍계월전 해설 정리 영웅의 일대기 구조 남장 모티프 홍계월전에 담긴 여성의식 여성영웅소설 고전소설 홍계월전 갈래 성격 배경 주제 특징 시점 표현 고등학교 국어 고등학교 문학 고등국어 고등문학 고전소설 홍계월전 해설 정리 영웅의 일대기 구조 남장 모티프 홍계월전에 담긴 여성의식 여성영웅소설 고전소설 홍계월전 갈래 성격 배경 주제 특징 시점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