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공무원 채용 인원 - yeondobyeol gongmuwon chaeyong in-won

국가공무원 채용 추이 해석

 ° '98년의 채용인원 감소는 '97년 외환위기에 따른 정부부문 구조조정(직제 감축)의 영향이며, '99년의 특정직 채용인원 급증은 '98년 교원 정년단축(6562)으로 인한 대규모 교원퇴직에 따른 결원 보충의 영향임

 ° '06년의 일반직 채용인원 급증은 법무부의 교정공무원 증원, 노동부의 노동행정인력 증원, 방위사업청 출범에 따른 기존 공무원의 신분전환(군무원일반직), 통계청의 통계요원 신분전환(별정직일반직) 등의 사유에 의함

 ° 교육, 공안(경찰, 교정), 세정분야 등의 행정수요 충족을 위한 인력증원에 따라 증가, 특히 `12년도의 교원이 예년보다 증가

 ° '11년의 사무기능직의 일반직 전환으로 일반직 증가, 기능직은 고교졸업자의 공직확대를 위해 증가, 기타 증가 사유는 육아휴직 등 휴직공무원의 업무대행을 위해 한시계약직 임용이 증가, 일반직 신규임용과 관련하여 '08년 조직개편의 영향으로 낮아졌던 경력경쟁채용비율의 증가 추세를 보임

 ° '13년의 경우 공무원 직종개편으로 인하여 기능직 신규임용 규모가 축소되었으나, 특정직 내 교육공무원의 임용증가로 전년 대비 비슷한 규모로 이루어짐

 ° '14년의 경우 일반직 신규임용 인원이 증가한 것으로 보여지나 공무원 직종개편으로 인하여 과거 기능직, 계약직 등으로 분리되었던 일부 직종들이 일반직으로 포함이 되었고, `139급 공채 시험일정으로 인하여 9급 공채 채용후보자들이 `14년부터 본격적으로 임용된 것에 따른 영향으로 보여짐

 ° `17년의 경우 특정직 공무원 신규임용 규모가 전년대비 감소되었는데, 이는 경찰이 전·의경 인력을 대체하기 위하여 `14년부터 대규모 채용하였으나 그 규모가 점차 감소된 것에 따른 영향으로 보여짐

 ° `18~'19년의 경우 경찰, 교원, 생활안전 등 대국민 서비스 분야의 인력이 확충됨에 따라 이에 따른 신규임용 규모가 증가된 것으로 보임

향후 채용추이 예측

 ° 그동안 긴축적 정원 관리로 현장 수요는 많았으나 충분한 인력이 공급되지 못했던 치안, 교육, 사회복지 등 대국민서비스 분야의 인력이 확충 됨에 따라 향후 이에 따른 신규임용 규모도 확대될 것으로 보임

(우편번호) 30116,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411(어진동) / (우편번호) 30128, 세종특별자치시 정부2청사로 13, 17-2(나성동) 행정안전부

정부민원안내콜센터 국번없이 110 / 정부조직관리시스템 1544-9392 / 044-205-2314 (월∼금 09:00∼18:00, 공휴일제외)

ⓒ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ll rights reserved.

연도별 공무원채용인원 현황 및 대한민국 공무원수 101만명

인사혁신처에서 2015년 공무원통계연보를 발표했습니다.

통계연보를 보면 드디어 우리나라 공무원수가 총 101만 6천명을 넘어섰습니다.

공무원수가 늘어난다는 것이 결코 좋은 현상은 아닙니다.

모든 공무원 봉급은 국민의 세금으로 충당이 됩니다. 작은정부를 추구하던 과거의 정부와는 달리 최근 현황을 보면 공무원채용인원이 부쩍 많이 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시대가 바뀌고 변화하면 새로운 업무가생기고 관련 공무원이 증가되는 것은 맞지만, 중복되는 부서와 업무를 통폐합하는등 기본적인 공무원조직의 질적 변화가 선행되는 것이 필요합니다. 무분별한 공무원의 양적팽창은 훗날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습니다.

작년에 공무원이 8,563명이 신규채용되었습니다. 일반직공무원 기준입니다.

이는 10년간 가장 많은 수치라고 합니다.

최근 일반직공무원 신규채용 규모를 보면, 12005년에 3,988명, 2006년에 8,353명, 2007년에 7,314명, 2008년에 6,755명, 2009년에 6,018명, 2010년에 5,880명, 2011년에 5,710명, 2012년에 4,767명, 2012년에 4,767명, 2013년에 4,610명, 2014년에 8,563명 이었습니다.

작년 채용규모가 최근 10년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금년을 보면 금년에 국가직, 지방직, 경찰 등 모든 공무원 채용인원이 늘어났습니다.

금년통계자료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작년도 기록을 금년에 갱신하지 않을까 합니다.

그만큼 최근에 공무원 채용인원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2014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보면, 전체 공무원숫자는 1,016,181명입니다.

행정부 국가공무원은 634,051명, 지방직은 357,492명입니다.

입법부는 4,229명, 사법부는 17,193명, 헌법재판소는 296명,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920명입니다.

위의 국가공무원 634,051명의 직종별 현황을 보면, 정무직이 120명, 일반직이 156,540명입니다.

특정직이 477,077명 인데요..특정직중에서 외무직이 1,819명, 경찰이 115,254명, 소방이 359명, 교육이 357,668명, 검사직이 1,977명입니다. 특정직중에서는 교육직이 가장 많습니다. 국가직공무원 통틀어서 교육직 공무원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 별정직은 314명입니다.

연도별 공무원 채용 인원 - yeondobyeol gongmuwon chaeyong in-won

인사혁신처 출범후 처음으로 공무원 통계연보를 발간했다고 합니다.

이 통계연보를 보면 전체적인 대한민국 공무원 현황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수, 여성공무원수, 공무원퇴직사유, 공무원 봉급등 관련된 모든 내용이 수록되어있습니다.

요즘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그래서 공무원관련 내용들이 자주 이슈가 되고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공무원 연금개혁 관련해서 공무원들의 봉급도 큰 이슈가 되기도 합니다.

이번에 발간된 공무언 통계연보를 보면, 전체적으로 공무원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연도별 공무원 채용 인원 - yeondobyeol gongmuwon chaeyong in-won
2015통계연보(인사혁신처).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