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한자 뜻 - gongmuwon hanja tteus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시험문제를 바르고 빠르게 풀도록 도움을 주는 그림어원 공시 한자!
40년 교육방법을 연구, 실천한 김희수 선생의 공시 합격 디딤돌!

7, 9급 국가직, 지방직, 서울시 주요 공무원 전직렬, 군무원, 계리직 대비!

기출 한자를 출제 빈도순으로 제시했습니다.
그림 연상기법을 활용한 한자 암기법을 제공합니다.
공무원 시험에 출제되는 한자를 총정리했습니다.
어원의 핵심을 설명하여 빠르고 쉬운 본의 파악이 가능합니다.
한자의 이해를 돕는 단어를 함께 수록하여 암기에 유익합니다.

작가정보

국가공인 한자실력급수 사범급(한자교육진흥회, 2018), 국가공인 한자 1급(상공회의소, 2017), 아동한자지도사(한자교육진흥회, 2017), 자기주도학습지도사 2급(교원캠퍼스, 2016)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충청남도·경기도교육청, 교사·교감·교장(1978~2017) 등 국가공무원으로 근무하였으며, 1976년~1978년에는 서울철도우체국 관리과 회계 담당으로 근무하기도 했습니다. 현재 조은공인중개사사무소(경기도 부천 반달마을, 2019~) 대표이사입니다. 장장 40년이라는 긴 시간을 국가공무원이자 교육자로서 종사한 경험과 노하우를 살려, 한자 학습법 및 교육법을 연구, 실천해오고 있습니다.
연구논문으로는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협동학습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학급담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89), 「오류분석과 오류 교정의 교수 - 학습방법으로 사칙계산과 문제해결능력 신장」(경기도교원단체연합회, 2001) 외 다수가 있습니다.

책 속으로

공시 합격 디딤돌인 『그림어원 공무원 한자』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출 한자를 출제 빈도순으로 제시하였습니다.
2. 어원의 핵심을 설명하여 본의 파악이 쉽고 기억에 오래 남습니다.
3. 고대 한자를 함께 수록하여 현대 한자의 의미 파악과 암기에 도움을 줍니다.
4. 한 글자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단어를 함께 수록하여 암기에 유익합니다.
5. 한자의 각 부분의 모양과 그 뜻을 나타내어, 다른 글자의 학습에 도움이 됩니다.
6. 학습에 도움 되는 단서를 중간중간 달아 놓았습니다.

『그림어원 공무원 한자』로 여러분들이 꼭 시험에 합격하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기본정보

상품정보

ISBN9791168363472 ( 1168363470 )
쪽수218쪽
크기

175 * 249 * 19 mm / 620 g

총권수1권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환/반품/품절 안내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울시 9급 일반행정직 합격자입니다. 공부하시느라 정말 수고가 많으십니다. 그 노력을 알기에 반드시 합격하시리라 생각합니다. (나의 강의실- 오른쪽 노란색 탭을 보시면 - 합격생 1:1 학습상담 서비스가 있습니다. 학습관련 질문들 답변 가능하니 많은 질문 부탁드립니다!)

    한자 공부방법 관련해서 질문해주셨네요.

    한자파트에 대해서 수험생들의 고민은 많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저는 어렸을때 한자 2급 자격증을 취득하여 한자를 따로 공부하지 않았고 국어학습에 부담이 줄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한자를 처음 접한 제 주변 수험생 친구들은 정말 한자때문에 치가 떨릴 정도로 싫다고 하더라구요. 하지만 한자 역시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이를 잡기 위한 노하우는 역시 "기출문제 분석"입니다. 자주 나오는 한자와 한자성어가 다시금 출제되기 때문에 이를 중심으로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도 어쩔땐 모르는 한자가 나와 당황했던 적이 몇번 있는데 그런 문제는 대부분 틀리라고 내는 문제이기 때문에 그런문제는 크게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처음보는 한자들이라 외우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한자 공부는 눈으로 보는 것보단 일일이 손으로 쓰면서 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본부수부터 차근차근 공부를 해나가시다 보면 하나 둘 아는 한자가 보이고, 한자성어와 같은 문제는 4글자 중 2글자만 해석이 돼도 유추가 가능하기 때문에 인내심을 가지고 외워나가셨으면 좋겠습니다.
    한자는 단일어, 두글자 한자어, 사자성어 등 여러파트가 있으므로 연도별 기출문제에 달려있는 한자문제를 모두 추려내신 뒤, 문제에 출제된 한자 하나하나를 통으로 외워나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처음부터 많이 외우려고 하시지 마시고 10개 정도부터 시작해서 `매일 조금씩 꾸준히 30분~최대 1시간정도` 외워나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자투리시간을 활용하여 자주자주 반복해서 공부하는것이 한자를 빠른시간내에 외울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한가지 조언해드릴 점은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한자공부를 하시되, 너무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정작 중요한 국어문법, 문학, 비문학 파트를 소홀히 하진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중요한 파트를 중심으로 공부해나가는 것도 수험생의 전략 중 하나입니다!

    (+한자를 제대로 공부해보고 싶으시다면 송운학 교수님 이외 조창욱 교수님 또는 또한 배영표 교수님- 개이득 한자 특강을 활용해보시면 한자암기에 도움이 되지 않으실까 조심스럽게 추천드립니다. 샘플강의를 들어보시고 본인에게 맞는 강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

    ★문제풀이와 관련된 부분은 [기본이론-심화특강-기출문제분석(공기출)]과정이 끝나야 그제서야 차츰차츰 문제가 어떻게 출제되는지 보이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문제역시 처음엔 잘 풀리지 않는다고 실망하지 않으셔도 되며 맞고 틀리고를 떠나 문제가 어떻게 출제된다는 느낌만 가지셔도 충분합니다. 또한 저는 5과목 모두 [교수님께서 강조하신 내용]을 중심으로 복습을 진행했습니다. 두꺼운 기본서를 빠짐없이 모두 읽어나가는 것은 시간대비 너무 비효율적인 방법이며 다 보실 필요도 없습니다. 기본서와 함께 강의를 들으실 땐 교수님이 중요하다고 말씀하신 내용을 중심으로 공부하셔도 충분히 시험대비가 가능하니 교수님을 믿고 공부를 진행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론을 알아도 막상 문제를 보면 적용도 못하겠다고 하셨는데 이는 문풀훈련이 부족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띄어쓰기, 맞춤법 파트는 단순히 이론만 보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문제를 통해` 익혀나가셔야 합니다. 11월과정부터 시작되는 문풀과정에서 많은 문제를 풀고, 틀려보고, 틀린 문제를 다시금 절대 틀리지 않도록 반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를 참고하시어 학습을 진행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합격을 기원합니다. ★답변 채택 해주시면 다음답변에 큰 힘이 됩니다.감사합니다★

    9급합격생

    답변은 항상 정성스럽게-서울시일반행정직9급합격생

    쾌도난마(快刀亂麻) 어지럽게 뒤얽힌 삼의 가닥을 썩 절 드는 칼로 베어 버린다는 데서, 무질서(無秩序)한 상황(狀況)을 통쾌하게 풀어 놓는 것을 말함.

    타산지석(他山之石) 다른 산에서 난 나쁜 돌도 자기의 구슬을 가는 데에 소용이 된다는 데서, 남의 하찮은 언행(言行)일지라도 배울 것이 있다는 뜻.

    탁상공론(卓上空論) 실천성이 없는 허황된 이론.

    탐관오리(貪官汚吏) 탐관(貪官:탐욕스런 관리)과 오리(汚吏:더러운 관리). , 탐욕이 많고 청렴하지 못한 관리.

    태산북두(泰山北斗) 태산(泰山)과 북두성(北斗星)이란 뜻에서, 남에게 존경을 받는 뛰어난 인물을 말함. 태두(泰斗). 산두(山斗).

    토사구팽(兎死狗烹) 토끼가 잡히면 사냥개는 삶아 먹힌다는 데서, 필요할 때는 이용하고 이용 가치가 없을 때는 홀대(忽待)하거나 제거(除去)하는 것을 말함. 교토사 주구팽(狡兎死 走狗烹)에서 유래함.

    토사호비(兎死狐悲) 토끼가 죽자 여우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같은 무리의 불행을 슬퍼한다는 말. 호사토읍(狐死兎泣).

    토포악발(吐哺握髮) 주공(周公)이 자기를 찾는 이가 있으면 밥을 먹다가도 먹던 것을 뱉고, 머리를 감다가고 머리를 거머쥐고 영접(迎接)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 이는 위정자(爲政者)가 정무(政務)에 힘쓰는 것, 또는 훌륭한 인재를 잃지 않으려고 애쓰는 것을 비유함. 토악(吐握).

    파란곡절(波瀾曲折) 크고 작은 물결의 굴곡(屈曲). , 사람의 생활 또는 일의 진행에 있어서 일어나는 많은 변화(變化)와 곤란(困難).

    파란만장(波瀾萬丈) 크고 작은 물결이 만 발이나 된다는 데서, 사건의 진행에 변화가 심함을 말함.

    파란중첩(波瀾重疊) 크고 작은 물결이 겹친다는 데서, 사건의 진행에 여러 가지 변화(變化)와 난관(難關)이 겹쳐 있음을 말함.

    파사현정(破邪顯正) 사도(邪道)를 타파(打破)하고 정도(正道)를 드러냄.

    파안대소(破顔大笑) 안색(顔色)을 부드럽게 하여 크게 웃음.

    파죽지세(破竹之勢) 대를 쪼개는 것과 같은 기세로, 세력이 강하여 막을 수 없는 형세(形勢)를 말함.

    팔방미인(八方美人) 어느 모로 보나 아름다운 사람이란 뜻으로, 여러 방면의 일에 능통한 사람, 또는 아무 일에나 조금씩 손대는 사람을 말함.

    패가망신(敗家亡身) 가산(家産)을 탕진(蕩盡)하고 몸을 망침.

    팽두이숙(烹頭耳熟) 머리를 삶으면 귀까지 삶아진다는 데서, 중요한 것만 해결하면 나머지는 따라서 해결됨을 말함. 망거목수(網擧目隨).

    평사낙안(平沙落雁) 평평한 모래톱에 내려 앉은 기러기처럼 글씨나 문장이 단아(端雅)한 것을 말함. 한편 소상팔경(蘇湘八景)의 하나로 동양화의 화제(畵題)가 되기도 함. 전자(前者)의 의미일 때는 용사비등(龍蛇飛騰)의 대()가 됨.

    포복절도(抱腹絶倒) 몹시 우스워서 배를 안고 넘어질 정도라는 말.

    포식난의(飽食暖衣)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음. , 의식(衣食)이 넉넉함을 말함.

    포호빙하(暴虎馮河) 범을 두드려 잡고 황하(黃河)를 맨발로 건넌다는 데서, 용기는 있지만 무모함을 말함.

    표리부동(表裏不同) 겉과 속이 다름. 표리일체(表裏一體).

    풍마우세(風磨雨洗) 바람에 갈리고 비에 씻김. 비바람에 갈리고 씻김.

    풍수지탄(風樹之嘆) 부모가 돌아가신 뒤에 효도를 다하지 못한 것을 슬퍼함. 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나무는 고요히 있으려 하지만 바람은 멎지 않고, 자식은 봉양하려 하지만 부모는 기다려 주지 않노라) 라는 시()에서 유래한 말. 풍수지감(風樹之感). 풍수지비(風樹之悲). 풍목지비(風木之悲).

    풍전등화(風前燈火) 바람 앞의 등불이란 뜻에서, 매우 위태로운 상황을 가리키는 말.

    풍찬노숙(風餐露宿) 바람 속에서 먹고 이슬을 맞으며 잔다는 데서, 바람과 이슬을 무릅쓰고 한데에서 먹고 자는 것을 말함.

    피골상접(皮骨相接) 살가죽과 뼈가 맞붙을 정도로 몹시 마름. 피골상련(皮骨相連).

    피차일반(彼此一般) 저편이나 이편이나 한가지. 두 편이 서로 같음.

    필부지용(匹夫之勇) 소인(小人)과 같은 사려(思慮)깊지 못한 무모(無謀)한 용기. 필부(匹夫)는 한 사람의 남자란 뜻에서, 소인을 말함.

    필부필부(匹夫匹婦) 한 사람의 남자와 한 사람의 여자. , 평범한 남녀. 보통 사람. 갑남을녀(甲男乙女). 선남선녀(善男善女). 장삼이사(張三李四). 초동급부(樵童汲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