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캡터체리 더빙판 - kadeukaebteocheli deobingpan

카드캡터체리 더빙판 - kadeukaebteocheli deobingpan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슈퍼 닌텐도·월드」에서는

 

 2022년 11월 11일부터 2023년 1월 9일까지

 

홀리데이 시즌의 분위기를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윈터 데코레이션이 개최됩니다.


피치성이나 ? 블록 등의 친숙한 풍경은 그대로,

 

트리나 오너먼트, 리스 등으로 한층 더 활기가 넘칩니다.

 

겨울 한정 굿즈와 메뉴도 등장함으로

 

겨울 시즌만의 특별한 체험을 즐길 수 있습니다.

 

 

카드캡터체리 더빙판 - kadeukaebteocheli deobingpan

 

 

카드캡터체리 더빙판 - kadeukaebteocheli deobingpan

 

 

카드캡터체리 더빙판 - kadeukaebteocheli deobingpan

 

 

카드캡터체리 더빙판 - kadeukaebteocheli deobingpan

 

 


카드캡터체리 더빙판 - kadeukaebteocheli deobingpan

  


카드캡터체리 더빙판 - kadeukaebteocheli deobingpan

  

카드캡터체리 더빙판 - kadeukaebteocheli deobingpan

 

카드캡터체리 더빙판 - kadeukaebteocheli deobingpan

 

 

 

겨울 한정 메뉴

 

 

 

카드캡터체리 더빙판 - kadeukaebteocheli deobingpan

 

 

카드캡터체리 더빙판 - kadeukaebteocheli deobingpan

 

 

카드캡터체리 더빙판 - kadeukaebteocheli deobingpan

 

 

카드캡터체리 더빙판 - kadeukaebteocheli deobingpan

 

 

카드캡터체리 더빙판 - kadeukaebteocheli deobingpan

 

 

 

겨울 한정 굿즈

전 세계적으로 대형 파동을 일으켰던 애니메이션이기 때문에, 1999년에 포켓몬의 인기를 우려해서 '포켓몬이 아이들을 망친다' 같은 말을 하는 기사가 나온 적도 있다. 뮤츠의 역습이 미국 개봉해서 북미 영화 시장에서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96]하자 견제성으로 나온 기사를 한국에서 보도한 것.[97]

  • 애니메이션의 포켓몬들은 포니타와 그의 진화형인 날쌩마는 물론, 켄타로스와 같이, 말, 소의 목소리를 내는 경우나 전설포켓몬이 울음소리를 내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자신의 이름을 외쳐서 울음소리를 표현한다. 예컨대 꼬부기가 포켓몬볼에서 나오면, 꼬부기라고 외치는 것.

  • 메인 포스터에서 전혀 공개되지 않았었던 칠색조의 실루엣이 보인다. 방영 이전부터 이미 차기작을 암시한 것으로 보인다.

10.1. 언어별 명칭[편집]

일본어 원어 타이틀

ポケットモンスター

한국어 더빙 타이틀

001-053화

포켓몬스터 1

054-105화

포켓몬스터 2

106-157화

포켓몬스터 3

158-210화

포켓몬스터 4

211-260화[98]

포켓몬스터 5/6

영어 더빙 타이틀[99]

001-017화
019-034화
036-037화
038-050화
053-056화

Pokémon: Indigo League

051-052화[100]
057-063화
064-065화[101]
066-106화

Pokémon: Adventures in the Orange Islands

107-158화

Pokémon: The Johto Journeys

159-210화

Pokémon: Johto League Champions

211-250화
252-263화

Pokémon: Master Quest

264-276화

Pokémon: Advanced[102]


일본, 한국 한정 영어명으로 'Pocket Monsters'가 쓰이지만 그 이외의 국가나 라틴 문자를 쓰는 모든 국가들은 'Pokémon'을 제목으로 쓴다.

11. 관련 문서[편집]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극장판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등장인물

  • 포켓몬스터(애니메이션)/오리지널 기타 등장인물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설정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12. 둘러보기[편집]

TV 도쿄 화요일 6시 30분 방영 애니 목록

기동전함 나데시코(1996~97)

포켓몬스터(1997)

우리반 짱돌이(1997~98)

TV 도쿄 목요일 7시방영 애니 목록

맑음 때때로 뿌이뿌이(1997~98)

포켓몬스터(1997~2002)[103]

포켓몬스터 AG(2002~06)


[1] Pokémon the Series: The Beginning / Pokémon the Series: Gold and Silver Pokémon: Indigo League / Pokémon: Adventures in the Orange Islands / Pokémon: The Johto Journeys / Pokémon: Johto League Champions / Pokémon: Master Quest / Pokémon the Series: The Beginning / Pokémon the Series: Gold & Silver[2] 64화까지 크레딧에 기재된 로고 :

카드캡터체리 더빙판 - kadeukaebteocheli deobingpan
[3] 117화까지 기재된 명칭은 Softx, 118화부터 기재된 명칭은 Medianet.[4] 당시 크레딧에 기재된 명칭은 쇼가쿠칸 프로덕션(小学館プロダクション)[5] 38화가 포켓몬 쇼크의 영향으로 결방되면서 275화로 보기도 한다.[6] 1세대와 2세대 중간에 오렌지 제도편이라는 애니메이션 오리지날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7] 158화까지는 슈도 타케시가 이러한 작업을 총괄하였고 다른 각본가가 썼더라도 슈도 타케시의 체크를 거쳤다. 하지만 250화쯤을 전후해 그가 자살 미수를 하면서 하차하게 되었고, 여기서 반년 정도 더 이어가다가 결국 슈도 타케시가 없으면 안되겠다는 판단하에 시리즈를 일단 완결을 내고 다른 각본가를 기용해 분위기를 일신한 신 시리즈 포켓몬스터 AG에 돌입하게 된다. 현재도 슈도 타케시가 만든 부분만을 인정한다는 극렬팬까지 존재한다. 슈도 타케시가 충격적인 결말을 구상하기도 했는데 정말로 이걸 추진할 생각이었는지 그가 담당한 각본에는 복선이 다 깔려있다. 궁금하면 슈도 타케시 항목을 참고하자.[8] 국내에서는 잘라버린 시점이 딱 디지털로 바뀌기 2화 전이라서 디지털로 된 방영분이 미방영되었다.[9] 포켓몬스터 썬&문(애니메이션)의 지우 정도가 성격이 무인편과 비슷하다. 지우의 성우 마츠모토 리카도 무인편 때 지우를 생각하면서 연기를 했다고 한다. 다만 포켓몬 배틀 실력의 경우 썬문의 지우는 완성형이다.[10] 초대편 89화의 경우 로사가 지우 일행에게 '너희라도 쫓아다니지 않으면 이 포켓몬스터에 나올 수 있겠냐?' 라고 한다... 물론 DP까지는 사실이었다. BW에서도 지우 일행과 마주치는 빈도가 매우 낮아지긴 했지만 비중을 크게 차지할 때는 지우와 많이 마주쳤고 XY에서는 원점회귀. 썬문에서는 진짜로 지우 일행과 마주치지 않으면 등장하지 않았다.[11] 일본판에서는 이슬이(일본명:카스미)가 "그러니까 너희들의 인사는 영원히 안 끝나겠지"라고 평범한 대사로 말한다.[12] 물론 아예 사라진 건 아니다. AG의 경우 137화에서(롱스톤 왕국) 나옹이 작가가 우릴 미워하나보다옹 이라고 한다. 사실 AG까지만 해도 과도기적 모습이 많이 있었다. 지우의 성씨 설정도 DP까지만 해도 유효했다.[13] 물론 전체 관람가 애니이기 때문에 별로 충격적이진 않다. 당연히 SBS판 국내 현지화에서는 모두 다른 대사로 바뀌었다. 짱구는 못말려의 대사 편집과 비슷하다.[14] 일단 오프닝부터 노골적이다. '가령 불 속, 물 속, 풀 속, 숲 속, 땅 속, 구름 속, 그 애의 스커트 속(여자 비명)(...) 국내판은 노래 자체를 뜯어 고쳐서 해당사항 무.[15] 지금의 지우 모습은 단순히 배틀에 푹 빠지고 열혈적인 모습만이 남아버렸지만, 초창기에는 적당히 짜증도 부리고 틱틱대기도 했다. 어떤 의미에서는 조금 현실적이기도 했으며 지금과는 다른 의미의 바보 같은 짓을 많이 했었다. 가령 린타마의 셋츠노 키리마루처럼 일부러 하지 않아도 될 말을 한마디씩 해서 매를 번다든지 하는 경우도 많다.[16] 단순 편수만 놓고 봐도 성도편이 관동편의 거의 두 배다.[17] 정말로 실력으로 배지를 획득한 경우는 갈색체육관, 연분홍체육관, 홍련체육관 3곳 뿐이다.[18] 국내 번역 제목은 해석판 및 정식 방영사인 SBS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19] 2012년 4월 1일 포켓몬 스매시 방송에서 디지털 리마스터 버전이 방송되었다.[20] 해당 화에 등장한 캐릭터인 사무라이 소년이 이름대로(...) 사무라이 갑옷 같은 복장을 입고 있었기 때문에 왜색이 너무 짙다 하여 한국에서 미방영. 참고로 이 에피소드는 3화에서 지우가 잡은 캐터피 → 단데기가 버터플로 진화하는 에피소드인데 방영되지 못해서 한국판 한정으로 버터플은 갑툭튀한 것이 되었다(...). 그나마 한국판 만화책 발간분에서 이 에피소드가 나와 サムライしょうねん(사무라이쇼넹)의 한국판 이름이 투구동자로 밝혀졌다. 참고로 이 사무라이의 성우는 스즈키 아키코.[21] 포켓몬스터 시즌 1의 18화: Kids WB의 인디고 리그! 2000년 6월 24일에 잃어버린 에피소드로(무인편 273화 + AG 190화 + DP 191화 + DP + BW S1 84화 + BW S2 58화 + XY 93화 + XY 최강 메가진화 4화 + XY&Z 47화 + XY&Z 스페셜 1화 + SM 49화 = 994화인데, 여기서 이 에피소드를 넣으면 1,000화가 된다.)[22] 미국에서는 선정성 문제로 결방되었다가 나중에 로이가 여장을 한 부분만 잘라내고 2000년에 다시 방영되었다. 이 에피소드는 문제의 로이의 여장 장면 말고도 등장인물 중 9할이 수영복을 입고 있고, 지우 일행 및 여기서 마주치는 지우 어머니도 노출도가 있는 차림새를 하는 등 전체이용가 애니메이션치고는 선정성이 있는 에피소드다. 국내 방영 당시엔 의외로 덧칠을 하는 등의 수정된 장면은 없었지만 문제의 로이의 여장 장면은 SBS 방영에선 잘렸고, 훗날 케이블 재방영 시엔 심의 대상이 아니여서 그대로 방영되었다.[23] 일본 축제 분위기에 일본식 집이 등장하는 것은 물론 유령 캐릭터까지 일본식 복장을 하고 있어서+후반부에서 지우와 이슬이가 일본식 복장을 입어서 미방영.[24] 민화가 기모노를 입고 있어서 미방영. 그래서 뱃지는 갑툭튀하였다(...).[25] 소설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의 패러디.[26] 연분홍체육관이 일본식 가옥이고, 관장 독수가 닌자 복장을 하고 있어서 미방영. 덤으로 이 때 등장한 로켓단이 자신들을 소개할 때 가부키 복장을 입고 있었다. 위의 민화 에피소드와 함께 뱃지가 갑툭튀하였다(...).[27] 해당 에피소드에서는 사파리존 관리자가 로켓단에게 총을 쏘는 장면이 등장해 총기에 민감한 미국에서는 방영되지 않았다. 한국에서는 정상적으로 방영.[28] 일단은 TV에 정식 방송되었던 에피소드였던데다 포켓몬스터 썬&문 49화가 1,000화(무인편 275화 + AG 192화 + DP 191화 + DP 스페셜 2화 + BW S1 84화 + BW S2 58화 + BW 스페셜 2화 + XY 93화 + XY 최강 메가진화 4화 + XY&Z 47화 + XY&Z 스페셜 2화 + SM 49화 = 999화인데, 여기서 이 에피소드를 넣으면 1,000화가 된다.)이기 때문에 정식 에피소드로는 취급은 된다. 다만 이 에피소드는 포켓몬 쇼크 때문에 공식에서는 대부분 누락 표기되는데, 일본에서 발간된 TV 애니메이션 둘러보기 책이나 애니메이션 코믹스에서는 37화 다음이 39화인 식으로 38화 넘버링 에피소드 자체를 비워버렸고, 일본 포켓몬 사이트의 애니메이션 소개 페이지에서도 누락되어 있다.#(이 쪽은 단순히 에피소드 방송 순서를 나열한 것으로, 에피소드 넘버링과는 관련이 없다.)[29] 공식 홈에는 제목이 '이상해씨, 난 진화가 싫어!'로 되어 있다.[30] 해당화의 대부분을 차지하고있는 일본풍의 bgm과 의상으로 인해 미방영. 다음화 전반부에서 마그마 vs 피카츄까지의 1차전을 하이라이트형식으로 보여주었다.[31] 전뇌전사 폴리곤 에피소드 다음으로 65화, 66화가 방영 예정이었지만 미뤄지고 후에 번외편을 붙이고 방영했다. 국내에서는 SBS에서 65, 66화가 후에 편성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하지 못하고 수입했다가 후에 발견하여 해당 에피소드를 재수입하여 65화는 크리스마스 특집으로, 66화는 오렌지제도편에서 방영했다. 그 탓에 한국에서는 66화가 65화보다 먼저 방영되게 되었다.[32] 일본에서는 1998년 10월 5일 1시간 스페셜로 방영되었던 65화를 크리스마스 특집으로 방영했다.[33] 텅구리의 트레이너가 일본식 무사 복장을 입고 있어서 국내 미방영.[34] 지우의 상대 트레이너가 일본식 복장을 입고 있어서 미방영.[35] 국내 번역 제목은 해석판 및 정식 방영사인 SBS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36] 방영 당시엔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훗날 루주라와 관련돼서 인종차별 논란이 생긴 덕분에 북미에선 DVD나 넷플릭스 및 재방영에서 누락이 되었다.[37] 국내 번역 제목은 해석판 및 정식 방영사인 SBS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38] 일본식 신사 및 무녀 복장을 한 할머니들이 나왔지만 의외로 약간의 수정만 가한 채로 국내에서도 방영되었다.[39] 일본식 건축물 모다피의탑 및 비상의 일본식 복장 하카마로 인해 결방. 당연히 그 다음회에서 뱃지는 갑툭튀하여 지우의 옷에 달려있었다.[40] 출연 엑스트라의 일본식 복장, 가옥으로 인해 결방.[41] 닌자와 관련된 스토리 진행으로 에피소드 전체에 짙게 깔린 왜색으로 인해 결방.[42] 인주시티는 전체적으로 왜색이 짙은 편이라 국내 방영판에서 인주시티 에피소드가 모두 통편집됐다. 다음편 초반부에서 '해설자가 딴짓을 하는 사이에 지우 일행은 이미 인주시티에서 뱃지를 땄다'고 넘겨버렸다.[43] 스모 등 해당 에피소드 전체에 짙게 깔린 왜색으로 인해 결방.[44] 네이티의 주인인 점술사의 일본식 복장으로 인해 결방.[45] 184화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인주시티는 전체적으로 왜색이 짙은 편이라 국내 미방영.[46] 182~184화와 마찬가지로 일본식 건축물이 등장해 미방영.[47] 루주라, 크리스마스를 기억하라와 같이 미국에서는 인종 차별 문제로 인해 결방되었는데, 이 이후부터 루주라의 피부 색상이 검은색에서 보라색으로 바뀌게 된다.[48] 국내에서는 이 에피소드를 끝으로 방영 중단. 최종화를 겨우 15화 앞두고 뜬금없이 종영해 국내에서 방영된 애니메이션 조기종영 역사상 최악의 흑역사로 기록되었다.[49] 이 에피소드부터 셀에서 디지털로 제작방식이 변경된다.[50] 실질적인 성도편 최종화. 지우 일행은 이 에피소드에서 해산하고 각자의 길을 걷게 된다. 오히려 마지막화인 276화는 내용만 놓고 보면 AG 프롤로그에 더 가깝다.[51] 대신에 원래 아이캐치가 나와야 할 자리에는 오박사의 포켓몬 강좌가 대신 나왔다. (이 코너는 원판에서는 엔딩이 끝난 뒤 나오는 코너였다)[52] 번외편은 원래대로라면 38화 다음에 방영되었어야 하는데 포켓몬 쇼크로 인해 39화에서는 피카츄 에피소드로 대체된 것이다. 또한 토게피가 등장하지 않은 52화도 방영시에는 번외편으로 간주되었다.[53] 분이할머니가 나오는 마지막 장면은 뭘까요가 아닌 누굴까요로 들린다.[54] 포켓몬 검정 시험에 출제되기도 했다.이 덕분에 지우를 비롯한 로켓단은 제대로 낚였다.[55] 왼쪽 머리에 꽃삔을 달았다.[56] 양쪽 자석 끝부분이 반듯한 다른 코일들과 달리 약간 휘어져 있다.[57] 실루엣으로는 피카츄처럼 보이지만 그건 메타몽이 변신한 모습이었다.[58] 이 화까지가 실루엣 모드로 진행되는 마지막 아이캣치며, 그 다음 화부터는 다수의 몬스터볼에서 포켓몬이 랜덤으로 결정되는 형태로 바뀐다.[59] 선공개. 당시 루비/사파이어 발매 전 한국 더빙판에선 '그래용'이란 이름으로 등장.[60] 여담으로 이 날 한국에서는 KBS2에서 달의 요정 세일러 문이 첫 방영한 날이기도 하다.[61] 싱글 판매량 약 113만장으로 성우가 부른 애니송 랭킹 1위다. 40만장도 못 넘긴 2위부터와는 엄청난 넘사벽.[62] 못 들어본 분들은 여기로 가면 들을 수 있습니다.[63] 포켓몬스터 20기 극장판/1기 리메이크 인트로와 예고편에서도 사용되었다. 또 20주년 기념인지 몰라도 포켓몬스터 썬&문에서 다시 OP곡으로 쓰이고 있다.[64] 지금으로선 상당히 충격적이게도(?) 태초마을~블루시티까지에 여행루트가 오로지 원작 게임 지역으로 애니 오리지널 지역이 단 하나도 없다. 이후엔 그래도 오리지널 지역이 나오지만 여전히 어쩌다 하나씩 있는 정도로, 포켓몬 쇼크가 발생할 때 획득한 배지 수는 6개나 됐었다(...).[65] IPTV 같은 데서 제공되는 다시보기만 몰아 봐도 같은 초대편인데 관동 지역과 성도 지역의 이야기 진행과 속도가 다른게 실감이 날 정도다. 관동 지방은 다음 체육관에 가는데 10에피를 채 못 채우는데 반해 성도 지방은 저러다 리그 기한 놓치는 거 아닌가 걱정이 될 정도.[66] 한국에서는 AG 3기, XY 2기 이후로 이런 식으로 성우가 기용되고 있다. 그 전까지는 중복 전담 성우가 비중이 좀 낮은 주연이나 조연 여러명, 포켓몬을 몽땅 다 담당했다.[67] 그나마 앞 두 사람은 각각 레귤러급 배역인 오박사 및 내레이션과 로이 역을 맡았지만 코니시 카츠유키는 이렇다 할 레귤러 배역이 없었는데 당시 데뷔한지 2년 밖에 안된 신인이였기 때문.[68] 초대편에는 리그전 한정판 모자여서 League의 L이 적혀 있었지만 여기에서는 C자 비슷한 것으로 바뀌었다.[69] 한국에서 기록한 50화 이상의 장편시리즈 평균 시청률이 30%를 넘긴 것은 포켓몬스터 이후에 〈아내의 유혹〉에 와서야 달성한다. 마침 둘 다 SBS에서 방영. 그리고 이 작품과 이보다 살짝 뒤에 나온 〈카드캡터 체리〉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애니메이션 시청률 30%대는 나오지 않고 있다. 2010년대에 이르러선 시청률이 1%만 넘어도 애니메이션에서는 성공 축에 들 정도.[70] 참고로 금은편 정발 당시 SBS에서 아직 성도리그편이 방영 중이었다. 대략 지우가 담청시티에서 배지를 따고 황토마을로 향하는 에피소드 즈음하여 발매가 개시되었다.[71] PSB(현 KNN), TBC, KBC, TJB, UBC, CJB, JTV.[72] 단, G1(강원) 및 JIBS(제주) 같은 경우, 개국 시기가 각각 2001년과 2002년으로 늦었기 때문에 초기 방영분이 방영되지 않았다. 대신 강원/제주 출신자 중 포켓몬을 비디오나 케이블 방송 등으로 접했다는 기억을 가진 사람이 많다. 그밖에 경남도 아직 KNN(당시에는 PSB)이 진출하기 전이었지만, 강원/제주와 같은 방식으로 접한 사람들이 많았다. 한국에서 첫 방영했을 당시에 딱 3개월 뒤에 일본 방영분은 성도지방 편으로 넘어가면서 2세대 포켓몬들도 첫 선보였다.[73] 무궁화위성으로는 1998년부터 송출을 시작했기에 중계유선방송과 종합유선방송이 해당 채널을 중계하였다. 물론 JIBS와 G1이 개국한 뒤로는 중단했지만..[74] 특히 본방 시기가 당시로선 방학 시즌이었다는 점도 한 몫했다.[75] 그런데도 신기하게도 유튜브 등에서 포켓몬 오프닝 멀티랭귀지 버전 영상 같은 걸 찾아보면 한국판 오프닝이 세계 팬들에게 가장 평이 낮다. 아무래도 대부분의 해외판에 적용된 영어판 번안곡도 아니고 극장판을 통해 그나마 알려진 오리지널의 위엄인 일본어판도 아닌 한국 한정곡이라 추억보정을 못 받아서 그런 듯.[76] 생각해 보면 이상할 것도 없는 것이, 2019년 기준의 50~60대는 포켓몬이 SBS에서 처음 방영될 당시엔 30~40대였다. 다시 말하자면 그렇게 포켓몬에 푹 빠져있던 어린이들의 부모님들이었다는 소리.[77] 1990년대 방영했던 유명한 레전드 에니메이션과 그 주제곡들이야 셀 수도 없이 많지만, 그냥 끝날 때의 엔딩곡 중에서 이 정도로 널리 알려지고 인기가 많았던 곡은 아마 없었을 거다. 다만 SBS 본방 당시에는 그놈의 편성시간 때문에 중간에 끊는 경우가 많았다.[78] 포켓몬스터가 국내에서 방영한지 2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번역을 담당하고 있다.[79] 특히 차명화와 이선주 성우의 경우 간호순과 여경을 모두 도맡아 한 것도 모자라 각종 여성 단역, 그리고 포켓몬 울음소리까지 맡았으니 그 대사량이 상상을 초월할 수준이었다. 여기에 이선도 만만치 않았다. 마찬가지로 남자 주역, 조역들 역시 구자형, 김일, 최원형, 장호비가 모두 맡았었다. 주인공인 지우나 히로인인 이슬 역인 최덕희나 지미애가 적은 수준이었다.[80] 초중반에는 거의 100화가 다 되어가는 동안(정확히는 관동 포켓몬 리그 에피소드까지) 작중의 모든 배역을 아홉명의 성우(최덕희, 지미애, 구자형, 이선, 김일, 최원형, 장호비, 이선주, 차명화)로 돌려막기했다. 그리고 차명화는 1년 뒤 친정에서 방영한 라이벌 시리즈에서도 또 고통받았다(...). 거기서 차명화가 맡은 주연 배역만 1인 4역(......)[81] 그러나 훈이 역에 게스트로 김정애를 투입하고, 오렌지제도 편에선 이영주와 홍시호를 각각 레귤러와 게스트로 투입, 성도리그 편에선 우정신과 양정화, 장경희, 은영선, 장승길, 온영삼, 김소형 등을 게스트로 부르는 등 나름의 성의도 보이긴 했다. 성도리그 중반부부터는 비교적 게스트 성우의 출연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다. 참고로 저 중 우정신, 양정화, 장경희, 김소형은 나중에 TVA에서 재출연한다.[82] 따라서 〈카드캡터 체리〉가 1999년 7월 8일까지만 수·목요일에 방영하고 16일부터 금요일 오후 6시 15분으로 이동했다.[83] 첫 방영 당시 2년 3개월 차이나던 텀이 중간에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고도 불과 6개월 차이까지 줄어든 탓에 1회 방영으로 바뀌였으며, 그 이후로도 일색으로 이리저리 결방된 에피소드가 있던 탓에 종영 직전엔 텀이 4개월까지 줄었다.[84] 특히 목요일은 〈파워포스레인저〉 방영 지연으로 땜방 편성됐으며, 17일 방영분은 〈기아체험 24시간〉 생방송 편성으로 채웠다.[85] 처음에 타이틀을 소개할 때 마지막 이야기라고 고지를 했고, 엔딩 직전에 원래 대사를 편집하고 '우리들의 모험은 계속 이어진다'는 식의 지우의 마무리 멘트를 넣었다.[86] 만약에 당시 결방 없이 남은 15화를 그대로 일주일에 1화씩 방영되었다면 2003년 3월 12일에 완결이 났을 것이다.[87] KBS 편성부에서 최종화를 착각하는 바람에 주인공이 최종보스에게 깨지는 부분에서 완결 자막을 삽입했던 데블파이터도 5달 정도가 지나 최종화가 방영되기는 했다. 성우를 다시 캐스팅하는 것이 무리라고 해도 AG 이후로 성우들이 대거 교체되었다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적어도 초대편은 모두 방영하고 AG를 방영하는 것에도 아무 문제가 없었다는 이야기다.[88] 해설역이 잠깐 조는 사이 뱃지 2개가 추가되었다고 설명(...). 참고로, 민화는 기모노 때문에 짤렸는데, 피카츄가 응원 때마다 기모노를 입는 건 안 짤렸다. 나옹이 일본식 옷을 입고 부채춤을 추는 것도 컨츄리꼬꼬 춤으로 대충 의역했다.[89] 그나마 오렌지제도 편은 열대 지방이라 왜색이 나올 틈이 없던 덕에 결방된 에피소드가 없었다. AG에서 용암마을 체육관전이 결방된 것을 마지막으로 왜색으로 인한 결방은 더 이상 나오지 않고 있다.[90] 해설자가 잠깐 딴짓을 하는 사이에 뱃지를 땄다는 해설이 나왔다.[91] 그 예로, 한국판 '정글의 왕자 다잔' 편에서 다잔이 이슬이의 가슴을 보며 "젖 먹어도 돼?" 물어보는 대사가 국내판에서는 뜬금없이 "나랑 친구할래?"로 바뀌었다. 그런데 이 직후 바로 이슬이가 얼굴이 빨개지면서 다잔을 때리기 때문에 뭔가 어색하다. 가슴 보고 비밀친구하자는 초월번역급 섹드립일지도 모른다. 북미판처럼 "사람이야 포켓몬이야?" 라고 번역하던가 아니면 다짜고짜 "나랑 사귈래?" 정도만 되었어도 어색하진 않았을 것이다.[92] 심지어 이 장면도 원래 더빙이 되었다가 방영 직전에 잘린거라, 케이블 방영에선 멀쩡히 방영되었다.[93] 대원방송에서 방영한 3~5기 극장판에 한해 안현서가 담당.[94] 대표적으로 로이가 거유로 여장을 한 에피소드. 이 장면까지는 실제로 더빙이 되었지만 방영 직전 잘렸기 때문에 케이블 TV에선 안 잘렸다.[95] SBS 시절 영상은 VHS로 녹화되어 있던거라 이미 열화되어있기 때문에 일본판 버전을 다시 수입해서 고쳐야 하는데, 가상의 언어가 나오는 이후 시리즈와는 달리 일본어가 그대로 나와서 이걸 전부 한글로 다시 고쳐야 하는 분량이 상당히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