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cc 내압 선정 - Mlcc naeab seonjeong

우리가 사용하는 전자기기에는 콘덴서라는것들이 들어갑니다. 안들어가는것을 찾기가 힘들정도인데

이 콘덴서라는게 고장이나면 기기의 반응이 느려지거나, 기기가 작동을 제대로 안하거나 심지어는 아예 기기가 켜지질않습니다.

때로는 콘덴서가 고장남으로 인해서 기기내의 다른 반도체가 같이 고장나기도하고 심할경우엔 PCB가 발화하는 경우도 적지않게 있습니다. 이런때는 우리같은 일반인이 고치기엔 무리가 많이가게됩니다.

근데 그 정도까지 가기전엔 항상 기기에서 나 살려달라고 신호를줍니다.

위에 쓴것처럼 기기가 느려지거나 제대로 작동을 안하거나 켜지지않는등의 신호를 주죠. 물론 그렇게 신호를 주게 설계된것들은  없지만 그냥 혼자서 그렇게됩니다. 한두번까지는 그려러니해도되지만 점점 잦아지거나 심해진다면 즉시 전원을 내리고 내부를 점검해야합니다.

Mlcc 내압 선정 - Mlcc naeab seonjeong

Mlcc 내압 선정 - Mlcc naeab seonjeong

어떤 컴퓨터의 메인보드 콘덴서 사진

컴퓨터가 느려지고 블루스크린이 잦아지고 혼자서 껐다켜지고 하는 상태로 있는 PC들이 간간히 있습니다.

보통은 다른 하드웨어의 문제지만 이런식으로 콘덴서가 터져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금은 콘덴서에 대한 주제니까 그런 쪽얘기는 안하겠습니다.

사진은 MSI LGA775 메인보드입니다. 당시에 기본형라인업으로 나온것으로 알고있는데 Rubycon, TEAPO, Panasonic , Chemi con , OST 등 여러업체의 콘덴서가 복합적으로 들어갔습니다. 근데 무슨이유인지 터져있는건 TEAPO에서만 나온 제품입니다.

왜터진걸까요?

콘덴서는 다 같은것들이 아닙니다. 업체마다, 제품시리즈마다, 전부 다른 속성이 있습니다. 일종의 요리라고 보면 이해가 쉽습니다.
콘덴서를 만들때는 여러가지 레시피로 전해액을 볶아서 콘덴서를 만들게됩니다.

그래서 같은 용량(uF), 내압(V)이라 하더라도 크기와 수명 ,정격 리플 ,콘덴서 내부 저항 ,그리고 콘덴서의 크기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해당 메인보드는 그저 저수명품의 한계인것으로 보입니다. 그렇지않으면 저렇게 한꺼번에 터질일은 없었겠죠

이제 진짜로 우리가 콘덴서가 터졌을 때 어떤 것을 구입해서 교체해야하는지 알아봅시다.

항상 쓰는 글이 그렇듯이 서론은 초익스트림한길고 본문은 별로 길지 않습니다.

Mlcc 내압 선정 - Mlcc naeab seonjeong

첫째로, 일단 크기(지름/높이)를 측정합니다.

콘덴서는 사용처 및 종류, 특성에 따라 크기가 상당히 여러 가지입니다. 크기는 거의 규격화되 있지만 사이즈를 정하는 것은 제조사의 몫이기 때문에 따로 확인해야 합니다.
유사시엔 리드피치도 측정해야 추후에 교체될 공간에 쏙 들어갑니다.

위 사진은 우리나라업체인 삼영(SAMYOUNG)의 NXH Series입니다. 전원부에 자주 들어가는 제품군인데 사진에 나온 시리즈의 내압은 16V, 용량은 1000uF인데 서로 크기가 다릅니다.

위에 얹어져있는 것이 10MM , 아래에 있는 것이 8MM 지름을 가진 제품인데 서로 대체가 가능하지만, 8MM 껴져있던곳에 10MM를 넣으면 상당히 시각적으로 이쁘지도 않고, 충격을 가하면 패턴이 떨어질수도있습니다. 결코 좋은행동이 아니지요.

Mlcc 내압 선정 - Mlcc naeab seonjeong

이번에는 다른 사진입니다.

NXC Series입니다. PC 메인보드나 그래픽카드 등에 종종 사용됩니다.
위제품은 내압이 6.3V, 용량이 1500uF이며 좌측이 8MM, 우측이 10MM의 지름을 갖고있습니다. 이번엔 키차이도 심하게 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런 경우도 있기 때문에 무조건 대체할 콘덴서의 주위를 둘러 봐야합니다.

왜냐면 간혹 캐패시터의 높이가 상당히 제한되게끔 설계된 기기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방열판으로 인해 높이가 제한되거나 덮게 같은 것 때문에도 높이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그럴 때는 미리 높이를 재서 알맞은 것으로 교체를 해야 하는게 맞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콘덴서의 다리 쪽을 봐주세요.

좌측은 얇고, 우측은 좌측에 비해 살짝 피치가 넓습니다. 각각 피치가 3.5MM ,5.0MM를 가지고 있는데 서로 다리를 벌리는 등의 가공행위를 통해서 ‘호환’은 가능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잦은 흔들림이나 충격에 의해 패턴이 찢어지고 떨어질 수 있는 최악의 사태가 일어날 수 도 있기 때문에 가급적 맞춰줘야 합니다.

이정도면 콘덴서의 크기에 대한 주의점은 다 설명한 것으로 보입니다.

Mlcc 내압 선정 - Mlcc naeab seonjeong

두 번째는 콘덴서의 사용처입니다.

콘덴서는 많은 곳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글을 읽는 것이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기기들 PC( M/B , CPU, RAM, VGA, HDD 심지어 키보드와 마우스에도), 휴대용 랩탑, 전자시계, 자동차, 오디오, 앰프, 형광등 안정기, 보일러, 스토로보, 냉장고.... 그리고 어쩌면 지금 사용하고있는 스마트폰 등 없는 곳 이 없습니다.

어떻게든 어떤 형태로던 어떤 전자기기던 최소 한 개 이상 들어갑니다.

근데 우리(일반인수준)에서 고장을 진단하고, 교체 할 수 있는 것은 리드형태의 전해콘덴서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다른 종류는 다루지 않습니다.

보통 전해콘덴서는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기기에 거의다 들어갑니다. 앞서말한 컴퓨터가 대표적이고 이외엔 휴대전화의 충전기... 면도기에 사용하는 아답터.. 등

근데 콘덴서 라는게 서론에 말했듯이 다 똑같은 것들이 아닙니다.

크기는 앞에서 처음으로 설명했고, 이젠 콘덴서의 시리즈를 알아봐야합니다.

저가제품 생산업체가 아닌이상 모든 콘덴서는 [General Purpose,Standard]라는 일종의
Reference에서부터 시작합니다.

좀 있어보이라고 영어로 써놨는데 한국어로하면 기준점이라고 읽으시면됩니다.

앞의 사진은 국내업체인 SAMYOUNG의 Series Group Chart입니다.

105’C Purpose에서는 KMG가 General Purpose, 85‘C에서는 SHL이 General Purpose로 위치하고있습니다.

그럼 여기서부터 찔끔찔끔 성능을 올리면서 시리즈를 여러 가지로 나눕니다.

고온에 유리한 125’C Series라던가, 초고리플값을 위한 High Ripple 제품군이라던가 저항값을 낮춘 저저항군이나 직렬저항값도 낮춘 제품군도있습니다.

근데 당장 SAMYOUNG의 그룹차트 일부를 뽑아왔는데도 저정도이니 참 정신이없습니다. 대체 뭘사야할지...
그럴때는 그냥 General Purpose 제품을 쓰면됩니다. 삼영기준 KMG 급을 쓰면된다는 말입니다.

다만, 구할수있다는 기준에서 메인보드라면 Low Imp, Low ESR 제품군인 NXC, LXZ 를 쓰는게 가장 적당하고 SMPS라면 Secondly 기준으로 High Ripple 제품군인 NXB, NXH같은것을 쓰는게 더 좋겠지요.

그렇지만 그래도모르겠다면 잘 알려진 업체의 General Purpose (예 :: KMG Series)를 구입하는게 정신건강에 도움이 더됩니다.

마지막으로 가끔씩 둘러보면 캐패시터를 아무렇게나 교체하면 발진이 걸리니 똑같은제품으로 교체하라는 경우가있습니다. 실제로도 부득이하게 캐패시터를 갈았는데 출력단에서 발진파형이 걸려버림으로써 전압파형이 튀거나 좋지않은 흐름이 생길수도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런경우는 아주적으니 가내수공업에서는 그렇게 고려할 사항이아닙니다.

추가로 팁을 좀 적어보자면 교체를 해도 같은곳의 콘덴서가 계속 터진다면 해당콘덴서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해보셔서 측정전압의 X1.8 배 이상되는 내압을 가진제품으로 사용해주세요. 너무타이트하면 콘덴서가 터질수도있습니다.
전압이 여유롭다면 용량을 늘려주시거나, 이전회로에서 뭔가 잘못된곳은없는지, 이후회로에서 설계이상의 전류를 끌어먹는것은 아닌지 확인해보는게 아주 도움이많이됩니다.

�ȸ�λ� ij�н��ʹ� ���������Դϴ�,.
������ ij�н��Ͱ� �������·� �����Ǵ� ���� �����̰� ij�н����� ����ü�� ���� �޶����ϴ�.
��, ij�н��͸� ��ġ�����μ� �븮�� ����ȿ��, ��������ȿ���� ������
ij�н����� ������ ���� �ʴ� ���п����� ���谡 �����ϴ�.

������ ����� ESR���� ����Ǿ� ȸ�� Ư���� �޶����ٸ� �װ� �׷����� �ְڴ�.. ����
�Ϲ����� ��뿡 ������ �޶����ٰ� ȸ���� Ư���� ��ȭ������ �ʽ��ϴ�.

�Ϲ������� ȸ�θ� ������ �� ������ ���� ������ ������ �����Ǵ� �ִ� ���������� 50~70%�� �����մϴ�.
ij�н��ʹ� �밳 ���� ������ ū���� (����� 0.1uF�� ���� ����ϴ� ZŸ�� ���������� ǥ���� 50%�Դϴ�)
�ð��� ������ ���� ����ü�� �ս�, ��Ʈ������ ���� �������Ϸ� ���� �뷮�� �������� ��ǰ�̶�
�߰��� ȸ���ϼ��� ���� ����Ǵ� �������̺��� ������ �ּ� ū ������ ��ǰ�� ����մϴ�.

�׸��� ���� ����� �̷а� �ٸ���쵵 �̷����� ���� �����ؾ� ���� �̷��Դϴ�..
V=IR���ص� ���� �������� V=IR����� �ٸ��ϴ�. �ٸ��� �ʴٸ� �װ� ������ġ�� �����Դϴ�.
V�� I�� ����ġ������ R�� �ֺ� �µ��� ���� ��ȭ�� �� �ִ� �Ķ���ͱ� �����Դϴ�.
���� �̷а� ������ �ٸ��ٸ� �װ� "�̷�"���� �����DZ� ������ "����" ������ �̷��Դϴ�.

źŻ�� ���� ������ ���� ��Ʈ���� �ı��� �����ϼ���, ��Ʈ�ϼ��� �ְ�
�������� ������ ���к��� ��¦ ���ٰ� ȸ�ΰ� �ٷ� ������ ������ �ʽ��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