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의 평등, 과정의 평등 - gyeolgwaui pyeongdeung, gwajeong-ui pyeongdeung

언젠가부터 내 트위터 프로필에 넣은 문구가 있다.

기회는 공정하게, 과정은 정의롭게, 결과는 평등하게.

결과의 평등, 과정의 평등 - gyeolgwaui pyeongdeung, gwajeong-ui pyeongdeung

당연하게도, 어디서 많이 들어봤을 듯한 말, 문재인 정권의 표어인 “기회는 평등하게 과정은 공정하게 결과는 정의롭게”의 변용이다. 부정부패의 사회를 벗어나 능력주의를 지향하자는 정도로는 심히 부족함이 이미 노무현 정권 시절 드러났고, 두 텀 아니 한 텀 반 동안의 “보수” 정권 동안 뼈저리게 각인되었기 때문이다.

문제는 특히 박2 정권이 워낙 THE부패로 퇴화해버린지라, 우리 사회에 필요한 것도 우선 저 수준부터 다시 세워야 할 지경이었을 뿐. 허나 정작 오늘날의 사회구조 변화에서(예: 저성장 불평등 고착 위기, 온갖 방향에서의 “내가 무슨 기득권이라고” 항의, 격화되는 타 집단 차별 외) 필요한 진보는, 좀 더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

우선 하나. 사회적 필요에 따른 적극적 조율에 입각한 기회 제공. 예를 들자면 발상 다양성이나 다양한 사회층 반영을 위한 적극적 쿼터 부여 같은 것. 또는 제도 어뷰징을 막기 위한 유연성. 또는 그간 체계적으로 피해받아왔던 계층이나 집단을 대등한 장으로 끌어오기 위한 보상적 조치. 그것이 바로 시민들이 사회의 대등한 성원이어야 한다는 민주제의 공정함, 공평하게 올바른 상태다.

또 하나. 과정 자체에서 지속적으로, 원칙적인 정의는 구현되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 것. 기회니 과정이니 결과니 하지만, 현실은 순환과정인지라 하나의 결과가 다음 사안의 기회가 되곤 하다 보니 결국 사회적 경험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것이 바로 “과정” 그 자체다. 어떤 올바른 원칙이 실현되고 있다는 안정감, 그 안에서 각자와 서로의 존엄을 추구해도 되겠다는 동기부여는 바로 과정의 정의감에서 나온다.

그리고 무엇보다, 결과의 격차 줄이기. 결과의 격차가 하염없이 거대해지는 극단적 빈익빈부익부의 상태에서 사람들이 나아갈 유일한 합목적적 경로는 개미지옥밖에 없다. 큰 힘에는 큰 책임이 따르게 하고, 큰돈에는 큰 세금이 따르게 하는 사회적 설계는 공정함에 대한 상상이나 정의의 느낌과도 직결된다.

결과의 평등, 과정의 평등 - gyeolgwaui pyeongdeung, gwajeong-ui pyeongdeung

‘사회가 한두 가지 최적화 성공 경로로 압축되어버리기에 발생하는 집단적 망함의 나선™’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결과의 격차를 합리적인 선으로 줄이는 접근이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의 결과적 평등. 그걸 압축한 게 바로 위의 문장이다. 너무 많이 압축한 것 같다. 물론 이런 이상한 표어로는, 대중의 사랑을 받아 선거에 이길 수 없다!

원문: capcold님의 블로그님

1. 기회의 허용적 평등
- 허용적 평등관은 제도적 차별의 철폐를 통해 모든 사람에게 동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 신분, 성, 종교, 지역, 인종 등의 이유로 교육 기회를 차별해 오던 것을 철폐한다.
- 개인의 능력과 교육을 받을 양의 수준을 비례하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다.
- 영재교육이나 인재교육이 그 예로 들 수 있다.

2. 보장적 평등
- 취학에 장애가 되는 경제적, 지리적, 사회적 제반 조건을 제거하는 것에 초점이 있다.
- 저소득층 아동(경제적), 도서지역 학생(지리적)들에 대한 지원제도를 예로 들 수 있다.
- 통학버스 확충, 장학금 지금, 기숙사 제공 등 교육 여건의 물리적 개선에 초점이 있다.
- 하지만 계층간의 분배구조 자체는 변화시키지 못한 한계가 있다.

3. 과정적 평등
- 단지 취학에서의 평등이 아니라, 효과적인 학교에 평등하게 취학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 교사의 질, 학교의 시설, 교육과정 등의 차이를 두지 않는 것이다.
- 고교 평준화 정책, 학교 간 학생 균등 배정을 예로 들 수 있다.
- 하지만 콜맨 보고서는 가정 배경이 더 중요하다고 설명하며 과정적 평등의 효과는 입증되지 못했다.

4. 결과적 평등 / 보상적 평등
- 학습 결과에 초점을 맞춘 평등이다. 그러므로 낮은 성취 수준을 보이는 학습자들에게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 농어촌 지역 학생들에 대한 특별 전형, 저소득층 아동에 대한 취학 전 보상 교육, 방과후 보충학습 등이 있다.
- 기회균형선발제, 농어촌 전형, 
- 단, 우수한 학생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주장이 있다.

#교육평등 #기회의평등 #과정적평등 #결과적평등 #보상적평등 #보장적평등 #허용적평등

결과의 평등, 과정의 평등 - gyeolgwaui pyeongdeung, gwajeong-ui pyeongdeung
사진출처: Interaction Institute for Social Change Artist: Angus Maguire. (interactioninstitute.org, madewithangus.com)

제가 좋아하는 사진입니다.

왼쪽 사진에는 모두가 같은 개수의 상자를 가지고 있지만, 그래도 한명은 경기를 보지 못하죠.

반면 오른쪽에는 모두가 같은 높이에서 경기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 세 사람 모두는 경기장 밖에서 봐야하는 처지이지요.

생각할 거리가 많은 사진입니다.


교육과 자신이 속하게 될 계층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누가 교육을 받을 수 있는가,

그 교육은 어떠한가,

차이는 존재하는가에 따른 평등의 논의가 이어집니다.

교육 평등관은 크게 

허용적 평등, 보장적 평등, 과정적 평등, 결과적 평등의 순서로 논의되어 왔습니다.


1. 허용적 평등

허용적 평등은 기존의 제도적 차별을 전제합니다.
여성이나 흑인과 같이 애초에 교육을 받지 못하는 사람을 법적으로 허용 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법적으로 허용을 해주었더니, 좋을 줄 알았지만 결과는 크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이미 교육에 배제된 사람들은 하위 계층에 속하였기 때문에,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았죠.

학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살아서 교통 수단 비용을 내야하는데 그것이 큰 부담이 된다는 것이죠.

따라서 자녀들을 학교에 보내지 않고 일을 시키는 것을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만연하게 됩니다.

2. 보장적 평등

이렇게 허용을 해도 현실적 문제로 교육에 참여할 수 없으니, 국가는 이를 보장해주기 위한 대책을 세웁니다.
각종 교육비를 지원하고 지리적, 경제적 차이에 대한 불평등을 최소화하려고 합니다.

의무교육도 실시합니다. 의무교육은 반드시 국가부담을 전제합니다.

왜냐하면 국가가 국민을 의무로 교육을 시키려면 그에 대한 부담은 당연히 국가가 져야지요.

(강제로 하라고 해놓고 돈도 직접 부담하라고 하면 ...)

3. 과정적 평등

그렇게 허용도 해주고 보장도 해주었더니 또 문제가 생겼습니다.

결국 상류층들은 교육으로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대물림하려고 하기 때문에,

더 비싼 값을 치르고 더 나은 교육을 받으려고 하기 때문이었죠.

그래서 상류층들이 모이는 학교는 더 나은 시설과 더 나은 교육자료, 더 나은 경험을 할 수 있었고

결국엔 더 나은 학업 성취를 이룰 수 있었습니다. 이는 당연히 더 높은 계층으로 이어졌구요.

그래서 나온 것이 '교육의 환경과 내용을 같게 하라'입니다. 
이는 열악한 학교의 시설을 정비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수준을 제한하고 상한선을 정합니다. 

모든 학생이 이제 학교에서 비슷한 교육을 받게 되는 것이지요.

4. 결과적 평등

그래도 차이는 발생했습니다. 모든 학생의 차이를 0으로 하고자 하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한 것이었죠. 

그래서 관점을 바꿉니다.

'도움이 필요한 곳에 더 집중적인 지원을 하자.', 즉, 차별적 지원입니다.

기존의 허용적 평등, 보장적 평등, 과정적 평등은 'Every'입니다.

모두를 허용하고 모두에게 보장하고 모두에게 같은 과정을 겪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결과적 평등은 'Some'입니다.

학습이 부진한 학생에게 보충수업을 제공하고, 

가난한 가정의 자녀에게 1년 더 일찍 교육을 실시하는 Head start과 같이 

도움이 필요한 곳에 집중적으로 자원을 이용하자는 관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