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역 SRT 타는 곳 - busan-yeog SRT taneun gos

부산에 일이 있어서, SRT를 이용해보기로 했습니다. 저희 집에서 가까운 역이 동탄역이더군요. SRT 표를 예매하려고 코레일 앱을 이용하려 했는데, SRT 앱은 별도로 있다는 안내 문구가 있어서, SRT 앱을 신규로 설치해야 했습니다. SRT 앱을 설치하고, 사용자 등록도 하니, SRT 표를 예매할 수 있더군요. (사실 조금 귀찮았어요. ㅋㅋ)

이제 동탄역으로 출발~ 해서 도착~ 하니~ 동탄역 주변은 여전히 공사를 열심히하고 있더군요. 아파트와 복합상가 등등을 말이죠. 동탄역 주변은 공사판이구요, 조금 떨어진 곳은 분양이 완료된 아파트도 있었습니다.

[동탄역 주변 공사현장 ~ 1]

[동탄역 주변 공사현장 ~ 2]

[동탄역 주변 공사현장 ~ 3]

[동탄역 주변 공사현장 ~ 4]

부산역 SRT 타는 곳 - busan-yeog SRT taneun gos

저는 버스를 이용해서 동탄역에 도착했는데요, 버스에서 내리면, 버스 정류장과 택시 정류장이 길게 늘어져 있습니다. 동탄역에 오는 버스가 다양하게 있는 것 같은데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아직은 노선이 많이 확장되어야 할 듯 합니다.

[동탄역 버스/택시 정류장 ~ 1]

[동탄역 버스/택시 정류장 ~ 2]

[동탄역 버스/택시 정류장 ~ 3]

[동탄역 버스/택시 정류장 ~ 4]

동탄역은 다른 기차역들과는 다르게 지상에는 건물이 없습니다. 지하철 역과 비슷하게 지하로만 되어 있어요. 처음에 보고 좀 당황했었는데요. 속으로는 특이하다 생각했어요. SRT 탑승하는 곳은 지하 6층 입니다. 동탁역이 지상 건물 없이 지하에만 있어서 그런지 버스 정류장 끝에 동탄역이라는 표지판이 우뚝 솟아있어요. ㅎㅎㅎ

[동탄역 표지판]

[동탄역 입구 ~ 1]

[동탄역 입구 ~ 2]

[동탄역 입구 ~ 3]

SRT를 타기 위해 출입구를 통해서 지하로 내려 갑니다. 내려가다 보면, 지하 주차장과 타는 곳이라는 안내판이 계속 나타납니다. 지하 4층 까지요. ㅎㅎㅎ

[동탄역 입성 ~ 1]

[동탄역 입성 ~ 2]

지하 4층에 도착하면, 표사는 곳이라는 표지판이 나타납니다. 지하 4층에서 표를 사는군요. 일반 기차역의 대합실이라고 보면 될까요? ㅎㅎㅎ 저는 앱으로 표를 사서 표사는 곳에는 볼일이 없지만, 지하 4층에는 무엇이 있는지 둘러 보았습니다. 안내센터와 기차 도착 시간을 알려주는 전광판과, 롯데리아, 엔제리너스, 크리스피 크림 도넛, 세븐 일레븐, 꼬마 김밥, SRT 고객 라운지 등이 있었어요.  

[지하 4층 표사는 곳으로 ~]

[지하 4층 표사는 곳 ~ 1]

[지하 4층 표사는 곳 ~ 2]

[안내 센터]

[기차 시간 전광판]

[지하 4층 롯데리아]

[지하 4층 엔제리너스]

[지하 4층 크리스피 크림]

[지하 4층 세븐 일레븐]

[지하 4층 꼬마 김밥]

[지하 4층 SRT 고객라운지]

고객라운지에는 우리은행 365코너가 함께 있습니다. 혹시라도 우리은행에서 현금을 인출하실 일이 있으시면 여기를 이용하세요, 저는 있는 줄 몰라서, 동탄역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걸어가서 현금을 인출하는 바보짓을 했더니 여기를 발견하고는 억울해 죽을 뻔 했어요. ㅋㅋㅋ

[지하 4층 SRT 고객라운지의 우리은행 365코너]

기차 시간이 제법 남아서, 크리스피 크림 도넛에서 싱글 셋트를 먹으며 잠시 휴식을 취했어요. 도넛은 역시 달아야 제맛이죠~ ㅎㅎㅎ

[지하 4층 크리스피 크림 도넛 싱글 셋트]

SRT 타는 곳은 지하 6층이어서 다시 지하로 이동합니다. 근데, 4층과 6층 사이인 5층에는 뭐가 있을지 궁금했습니다. 5층에 도착해보니, 아니 이럴수가~ 이렇게 넓은 공간을 횡하니 정말 허허벌판 처럼 되어 있더군요. 중간 대합실이라고 해야할까요? 하지만 공간이 너무 아까웠어요. 근데, 향후에 동탄역에 지하철을 연결한다는 얘기를 들은 것 같았는데요, 그때를 위해 미리 공간을 확보해놓은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ㅎㅎㅎ

[SRT 타러 가는 길 ~ 1 / 지하 4층]

[SRT 타러 가는 길 ~ 2 / 지하 5층]

[SRT 타러 가는 길 ~ 3 / 지하 5층]

[SRT 타러 가는 길 ~ 4 / 지하 5층]

드디어 지하 6층 SRT 타는 곳에 도착했습니다. 보면 볼 수록 지하철 타는 곳을 연상하게 되더군요. ㅎㅎㅎ 

타는 곳 길이가 어마어마 길어서 우와~~~ 했어요~ ㅋㅋㅋ

[SRT 타는 곳 오른쪽]

[SRT 타는 곳 왼쪽]

SRT는 중련편성된 기차인지 단일 기차인지 확인하셔서 탑승 호차에 맞게 기다리셔야 합니다. 중련편성이란 두대의 SRT를 연결한 것으로 중간 연결 부분이 있어서 두 기차 사이를 왕래할 수가 없어요. 그리고, 2호차도 중련편성된 기차와 단일 기차의 위치가 달라집니다.

[SRT 중련편성 2호차]

[SRT 중련편성 두 기차 연결모양]

SRT도 다른 기차들과 같이 모든 승객이 탑승을 완료했는지 확인을 승무원이 직접 하시더군요. 승객이 모두 탑승하면, SRT가 출발 합니다~

[SRT 승객 탑승을 확인하는 승무원]

[SRT 승객 모두 탑승]

부산은 부산역에서 SRT를 탑승을 합니다. 그래서, 새로 생긴 동탄역과는 달리 일반 기차역과 같은 분위기 에요.

[SRT 부산역 탑승 전경]

기차 내부에는 입구와 중간중간에 현재 도착할 기차역을 알려주는 화면이 있습니다. 이것은 KTX 와 비슷한 듯 합니다. 

[SRT 현재 도착역 알림 화면]

SRT는 기차 내부에서 음료수, 과자등을 카트에 담아서 판매하는 승무원이 없습니다. 그래서 기차 중간 중간에 자동판매기가 비치되어 있어서, 자동판매기를 이용해야 합니다. 판매물품이 다양해 보이지는 않았어요. ㅋㅋㅋ

[SRT 자동판매기 ~ 1]

[SRT 자동판매기 ~ 2]

요즘은 휴대용 전자기기들을 많이 가지고 다녀서 콘센트를 찾는 사람들이 많아진것 같아요. SRT도 좌석 아래에 보면 앞뒤로 한개씩 총 2개가 있습니다. 옆사람과 사이좋게 하나씩 이용하세요~

[SRT 좌석 아래 콘센트]

전 일반석을 이용했는데요, 특석이 궁금해서 살짝 구경했습니다. 일반석은 좌석이 4개인데, 특석은 3개 더군요. 좌석의 편안함은 이용해보지 못해서 모르겠네요~ ㅋㅋㅋ 일반석 보다는 조금더 편하지 않을까 합니다. 기회가 된다면 다음 번에는 특석으로 이용해봐야 겠어요. ㅎㅎㅎ

[SRT 특석]

마지막으로, 동탄역에 SRT가 들어오는 모습을 영상으로 담아봤습니다~ ㅎㅎㅎ

[SRT 동탄역 들어오는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