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버스 무정차 신고 - incheon beoseu mujeongcha singo

인천 버스 무정차 신고 - incheon beoseu mujeongcha singo

인천 버스 무정차 신고 - incheon beoseu mujeongcha singo

인천 버스 무정차 신고 - incheon beoseu mujeongcha singo

인천 버스 무정차 신고 - incheon beoseu mujeongcha singo

인천 버스 무정차 신고 - incheon beoseu mujeongcha singo

인천 버스 무정차 신고 - incheon beoseu mujeongcha singo

인천시는 인천시의 정책과 현안에 대한 시민 의견을 수렴하는 창구를 마련하기 위해 2018년 12월부터 ‘온라인 시민청원’ 제도를 시작했다. 하지만 버스 불편 신고 등 제도 설립 취지와 맞지 않는 단순 민원으로 청원 게시판이 가득 차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온라인 시민청원은 만 14세 이상 시민이라면 누구나 등록할 수 있다. 청원은 청원을 올린 날부터 30일간 공감을 받을 수 있다.

인천시에 따르면 제도 시행 초기에는 청원 기간 동안 3천 명 이상의 지지를 받아야 청원 종료일로부터 10일 안에 공식 답변을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3천 명 이상이 지지하지 않아도 공감 수가 현저하게 높거나 동일한 청원이 반복해서 올라오면 공식적으로 답변하고 있다.

▲ 시민청원은 여러 시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창구로 단순한 문의와 고충 민원, 공익 신고, 고발 등은 국민신문고를 이용하는 게 원칙이다. 국민신문고는 국민권익위원회가 운영하는 온라인 민원신청, 국민제안, 정책참여 창구다.

하지만 현재 국민신문고에 올라가야 할 버스 불편 신고가 인천시 온라인 시민청원 게시판에 즐비하다. “××번 버스 무정차 신고”, “기사 불친절 신고”, “버스가 그냥 가네요”등의 신고는 개별 민원에 가까워 공감 수도 0인 사례가 대부분이다.

청원에 올린 버스 불편 신고는 답변을 받기 어렵다. 시민청원은 많은 공감 수를 바탕으로 답변을 주는 제도기 때문에 공감 수가 1∼2개에 지나지 않는 개별 버스 불편 신고는 답변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시민청원에 들어온 청원을 개별 부서에 전달하기는 하지만 한 달 치를 모아 전달하기 때문에 신고가 접수되고 부서에 전달될 때 시차가 발생한다. 국민신문고의 처리 시한이 사안에 따라 7일 혹은 14일로 제한적인 것에 비해 오래 걸린다.

▲ 시민청원에 올라온 개별 민원을 확인하다 보면 다른 시급한 청원의 처리가 밀릴 수도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정해진 인원이 시민청원을 검토하기 때문에 단순 민원이 많이 올라오면 다른 청원 처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단순 민원은 국민신문고 혹은 120 미추홀 콜센터로 접수하면 빠르게 답변을 받을 수 있어서 그쪽으로 안내해드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서희 기자


저작권자 © 인천일보-수도권 지역신문 열독률 1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 보기

    인천 버스 무정차 신고 - incheon beoseu mujeongcha singo


◾ 본 민원 메뉴는 국민신문고와 연계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경기도청 홈페이지와는 별도로 본인인증 또는 국민신문고 회원가입(회원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국민신문고 이용 시 궁금 사항 문의

정부민원안내 콜센터 (국번없이) 110 / 시스템관련 이용문의 1600-8172 상담안내 09:00~18:00(평일)

국민신문고 바로가기 새창열림 아이콘 120 콜센터 새창열림 아이콘

120 콜센터 새창열림 아이콘

게시물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할 경우, 아래 담당부서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인천 시내버스 불편, 불친절 민원신고 (카카오톡 채팅 접수)

_

인천 시내버스를 이용하면서 버스가 무정차 통과를 하거나 과속이나 난폭운전 등 기사님이 불친절해 불쾌했던 적 있나요?

아니면 기사님이 너무 친절해서 기억에 남았던 적은 있나요?

인천 버스 무정차 신고 - incheon beoseu mujeongcha singo

이제는 이러한 인천 시내버스 민원사항을 인천시민들의 의견을 자유롭고 편리한 방법으로 전달이 가능합니다.

_

인천 시내버스 불편, 불친절 민원신고 (카카오톡 채팅 접수)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 시내버스 승객들의 불편 사항이
좀 더 편리하고 신속하게 개선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인천 버스 무정차 신고 - incheon beoseu mujeongcha singo
카카오톡에서 버스 업체명을 검색해 채널을 친구추가 후 가능

인천광역시는 시내버스 준공영제 34개 업체의 협조를 받아 11월 1일부터 카카오톡 채널에서 버스 이용 불편 사항 민원을 접수받습니다.

2009년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이후, 서비스 개선을 열망하는 시민들의 높은 기대감과 다양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그간 불편 사항은 120미추홀콜센터, 국민신문고 등을 통해야만 민원을 접수할 수 있어 신속한 답변이 어려웠습니다.

이에 따라 인천시, 인천시버스운송조합, 시내버스 준공영제 34개 업체는 시내버스 승객들의 불편을 최소화를 위해 ‘카카오톡 실시간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협의 했다고 밝혔습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카카오톡 채널 서비스를 이용하면 승객들은 보다 쉽고 빠르게 운수업체에 의견을 전달할 수 있고, 운수업체는 신속하게 불편 사항을 접수(처리) 할 수 있어 시민들에게 더 나은 버스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인천시민 누구나(중구,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강화군, 옹진군) 카카오톡에서 버스 업체명을 검색해 채널을 친구추가 한 후, 불편·칭찬·제안사항을 입력·전송하면 각 업체 담당자의 실시간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운영시간 10:00 ~ 16:00, 운영시간 외 민원은 시로 접수)

_

본 내용은 인천시 공식홈페이지
출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인천 버스 무정차 신고 - incheon beoseu mujeongcha singo

카카오채널 이용안내 시내버스 내 홍보문.|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시내버스의 무정차 통과와 승차 거부, 불친절 등의 민원을 다음달부터 카카오톡으로 접수받는다.

인천시는 시내버스 승객들의 불편사항을 신속하게 개선하기 위해 준공영제 34개 운송업체의 협조를 받아 11월 1일부터 카카오톡 채널에서 신고를 받기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그동안 시내버스 불편민원은 120 미추홀콜센터나 국민신문고 등을 통해 접수받아 신속한 답변이 어려웠다.

올해 버스 불편민원은 8192건이다. 무정차 통과가 2853건으로 가장 많고, 이어 불친절 1607건, 승차거부 897건, 난폭운전 836건, 배차간격 미준수 525건 등이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카카오톡 채널 서비스를 이용하면 승객들이 보다 쉽고 빠르게 의견을 전달할 수 있고, 운수업체는 신속하게 불편사항을 접수해 처리할 수 있다. 인천시는 카톡으로 민원이 접수되면 좀 더 편리하고 신속한 버스운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내버스 승객이면 누구나 카카오톡에서 버스 업체명을 검색해 채널에 친구추가를 한 후 난폭운전과 승차거부, 무정차 통과 등 불편사항과 기사님 칭찬, 버스에서 경험한 따뜻한 이야기 등을 입력, 전송하면 된다. 편리하고 안전한 버스만들기를 위한 다양한 제안도 받는다.

인천시 관계자는 “버스운송서비스 개선을 바라는 시민들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불편민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