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계량기 수압조절 - sudogyelyang-gi suabjojeol

반응형

#수도계량기 수전 확인

 

수전은 싱크대, 세면대, 샤워기 등 모든 수도를 사용하는 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물의 양을 조절해 주는 장치를 말합니다. 세면대의 경우 수도꼭지 모양으로 하단에

 

설치되어 있고 샤워기의 경우 동전으로 돌릴 수 있게 설치된 경우도 있죠.

 

 

일단 가장 먼저 확인할 것은 바로 수도계량기 옆의 수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 수도계량기 옆의 수전은 잠그면 집안의 모든 물이 나오지 않고

 

풀어놓으면 물이 나오죠. 얼마나 풀어놨냐에 따라 전체적인 수압이 달라집니다.

 

 

보통 만질 일이 없기는 하지만 수도 공사를 하거나 여러 원인에 의해서 조금 잠겨있을 수

 

있습니다. 이걸 먼저 확인해서 전체적인 수압을 조절해 줍니다.

 

수도계량기 수압조절 - sudogyelyang-gi suabjojeol
수도계량기 수압조절 - sudogyelyang-gi suabjojeol

 

 

#샤워기 수전 확인

 

수도 계량기를 조절했음에도 불구하고 샤워기만 수압이 약하다? 

 

이럴 경우엔 샤워기 자체에 달려있는 수전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샤워기의 수전 장치는 좀 위치가 다양한데요. 수도꼭지를 바라보았을 때 

 

정면에 좌우 일자 드라이버 형식이 일반적입니다. 이걸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수압이 약해지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수압이 강해집니다.

 

수도계량기 수압조절 - sudogyelyang-gi suabjojeol

 

왼쪽은 뜨거운 물이고 오른쪽은 차가운 물이니 양쪽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돌려주세요. 한 번에 너무 돌리면 물이 세거나 잘못하면 뿜(?)어져 나옵니다.

 

일자 드라이버로 돌리면 가장 좋고 없으면 임시방편으로 500원짜리 동전을

 

사용해서도 돌릴 수 있습니다.

 

 

 

#샤워기 헤드청소 혹은 교체

수전 확인을 다 확인했는데도 불구하고 샤워기의 수압이 약하다면 남은 것은

 

바로 '샤워기 헤드'의 문제입니다. 샤워기를 오래 사용하면 오물이나 이물질이

 

생기기 마련이니까요.(녹물, 물때 등...)

 

수도계량기 수압조절 - sudogyelyang-gi suabjojeol

 

이럴 경우 샤워기 헤드와 호스를 분리하여 화장실 청소용 전문용품을 구매해

 

샤워 호스 및 헤드를 청소해주면 됩니다.

 

물론 분리하는 게 조금 어려울 수도 있는데(몽키스패너나 렌치가 있어야 분리가 편합니다.)

 

분리하기 전에 꼭 수전을 닫은 다음에 분리해주세요. 안 그러면 물벼락 맞습니다. ㅜㅜ

 

 

물론 청소하기가 번거로우면 교체를 해보는 것도 괜찮습니다. 최근 나오는 샤워기 헤드

 

제품 중에 저수압용 혹은 절수용 샤워기 헤드는 물의 양이 적어도 강한 수압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들이 있거든요.



보통 '코시나'와 '소프롱' 제품을 많이 추천하는데요.  코시나의 경우 샤워줄의 품질이

 

조금 떨어진다고 들어서 '소프롱' 제품을 구매해서 사용해보았는데 대만족입니다.

 

'미세물줄기'와 '굵은물줄기' 선택할 수 있는데 저는 '미세물줄기' 사용중입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알려줘요. 스피드웨건! 클로로의 잡학창고

'소소한 팁, 정보 모음 > 일반 정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박이란 무엇인가?  (0)2021.07.19영화, 게임 등의 평점이 궁금하다? 그럴때 알면 유용한 리뷰 및 평점 사이트 정보  (0)2021.07.07가슴을 울리는 명언, 카피라이트 모음  (0)2021.06.30미용사 면허증 발급받는 방법은?  (0)2021.06.16이사 및 집 계약시 확인해야할 사항(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0)2021.06.14

안녕하세요.

오늘은 간단하게 수압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포스팅 하게 되었는데요.

지인의 집에 방문했다가 수압이 너무 약하길래

물어봤더니 많이 불편함을 느끼더라구요.

그래서 가압펌프(수압펌프)를 설치하려고 한다는

얘기를 듣고 우선 그 이전에 제가 한번만

확인해볼게 있다며 기다려달라고 했습니다.

그 결과는 포스팅 마지막에 나와있답니다.

너무 간단하니까 우선 꼭 확인해보시고

가압펌프를 설치하시건, 설비를 부르시건 등등

그렇게 하시는게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겠죠.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부분인 수도 계량기.

수도 계량기에 보면 대부분 밸브가 있을텐데요.

(아래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간혹 밸브가 100%다 열려 있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공사나 혹은 입주 초기에 확인하지 않았더라면

이런 경우가 간혹 있더라구요.

친구 집의 계량기도 80%쯤 열려 있었습니다.

대부분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잠금.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풀림.

물이 원활하게 공급되기 위해 풀어주셔야겠죠.

수도계량기를 확인했는데 별다른 소득이 없으시다면,

그 다음 또 너무 간단한 방법이 있죠.

우선 준비물은 집에 누구나 드라이버나 숟가락 있으시죠?

일자 드라이버나 숟가락 둘 중 아무거나 사용하셔도 되고,

동전이 있으시면 동전으로 하셔도 된답니다.

수도계량기 수압조절 - sudogyelyang-gi suabjojeol
수도계량기 수압조절 - sudogyelyang-gi suabjojeol

일자드라이버, 숟가락, 동전 중 하나가 준비되었다면,

이제 수전을 확인해보시면 된답니다.

세면대 뒷 쪽에 보면 물이 공급되는 밸브가 있을텐데요.

온수밸브와 냉수밸브가 나뉘어져 있을테니,

거기에 밸브가 100%다 열려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수도계량기 수압조절 - sudogyelyang-gi suabjojeol
수도계량기 수압조절 - sudogyelyang-gi suabjojeol

그 다음은 샤워기 쪽 수전을 확인해주세요.

샤워기 수전도 마찬가지로 아랫쪽에 보면 밸브가 있는데요.

저게 밸브인지 모르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으시더라구요.

* 여기서 주의할 점! *

수압을 높이고 싶으시다고 너무 많이 풀어버리면

수전이 빠져버릴 수 있으니 적당히 풀어주세요.

수압이 더 이상 높아지지 않는다면,

더 풀어봐야 의미가 없겠죠.

수도계량기 수압조절 - sudogyelyang-gi suabjojeol
수도계량기 수압조절 - sudogyelyang-gi suabjojeol

이때 아까 준비한 숟가락이나 일자드라이버, 동전 등을 사용하게

되는거랍니다.

아래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그리고 수압을 조절하실 때는 

냉수를 기준으로 두시면 안됩니다.

온수를 최대수압으로 만들어주신 후

냉수를 풀고 잠궈서 적당한 수압을 만들어주셔야 한답니다.

저는 그런경험이 없었지만, 전문가분들께 여쭤보니

씻다가 갑자기 짧게 찬물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그게 냉수밸브를 너무 많아 풀어둬서 그런경우가 있다고해요.

수도계량기 수압조절 - sudogyelyang-gi suabjojeol
수도계량기 수압조절 - sudogyelyang-gi suabjojeol

수도계량기 수압조절 - sudogyelyang-gi suabjojeol
수도계량기 수압조절 - sudogyelyang-gi suabjojeol

이렇게하면 모두 끝나는 거랍니다.

욕실 변기에 물이 차는 속도도 밸브와 연관되어 있답니다.

욕실 변기 뒷쪽에 보면 마찬가지로 밸브가 있답니다.

그럼 결과물 보셔야겠죠?

수도계량기 수압조절 - sudogyelyang-gi suabjojeol
수도계량기 수압조절 - sudogyelyang-gi suabjojeol

어떠신가요? 차이가 좀 느껴지시나요?

어떤 집은 이미 다 풀어둔 상태라 이 방법이 효과가

없을 수도 있겠지만, 생각보다 많은 집에서 밸브를

다 열어두지 않은 상태인데 모르고 계신 분들이 계시더라구요.

친구 집 역시 수전의 밸브들은 거의 다 열려있는 상태였는데,

수도계량기의 밸브가 7~80%정도밖에 안 열려 있었어요.

그렇기에 100% 다 풀어주니까 조금이나마 수압이

상승 되었고, 친구는 이 정도만 돼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것 같다며 돈 굳었다고 매우 좋아했답니다.

위와 같은 방법을 생각보다 모르는 분들이

많으신 것 같아서, 포스팅 하게 되었구요.

돈이 들어가는 것도 아니고, 시간은 길어야 1분입니다.

위와 같은 방법들을 해보시고도 수압이 상승되지 않는다면,

다른 원인이 있을텐데요.

건물 자체의 수압이 낮거나, 해당 가구의 수압이 낮아서

그렇다면 별도의 해결책이 필요할텐데,

결국 돈이 되는거겠죠ㅠㅠ

이 포스팅을 읽고 따라해보신 분들께서는

부디 꼭 효과가 있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건강하고 행복한 하루 보내시고,

다음에 더 좋은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