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P 트랜지스터 회로 해석 - PNP teulaenjiseuteo hoelo haeseog

지금까지의 게시글은 모두 npn transistor 위주로 이루어 졌는데

실제 상황에서는 pnp npn 을 모두 사용한다

이는 후반에 나올 cascode에서 전류원의 임피던스를 높이고, 전압이득을 올리는데 npn 과 pnp를 각각 두개 씩 사용하는구조가

아주 유용하기 때문이다.

지금은 알 필요없다. 증폭기들을 다 공부하고 난 후에 캐스코드라는 카테고리를 들어가서 확인하길 바란다.

어쨌든 pnp라고 해봤자 딱히 다를건 없다.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pn접합 조건도 동일하다

PNP 트랜지스터 회로 해석 - PNP teulaenjiseuteo hoelo haeseog

그냥 우리가 생각하는 carrier의 종류가 전자에서 정공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간단하게 그림으로 설명하겠다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정확한 pnp bjt의 물성을 알려주는게 목표가 아니다

전류의 흐름과 대략적인 작동 원리를 알려주고 그를 활용에 회로를 해석하고 설계 하는 전자회로의 과목에 맞춰서 최대한 야매(?)로 설명하겠다

PNP 트랜지스터 회로 해석 - PNP teulaenjiseuteo hoelo haeseog

이는 pnp 트랜지스터가 active영역에 있을때 캐리어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전극의 방향에 주의하기 바란다.

에미터 와 베이스는 순방향 접합, 베이스와 컬렉터는 역방향 접합이다.

먼저 에미터에 있는 정공은 순방향 접합으로 인해 베이스로 이동한다.

에미터에서 베이스로 넘어온 정공은 곧바로 베이스 컬렉터 정션의 공핍층에 흡수되고

공핍층 내의 강한 전계로 인해 컬렉터로 바로 빠져버리듯 이동한다

컬렉터로 이동한 정공은 컬렉터에 연결된 음극(-)에 붙잡히듯 이동한다.

추가로 에미터에서 베이스로 정공이 이동하면서, 베이스에 있던 전자와 넘어온 정공은 재결합을 하게되고

이때 사라진 전자를 VEB가 공급하는데, 이때문에 베이스 전류가 생긴다.

따라서 IE = IB + IC 가 여전히 성립한다

포화모드일때와 차단 모드일때도 npn 과 똑같이 생각하면 된다. 중심이 되는 캐리어가 정공일 뿐.

전압의 극성이 npn 일때와 반대가 되니 VBE 가 아닌 VEB 이런식으로 반대로 표현될것이다.

당연한거다 위 그림의 전압 극성을 잘 보라.

전류 또한 컬렉터에서 에미터로 흐르는게 아닌, 에미터에서 컬렉터로 흐르게 된다.

PNP 트랜지스터 회로 해석 - PNP teulaenjiseuteo hoelo haeseog

PNP 트랜지스터 회로 해석 - PNP teulaenjiseuteo hoelo haeseog

특성식은 다음과 같이 변하게 된다.

pnp 의 바이어스 해석은 npn 과 별 다를바가 없을테니 어렵지 않을거고

pnp 트랜지스터의 소신호 모델은 어떻게 될까?

npn 의 소신호모델을 그렸던것처럼 각 교류 전압이 교류 전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수식적으로확인해보자

내 글을 처음 본 사람이라면 헷갈릴 수 있으니 아래 게시글을 대충 읽어보기 바란다

많은 사람들이 gm rπ ro 가 도데체 어떤 의미인가를 고민할것이다. 이는 쉽지않다. 트랜스컨덕턴스라는 생소한 용어부터시작해서,,

가장 쉽게 이해 하는 방법은 rπ가 도대체 무엇인지 고민하며, 용어의 의미를 알아내기보다

veb 가 ib 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기호로 표현 한 것이 바로 rπ 임을 깨닫는것이다.

이는 미분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델타 vEB 는 vEB 의 극소 변화량 즉 소신호(교류성분) veb 를 의미한다!

PNP 트랜지스터 회로 해석 - PNP teulaenjiseuteo hoelo haeseog

rπ 가 아니라 왜 gπ 가 나오는거지? 아래의 회로를 잘 보라. 단순히 회로적으로 위 공식을 표현 한 것일 뿐이다

PNP 트랜지스터 회로 해석 - PNP teulaenjiseuteo hoelo haeseog

따라서 veb 와 ib 사이는 rπ 라는 저항이란 소자로 연결된다고 볼수 있다

그다음 ic 와의 관계는?

PNP 트랜지스터 회로 해석 - PNP teulaenjiseuteo hoelo haeseog

이렇게 표현될것이므로 이 수식들을 토대로 소신호 회로를 그린다면

PNP 트랜지스터 회로 해석 - PNP teulaenjiseuteo hoelo haeseog

이와 같이 표현된다. 뭔가 생소하다. 전압 극성도 잘 모르겠고 전류원 방향도 저렇지 않은것 같았는데

이는 표기하기 나름이다

그냥 전압의 알파벳을 뒤집고 마이너스 부호를 붙여주면

PNP 트랜지스터 회로 해석 - PNP teulaenjiseuteo hoelo haeseog

익숙한 모양의 소신호 모델이 등장한다

이로써 알 수 있는점은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npn과 pnp의소신호 모델은 똑같으며, 소신호 전류의 방향도 그냥 똑같이 생각하면 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