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 이노 브레드 보드 - adu ino beuledeu bodeu

아두 이노 브레드 보드 - adu ino beuledeu bodeu


브레드보드(빵판)이란?


Protoboard라고도 불리는 브레드보드(breadboard)는 전기 및 전자회로 실험에서 기판에 납땜을 하지 않고도 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회로 구성용 도구로서, 정식 명칭은 solderless breadboard 또는 solderless plugboard이다. 브레드보드에는 여러 가지 크기와 형태가 있으나 각 쓰임새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브레드보드는 납땜을 하지 않고 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시제품을 만들 거나, 간단한 실험용으로 사용한다.  

<브레드보드의 여러가지 종류>

브레드보드(빵판) 알아보기


브레드보드는 세로로 파진 홈(notch)인 중앙선(centerline)의 좌우에 위치한 수평 방향의 단자 띠(terminal strip)와 수직 방향의 버스 띠(bus strip)로 구성된다.  단자 띠부품들 간의 연결을 위한 것이고, 버스 띠전원 공급을 위한 것이다.

<브레드보드(빵판)>

이미지 출처 : 서적(기초전자공학)

단자 띠는 횡방향의 다섯 개의 접점으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하나의 판 스프링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서로 연결되어있지 않고 세로로 하나의 열을 이루는 접점은 통상 중앙선의 좌측에서 중앙선 쪽으로 a, b, c, d, e와 같이, 중앙선의 우측으로 f, g, h, i, j와 같이 클립 열(clip column)의 명칭이 붙여져 있다.

버스 띠에는 전원선(+)으로 사용하는 것과 접지선(-)으로 사용하는 두 가지가 있는데 이들은 각각 적색선과 청색선 또는 흑색선으로 표시되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브레드보드(빵판) 사용법


1. 빨간색 부분(부적절한 배치)

하나의 부품이 내부에서 연결되어있는 라인에 꽂았기 때문에 합선이 일어난다. 따라서 해당 부품들은 동작을 할 수 없다. 

위와 같이 부적절하게 꽂고 전원을 연결하면 쇼트(단락)되어 부품이 타거나 폭발할 수 있으니 조심하자.

2. 파란색 부분(적절한 배치)

내부에서 합선이 일어나지 않는다. 분리된 라인에 알맞게 꽂았으므로 각 부품들은 정상적으로 동작을 할 수 있다. 

회로적으로 연결된 부품들이나 전원이 있다면 같은 라인에 꽂아주면 된다. 

직접 해보기


문제 : 위와같이 배터리(해당 건전지는 9V), 저항, LED가 있을경우 어떻게 하면 LED를 켤 수 있을까?

tag arduino, 무료 아두이노 강의, 무료 아두이노 강좌, 브레드보드, 브레드보드 꽂는 방법, 브레드보드 사용법, 브레드보드 실습, 브레드보드 종류, 빵판 꽂는 방법, 빵판 사용법, 아두이노, 아두이노 강의, 아두이노 강좌, 아두이노 무료 강의, 아두이노 무료 강좌, 아두이노강의, 아두이노강좌, 아두이노기초


안녕하세요. 이지이지입니다.

이번 아두이노 세번째 포스팅에서는 브레드보드(일명 빵판)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에 브레드보드를 보았을 때, 너무나 구멍이 많아,,,,부품을 어디에 꽂아야 할지...

너무 어렵다...복잡하다....바로 포기할까...생각도 했었지만

조금씩 익숙해져 가면서 정복 못할 녀석은 아니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브레드보드를 사용하는 이유?

브레드보드는 실제 PCB기판(인쇄회로기판)에 납땜 등을 하지 않고 시제품을 만들거나 테스트를 해보기 위해 시험용, 실험용으로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자....그럼 이제 브레드보드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브레드보드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두 이노 브레드 보드 - adu ino beuledeu bodeu
브레드보드의 구조

버스 띠: 전원 공급을 위한 띠로 +전원선과 -접지선이 있습니다.

- 전원선(+)은 아두이노보드에서는 5V, 3.3V, 디지털입출력핀(1~13, 1은 가급적 사용 자제) 과 연결하며

일반 부품들의 +와 연결합니다. 보통 빨간색으로 표시합니다.

브레드보드 내부에서 세로로 모두 연결되어 있습니다. (※ 좌측편과 우측편의 +끼리는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 접지선(-)은 아두이노보드에서는 GND와 연결하고, 부품들의 -와 연결합니다. 보통 파란색 또는 검정색으로 표시합니다.

브레드보드 내부에서 세로로 모두 연결되어 있습니다. (※ 좌측편과 우측편의 -끼리는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저항은 극성이 없어 +, - 어느 쪽에 연결해도 상관 없으나 보통 + 쪽에 연결을 더 많이 한다고 합니다.

단자 띠: 부품을 꽂는 영역으로 위의 이미지에서 보듯 a~e까지 f~j까지는 브레드보드 내부에서 가로로 서로 금속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 좌측 단자 띠와 우측의 단자 띠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점퍼 선을 통해 서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단자 띠에 꽂는 부품들은 부품의 연결부위를 서로 다른 라인에 꽂아야 합니다. 같은 라인에 꽂을 경우 합선이 일어나게 됩니다. 다른 라인에 꽂아야 하는 것만 지키면 1~30 어디에 꽂아도 상관없습니다.

    브레드보드 사용 예(적절한 배치와 부적절한 배치)
아두 이노 브레드 보드 - adu ino beuledeu bodeu
브레드보드 사용의 예

위의 이미지에서 좌측편의 부품들은 부적절하게 배치되었습니다. 부품들의 연결부위를 모두 같은 라인에 꽂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우측의 부품들은 연결 부위를 다른 라인에 꽂았기 때문에 적절하게 배치가 되어 있습니다.

브레드보드에 부품을 배치하고 아두이노 보드와 연결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합니다.

이 글을 읽는 분들이 초보자임을 감안하여

제가 처음에 헷갈려했던 +와 -, 전원 공급 등에 대해 몇 가지 예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예시 1. 하나의 부품을 직접 전원(디지털입출력핀)과 접지핀(GND)으로 연결하는 경우

아두 이노 브레드 보드 - adu ino beuledeu bodeu
예시 1

예시 2. 하나의 부품을 버스 띠를 통해 전원(디지털입출력핀)과 접지핀으로 연결

아두 이노 브레드 보드 - adu ino beuledeu bodeu
예시 2

- LED (-) ∞ 버스 띠 (-) ∞ GND

- LED (+) ∞ 저항 ∞ 버스 띠 (+) ∞ 8번 핀


예시 3. 여러 개의 부품을 버스 띠를 통해 전원(5V)과 접지핀으로 연결

아두 이노 브레드 보드 - adu ino beuledeu bodeu
예시 3

- LED (-) ∞ 버스 띠 (-) ∞ GND

- LED (+) ∞ 저항 ∞ 버스 띠 (+) ∞ 5V


예시 4. 여러 개의 부품 각각 디지털입출력핀을 통해 전원 공급, 버스 띠를 통해 접지핀 연결

아두 이노 브레드 보드 - adu ino beuledeu bodeu
예시 4

- 전체 LED (-) ∞ 버스 띠 (-) ∞ GND

- 초록색 LED (+) ∞ 저항 ∞ 7번 핀

- 노란색 LED (+) ∞ 저항 ∞ 6번 핀

- 빨간색 LED (+) ∞ 저항 ∞ 5번 핀


기본적인 브레드보드 사용법에 대해 좀 이해가 가셨나요?

이상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 마치도록 하고,

다음 아두이노 포스팅부터는 실제 예제를 통해 아두이노를 배워가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