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그룹정책편집기 사용법 - lokeolgeulubjeongchaegpyeonjibgi sayongbeob

이번시간에는 윈도우10 gpedit.msc 실행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 하는데요 저도 최근 윈도우10 을 이용하다가 해당 창이 열리지 않아서 고생했던 만큼 여러분들에게는 쉽게 이용하실 수 있도록 빠른 해결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윈도우10 gpedit.msc 같은 경우 윈도우10 pro 버전은 문제없이 사용 가능하지만 home 버전이나 그보다 낮은 경우 오류 메시지가 나오면서 실행이 불가능하다고 나오게 됩니다 ㅠㅠ 물론 해당 기능이 설치 되지 않은것 뿐이라서 설치만 해준다면 실행이 가능한데요 별로 어렵지 않은 내용이다보니 쉽게 설명해드릴 수 있을것 같네요 ㅎㅎ 물론 이것때문에 윈도우 버전을 다시 설치하시는 분들은 없겠지요~ 바로 따라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윈도우10 홈 버전인 경우에 문제가 되는것을 확인했는데요 자신의 윈도우 버전을 살펴보시고 만약 해당버전과 같다면......

로컬그룹정책편집기 사용법 - lokeolgeulubjeongchaegpyeonjibgi sayongbeob

실행창에 gpedit.msc 명령어를 입력하시고 엔터키를 눌러보겠습니다~

그럼 다음과 같은 오류창이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해주기 위해서는 스크립트 파일 한개만 실행 해주시면 되는데요 바로 설치가 되기 때문에 gpedit.msc 가 문제 없이 실행되게 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파일 하나를 받아주셔야 하는데요 다음 첨부되어 있는 파일을 다운로드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최신 파일로 받고 싶으신 분들은 구글 검색창에 위 그림과 같이 enable gpedit windows 10home 을 검색해주시면 해당 사이트를 쉽게 찾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gpedit-enabler.bat 다운로드 받는곳

위에서 받아주신 gpedit-enabler.bat 파일을 실행만 해주시면 되는데요 실행을 해주실때에는 반드시 해당 파일을 마우스 우클릭 해주신 다음에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해주셔야 하겠습니다~

그럼 바로 해당 배포 이미지 서비스 및 관리 도구 항목이 실행되면서 패키지가 추가되게 됩니다 물론 시간이 그렇게 오래 걸리는 것은 아니니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위 그림과 같이 작업을 완료 했다고 뜨게 되면서 계속 진행하려면 아무키나 누르라고 나옵니다 아무키나 눌러주시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자 이제 윈도우10 gpedit.msc 실행이 잘되는지 확인해 보셔야 하겠죠 다히 Ctrl + R 키를 누르셔서 해당 명령어를 입력한다음 확인을 눌러보겠습니다

자 이제 위 그림과 같이 정상적으로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창이 뜨는 것을 확인해 주실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윈도우10 gpedit.msc 실행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스크립트 파일 하나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혹시 다른 곳에서 해메고 계셨던 분들은 위 내용을 잘 읽어보시고 그대로 따라해 주시면 문제를 쉽게 해결해 주실 수 있으실 겁니다 혹시 이와 다른 문제가 있으신 분들은 아래 내용도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윈도우10은 운영체제의 설정 과 기능등을 조절 할수 있는 다양한 도구를 제공해주는것 이 큰 장점 중 하나 일 듯 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와 로컬 그룹 정책기 가 대표적인 툴입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백업 하는 등 몇가지 다루어 보았었는데 로컬 그룹 정책기 관련 해서 좀더 정리해 보려합니다.

사용성을 위해 또는 여러가지 사유로 로컬 그룹 정책기를 커스터마이징 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것을 디폴트 값으로 변경할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로컬 그룹 정책기는 일반 적으로 윈도우 홈 버전에서는 지원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 경우 수동으로 설치해서 사용 할 수 있는 방법을 아래에 안내 하고 있으니 홈 버전 사용자는 참고 하길 바랍니다.

윈도우 로컬 그룹 정책기 (gpedit.msc) 설치 하는 방법(링크)

1.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초기화 하는 방법

로컬 그룹 정책의 모든 변경 사항을 기억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할것입니다.

그렇기에 Microsoft는 모든 정책 편집기 설정을 쉽게 재설정 할 수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로컬 그룹 정책기에서 적용하는 방법과 명령 프롬프트에서 적용하는 방법 이렇게 두가지를 정리해봅니다.

1.1.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에서 적용하는 방법

로컬그룹정책편집기 사용법 - lokeolgeulubjeongchaegpyeonjibgi sayongbeob
로컬그룹 정책기 실행

Win+R을 눌러 gpedit.msc 명령어를 실행해줍니다.

로컬그룹정책편집기 사용법 - lokeolgeulubjeongchaegpyeonjibgi sayongbeob
Microsoft management Console

Microsoft management Console 창이 열리는 경우가 있는데 본인윈도우 에 맞는 항목을 선택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로컬그룹정책편집기 사용법 - lokeolgeulubjeongchaegpyeonjibgi sayongbeob
로컬그룹정책편집기 내 모든설정 메뉴 위치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실행 후 몯든 설정 메뉴를 찾아줍니다.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컴퓨터 구성 (①) → 관리 템플릿(②) → 모든 설정(③)

로컬그룹정책편집기 사용법 - lokeolgeulubjeongchaegpyeonjibgi sayongbeob
모든 설정 페이지 상태 탭 정렬

모든 설정 에서 상태 창을 클릭해서 상태값 을 정렬 해줍니다.

그러면 구성되지 않음 , 사용안함 또는 사용 등으로 표기 되어 집니다.

로컬그룹정책편집기 사용법 - lokeolgeulubjeongchaegpyeonjibgi sayongbeob
자동 업데이트 구성 설정 변경

기본 정책 설정은 기본적으로 구성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또는 '사용 안함'으로 표시되는 항목이 수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용 또는 사용안함으로 표기된 정책을 두 번 클릭(①) 하고 '구성되지 않음'을 선택 (②) 해주도록 합니다.

그리고 이어서 적용(A) 탭(③) 과 (A) 확인 탭(④) 을 순서대로 눌러줍니다.

이렇게 개별적으로 변경된 항목을 찾아 수정 해줄수 있습니다.

1.2. 명령 프롬프트 에서 적용하는 방법

위의 방법이 조금은 번거로울수 있습니다.

그경우 아래 방법을 고려해볼수 있습니다.

로컬그룹정책편집기 사용법 - lokeolgeulubjeongchaegpyeonjibgi sayongbeob
명령프롬프트 CMD 실행

Win+R을 눌러 cmd 를 입력 후 명령프롬프트를 실행해줍니다.

이렇게 실행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되어 편합니다.

로컬그룹정책편집기 사용법 - lokeolgeulubjeongchaegpyeonjibgi sayongbeob
명령프롬프트창 명령어 입력

RD /S /Q "%WinDir%\System32\GroupPolicyUsers" && RD /S /Q "%WinDir%\System32\GroupPolicy"

RD /S /Q "%WinDir%\System32\GroupPolicyUsers" && RD /S /Q "%WinDir%\System32\GroupPolicy"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위 명령어를 입력 해줍니다.

로컬그룹정책편집기 사용법 - lokeolgeulubjeongchaegpyeonjibgi sayongbeob
명령프롬프트창 명령어추가 입력

gpupdate /force

gpupdate /force

처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실행 후 위 명령을 추가로 입력하여 변경 사항을 업데이트합니다.

로컬그룹정책편집기 사용법 - lokeolgeulubjeongchaegpyeonjibgi sayongbeob
컴퓨터 정책 업데이트 완료 안내

이와 같이 정책 업데이트 후 완료 안내 문구가 나오면 명령 프롬프트 창을 닫고 컴퓨터를 재부팅 해줍니다.

2. 영상으로 한번더 설명

이해를 돕기 위해 영상 설명 첨부하니 참고 바랍니다.

3. 마무리

이렇게 간단하게 로컬그룹 정책기를 초기화 하여 원상태로 돌리는 방법을 두가지 알아 보았습니다.

본인에 맞는 방법으로 정해서 적용을 하면 좋을듯합니다.

4. 참고

Windows 10에서 모든 로컬 그룹 정책 설정을 재설정하는 방법_유튜브(링크)

레지스트리 (Registry)를 백업 하는 방법 안내(링크)

레지스트리 (Registry)란 무엇이며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하는 방법 정리(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