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브 드 모니터 체감 - keobeu deu moniteo chegam

모니터를 구매할 때 무조건 커브드를 선호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물론 커브드 모니터의 장점도 있고, 만족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만족하지 않는다’라던지 ‘굳이 커브드로 살 필요가 없었다’라고 이야기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럼 왜 이런 의견들이 나오는 것일까요.

바로, 커브드 모니터의 단점 때문일 것입니다. 이런 단점들은 굳이 커브드를 사지 않아도 되는 이유를 설명해줍니다.

모니터 구매하기 전 커브드 모니터의 단점을 확실하게 알고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그럼 어떤 단점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죠.

1. 커브드 모니터 단점 5가지

1) 곡률의 효율에 따른 단점

곡률의 효율이 왜 단점일까요.

이유는 가격 대비 얼마 큼의 효율을 발휘하는가에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커브드 모니터는 평면 모니터에 비해 비싼 가격으로 측정됩니다. 그에 대비하여 과연 어느 정도의 효율이 있는가를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커브드 모니터의 진가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화면의 크기와 비율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됩니다.

즉, 모니터가 크고 비율이 21:9 정도의 와이드 한 모니터의 경우에 그 진가를 발휘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32인치 미만, 일반 비율의 모니터라면, 커브드를 100% 체감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가격 대비 체감률이 떨어진다는 것은 단점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사용 환경에 따른 단점

한대를 사용한다면 상관이 없겠지만, 듀얼 모니터로 이용한다면 단점으로 작용될 수 있습니다.

커브드 모니터의 경우, 사용자가 화면의 중앙에서 바라보도록 맞춰져 있습니다.

만약 커브드 모니터의 중앙에 앉아 사용하지 않는다면 왜곡되어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나의 모니터만 사용한다면 단점이 아니지만, 두대의 모니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단점으로 작용하게 될 수 있습니다.

3) 사용용도에 따른 단점

사용용도에 따른 단점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혼자서 컴퓨터를 보는 경우가 아닌 여러 명에서 함께 보는 경우를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모니터를 구매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대부분 혼자서 업무나 게임을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질 것입니다.

하지만 간혹 여러 명에서 영화를 보거나 영상 등을 보기 위한 용도로 더 많이 사용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꼭 여러 명이 아니더라도 모니터 바로 앞에 앉아 보는 것이 아닌, 조금 떨어진 곳에서 영화를 감상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커브드 형태는 오히려 단점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4) 떨어지는 내구성에 따른 단점

사용해 본 사람들이 많이 이야기하는 단점 중 하나는 내구성이 낮다는 것입니다.

보통 평면 모니터에 비해 내구성은 떨어지게 됩니다. 패널을 구부리는 공정상의 특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제품마다 다르겠지만 밝기의 미세한 차이나 충격 시 파손의 위험이 높다는 것도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겠습니다.

저의 경우는 아직 파손된 경험이 없지만 사용후기의 글을 읽어보면, 평명에 비해 쉽게 파손된다는 글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니터가 충격을 받을 일은 거의 없기 때문에 내구성이 낮다는 것이 큰 단점은 되지 않을것입니다.

단, 모니터를 자주 이동해야 하는 경우나 아이들이 많아 충격의 위험이 높은 경우라면 단점으로 크게 작용할 수도 있겠습니다.

5) 가격에 대한 단점

많이 저렴해졌지만 그래도 평면 모니터에 비해서는 가격이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비싼 가격에 대한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어떤 경우 사면 좋을까

1) 제품의 선택이 중요하다

커브 드 모니터 체감 - keobeu deu moniteo chegam
LG전자 88.9cm WQHD 커브드 모니터

커브드 모니터의 장점을 100% 체감하기 위해서는 32인치 이상의 크기나, 울트라 와이드 모니터를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27인치까지는 괜찮다고 하는 분들도 있지만, 27인치를 사용하고 있을 경우 모니터를 한대 더 구매하여 듀얼로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32인치 이상의 크기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2) 사용환경과 사용용도를 생각해 보자

사용환경과 사용용도를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위에서 이야기했듯 한대가 아닌 두대의 모니터를 사용하게 될 경우 일반 평면 모니터의 사용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용도가 그래픽 작업이거나, 조금 먼 거리에서 영화를 본다거나 여러 명 함께 보는 일이 많다고 한다면 일반 평면 모니터가 좋을 것입니다.

반대로 혼자 PC를 사용하고, 게임 등을 할 때 몰입감을 높이길 원할 경우 커브드 모니터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영화도 혼자 몰입도를 높여 감상하고 싶다면 커브드 모니터를 추천드립니다.

오랜 시간 몰입도를 높일 수 있고 눈의 피로도 덜어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커브드 모니터 추천 제품을 보고 싶다면 아래 글을 확인해보세요.

☞ 커브드 모니터 가이드, 추천 TOP 7(커브드 100% 체감하기)

커브드 모니터의 장점에 대해서는 많이 이야기하는데 단점에 대해서는 많이 이야기를 하지 않는 거 같아서 커브드 모니터의 단점들을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모니터를 고민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커브드 모니터의 단점에 대해서 포스팅하고 구입에 대해 검토를 해보길 추천드립니다.

1. 커브드 모니터 장점

커브드 모니터의 장점이라고 하면 모니터 좌우가 자연스럽게 곡선으로 돼있어 모니터의 모든 범위를 사람이 보는 눈의 위치와 일정하게 본다는 취지가 커브드 디스플레이의 첫 번째 가장 큰 장점으로 꼽습니다. 거기에서 오는 효과로 영상을 보거나 게임을 할 때 좌우 끝에까지 왜곡 없이 볼 수 있고 색감이나 인식하는데 도움이 된다 하여 게이밍 모니터에도 커브드가 많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커브드 모니터가 없어서 한번 체감을 하시려면 주변 PC방에 대부분 커브드 모니터를 설치해놓은 자리가 있습니다. 체감을 많이 느끼시는 분들은 느끼지만 못 느끼시는 분들은 인지를 못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럼 장점이 곡률로 인해서 눈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 밖에 없냐라고 이야기하면 그것밖에 장점이 없다고 봅니다. 커브드 모니터를 지금 2대를 써보고 현재는 한성 커브드 모니터를 쓰고 있는데 커브드 모니터가 효율이 얼마나 떨어지고 단점들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2. 커브드 모니터 단점 정리

  • 곡률의 효율이 떨어진다.
  • 뽑기를 잘해야 된다.
  • 내구성이 너무 안 좋다.

이렇게 세 가지의 단점을 풀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곡률의 효율이 떨어지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을 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책상 위에 있는 본인의 모니터의 크기는 대부분 24~32인치입니다. 모니터를 40인치나 큰 모니터를 쓰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게임도 병행한다면 대부분 저 크기의 모니터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 정도의 크기에서는 곡률이 들어가 있어도 효과가 미미합니다.

간단한 예를 들자면 영화관은 스크린이 거대해 양옆이 멀리 있어 잘 보이지 않아 현재 거의 모든 영화관은 끝처리를 하게 됩니다. 거대한 화면이면 스크린 중간과 끝이 몇 미터가 떨어져 있는데 가장자리 쪽이 멀어 보이고 눈에 안 들어오는 것이 당연합니다. 하지만 사무실이나 가정집에서 쓰는 컴퓨터용 모니터는 34인치 이하라 곡면이 들어가도 양옆의 거리가 50cm 이하라 그 차이를 느끼고 차이를 느끼는 게 크지 않습니다. 일반 모티 너를 쓰다가 커브드 모니터로 바꿔보면 잠깐 곡률을 체감이 되지만 30분 이내로 익숙해지면 일반 모니터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원래 컴퓨터나 성능에 민감하신 분들은 이 정도 곡률이라고 해도 느껴지신다는 분들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그 효율이 너무 떨어집니다. 두 번째는 내구성이 너무 안 좋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은데 이전에 구입한 커브드 모니터는 수리도 못하고 버렸습니다. 커브드 끝부분부터 화면과 떨어지기 시작하더니 떨어진 부분부터 모니터 화면이 손상되어서 검은색 반점이 올라오고 결국에는 사용하지 못할 수준까지 왔습니다. 수리해보려고 문의하니 가격도 모니터 가격 정도 나와 수리도 못하고 처분했습니다.

일반 모니터는 중소기업에서도 질 낮은 제품을 만드는 곳이 아니라면 시간이 오래 지나면 모니터 색감이 떨어지고 오랫동안 반복된 전원 온오프 때문에 전원 버튼이나 패널의 수명이 다하는 문제를 제외하면 큰 문제가 없습니다. 보드 쪽이 타버려서 버린 제품도 있지만 지금 가지 사용한 10개가 넘는 모니터들 중에서 커브드 모니터만큼 빨리 버리게 된 제품은 일반 모니터 포함해서 2개밖에 없습니다. 나머지는 수명이 오래돼서 버린 것을 제외하고 기본 3년 이상 사용 가능했습니다.

곡률 때문에 그에 맞게 플라스틱과 재질을 휘게 만든 것이 시간에 지남에 따라 일반 모니터보다 내구성의 문제가 생기기 쉽고 커뮤니티나 컴퓨터 관련 사이트들에서도 많은 분들이 커브드에서 실망해서 다시 일반 모니터로 넘어가는 사례가 많습니다. 아직까지도 커브드 모니터는 너무 이르다는 이야기들도 많이 하십니다.

이제 모니터 구매를 하려고 하면 144hz 이상에 4K 해상도 정도가 기본이 되어가는 시대입니다. 그런 제품에 커브드까지 넣으려고 하면 가격이 훨씬 올라가게 되는데 책상에서 쓰는 제품이라면 커브드 모니터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단점을 정리해봤지만 실사용에서 곡률의 효율을 본인이 살리기에는 미미한 효과이기 때문에 모니터를 구입할 때 더 가격적으로 효율적인 선택을 하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