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 논문 초록 작성법 - gonghag nonmun cholog jagseongbeob

초록 열기/닫기 버튼

초록은 논문의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논문의 인용지수를 높이는 도구이기도하다. 그러나 초록을 작성하는일은 그리 쉽지 않다. 이는 다른 전공 학생들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글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공하계열 학생들에게는더욱 그렇다. 초록은 특별한 이동마디 패턴, 즉 IPMRD (연구 개관,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결과, 토의)를 따르며, 각 이동마디에는 정형화된 표현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록의 구조적 특성과 이동마디별 정형화된 표현을이용하여 공학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논문 초록 작성법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초록의 전형적인 이동마디 구조로 알려져 있는 패턴에 따라 공학계열 석사 학위논문 초록 100 편을 무작위표본추출하여이동마디 패턴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분석한다. 또한 공학계열 박사 학위 논문의 초록을 분석하여 각 이동마디에사용된 정형화된 표현을 추출하여 제시한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결과 중심 교수법을 활용하여 학위논문의 초록을작성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석사 학위논문 초록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초록의 구조가 극히 다양하고, 전형적인 구조인 IPMRD를 제대로갖추고 있는 초록이 17%에 불과하였다. 이는 논문 초록 작성법에 관한 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하겠다. 또한 인문사회계열에서 이루어진 선생연구와는 달리 M(연구 방법)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공학계열 논문이 실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사용한 실험 방법이나 실험 절차, 실험 장치에 대한 정확한 기술을요하므로 초록에서도 이를 비중 있게 다룬 결과로 보인다. 초록에 사용된 정형화된 표현을 살펴보면, 초록은 학문적텍스트의 특성을 지니므로 ‘기대된다’, ‘판단된다’, ‘사료된다’ 등의 서술어로 끝나는 피동문(passive sentence)이 자주사용된다. 더욱이 각 이동마디에는 해당 이동마디에서 자주 사용되는 정형화된 표현들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를 들어, R(연구 결과)의 경우, ‘-(으)ㄹ 수 있었다’와 ‘-(으)로 나타났다’, ‘-(으)로 밝혀졌다’ 등이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록의 이동마디 패턴과 각 이동마디에서 사용되는 정형화된 표현을 활용하여 초록을가르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글에 제시된 대로 초록 작성법을 교육하면, 글쓰기가 다소 부족한 공학계열 학생들도쉽게 초록을 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n abstract provides overall information on a thesis while also being a tool to increase the impact factor of the thesis. However, writing abstracts is not easy, which is especially true for engineering students who usually have more difficulties in writing in comparison to students of other majors. Abstracts follow a special move pattern, i.e. IPMRD (introduction, purpose, method, results, discussion), where each move uses special stereotype express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eaching plan of thesis abstracts writing for engineering students us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stereotype expressions. For this, the study analyses move patterns of 100 abstracts, and extracts and presents stereotype expressions of each move used in them. The analysis of the master’s theses abstracts showed that the abstracts had an extremely diverse structure, and only 17% of them followed a typical structure, i.e. IPMRD. This shows that there is a need for thesis abstract writing education. Moreover, unlike the researches conducte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 (research method) was used most frequently. This is due to a fact that the engineering research papers require accurate descriptions of methods, procedures, and apparatus used in the experiments, and those abstracts reflected such characteristics of the engineering theses. When examining the stereotype expressions used in the abstracts, we can see that the abstracts shared characteristics of academic texts with a frequent use of passive sentences ending in predicates, such as ‘기대된다 (is expected to be)’, ‘판단된다(is judged to be)’, and ‘사료된다 (is thought to be)’. Furthermore, the analysis showed that each move used the stereotype expressions commonly used for that move. For example, in the case of R (research result), expressions such as ‘-(으)ㄹ 수 있었다 (was able to do something)’, ‘-(으)로 나타났다 (was shown as)’, and ‘-(으)로 밝혀졌다 (turned out to be)’ were frequently repeated. On the basis of those results, we propose a result-based teaching method which teaches how to write an abstract, or more precisely, teaches the move patterns of an abstract, and the stereotype expressions used in each move. Engineering students shall write their abstracts with ease, as long as they learn the proper abstract writing methods suggested in this article.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Abstract, Move, Result-based teaching method, Schema, Stereotype expressions

피인용 횟수

  • KCI 0회

  • 508 회 열람
  • KCI 원문 내려받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