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세계 최초의 아파트를 이야기하려면 2,000년 전 고대 로마 시대로 거슬러 가야 한다.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는 말처럼 당시 로마는 세계를 호령하는 거대한 제국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급속한 성장의 결과로 인구가 도시로 몰리고 도시가 급속히 팽창하자 심한 주택난을 겪게 된다.

‘궁하면 통한다’는 말처럼 로마는 오늘날의 공동주택인 집합 주거가 최초로 발달할 수밖에 없었던 환경적 요인이 작용했던 것이다. 천재적인 도로 건설 기술과 광대한 운송 네트워크를 형성했던 로마는 당시에 이미 세계 각처의 사람들이 몰려드는 국제도시로 성장했기에 주거문제가 가장 시급했다.

          인술라insula, 사진 : <경기일보>, 2014.6.12.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당시 로마에는 부자들이 거주하는 ‘도무스domus'('집'을 뜻하는 라틴어로, 로마의 귀족들이 살던집)가 주를 이루었다. 도무스는 대리

석 벽에 바닥은 색깔이 있는 돌로 되어 있었다. 화덕이 있어 집을 따뜻하게 해주고, 물은 파이프가 끌어 올리는 구조였다. 부자들은 도무스라는 단독주택에 주로 거주했지만 주택 수가 부족해지자 4~5층짜리 공동주택이 지어지기 시작했다. 이것이 세계 최초의 아파트라 불리는 ‘인술라insula’이다. 그러나 처음에는 부자나 귀족은 인술라를 그다지 선호하지 않았다. 그들은 아뜨리움과 안뜰을 지닌 도무스라는 주택에서 일과 휴식을 즐겼으며 대리석벽과 유리창, 화려한 장식이 박힌 바닥은 물론 난방용 화덕과 식수용 수로를 갖춘 저택에서 살았다. 도무스 주택은 내향적인 공간구성이었던 반면 인술라는 도로를 향해 개방된 구조가 대부분이어서 인술라는 중산층이나 하층 계급의 몫이었다.

                                                                                                                                                                                     도무스(domus)

인술라는 보통 1층에 점포가 딸린 형태였다. 우리나라의 주상복합아파트와 유사했다. 부자를 제외한 하층민들이 주로 거주했던 집합주택이었다. 로마를 비롯한 도심 지역의 땅값은 매우 비쌌고 도심에 집 지을 땅이 부족했기에 많은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는 인술라는 높게 지어졌지만 6층을 넘지는 않았다. 하지만 6층이라고 해도 당시 기준으로써는 어지러울 정도로 높은 건물이었다. 당시의 기록에 의하면, 로마 전역에는 약 46,000채의 인술라가 있었다고 한다. 부유한 사람들이 거주하는 단독주택이 1,797채 였던 것에 비하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리고 같은 인술라라도 층마다 사는 사람이나 내부 분위기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달랐다. 1층에는 보통 식당을 비롯한 각종 상점들이 들어서 있었고, 2층에는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 거주했지만 윗층으로 갈수록 가난한 사람들이 살았다. 계층이 다른 부류가 혼재되어 있다 보니 오늘날 우리나라 아파트의 층간소음과는 차원이 다른 층간 다툼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그래서 건물 안에는 오늘날 경비실처럼 노예로 이루어진 경비단이 있어 범죄나 싸움을 막았다.

요즘 우리나라는 대부분 부유층과 빈민층이 사는 지역이나 아파트 단지가 어느 정도 구분되지만, 당시에는 사는 집의 층수로 부자와 가난한 사람들을 구분했던 것이다. 갈수록 부자들도 인술라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종종 투기의 대상으로 전락한 아파트지만 당시 로마의 인술라도 부자들의 투기의 대상이었다. 수입이 상당했기 때문이다. 부자들에게 인술라는 그야말로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변하여 점점 투기판으로 전락하게 된다. 다주택자로 골머리를 싸매는 우리나라의 현재 상황과 다르지 않다. 여러 채의 인술라를 소유한 다주택자들은 막대한 임대수입을 올렸다. 특히 로마 같은 대도시의 경우 집값은 다른 지역보다 4배가 넘을 정도였는데, 서울의 집값이 지방의 4배 이상 비싼 우리나라의 현실과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인술라는 한정된 땅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아래층에 상점이 있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비위생적인데다 붕괴와 화재의 위험도 적지 않았고 층수가 높아 오르내리기 불편한 단점도 있었다. 로마에 이같은 인슐라가 등장하게 된 배경은 여러 이유가 있지만 18세기 중반 영국의 산업혁명 영향이 크다. 프랑스 시민혁명과 더불어 산업혁명은 인류가 현대사회의 본모습을 갖추게 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프랑스 시민혁명이 정치적 개혁을 이루었다면 산업혁명은 농업 중심 사회를 공업 중심 사회로 변화시켜 결과적으로 도시로의 인구집중 현상을 가져왔다. 인구가 대거 몰리다 보니 이에 따른 열악한 주거환경, 노동자 착취, 삶의 질 하락과 공해, 질병 등 많은 문제를 야기했다. 그중에서도 주거의 문제가 가장 심각했다. 공장 한 곳에 1000명이 일하면 그 주변에 1000세대가 살 수 있는 집이나 학교, 상가나 도로시설 등이 마련되어야 하지만 공장 주변에는 거주할 만한 주택이 거의 없었다. 영국 역사상 최악의 주거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창문 하나 없는 지하 방이 수두룩했고 간이 숙소, 컨테이너형 임시 거처, 심지어는 방 1개를 2~3개로 나누어 쓰는 2교대, 3교대 방까지 등장했다.

이에 영국 정부는 노동자들의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8세기 후반 <도시계획법>을 만들게 된다. 새로 도입된 도시계획법 덕분에 거주자들의 생활의 질은 어느 정도 높여주었지만 주거유형을 로우하우스(row house, 줄지어 다닥다닥 붙은 주택)와 타운하우스(town house, 3층에 다락방을 두는 주택)처럼 획일화시키는 한계가 있었다. 지금도 영국이나 유럽의 도심 외곽을 걷다 보면 타운하우스와 로우하우스를 흔히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지을 지을 때 옆집과 간격을 띄우지만 타운하우스는 옆집과 간격을 두지 않고 붙여서 지은 집이다. 도심지에 가격이 비싸 집 지을 땅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고대 로마 건축은 고전적인 그리스 건축의 외부 언어를 채택했지만, 그리스 건물과는 다른 새로운 건축 양식이 되었다. 두 양식은 종종 고전주의 건축의 한몸으로 간주된다. 로마 건축은 로마 공화국에서 번성했고, 잔존하는 건물 대다수가 지어졌던 로마 제국 아래서 더욱 번성했다. 새로운 재료, 특히 로마 콘크리트와 아치 및 돔과 같은 최신 기술을 통해, 전형적으로 튼튼하고 공학 기술이 잘 적용된 건물을 만들었다. 많은 수가 제국 전역에 어떤 형태로든 남아 있으며, 때때로 완성되어 오늘날까지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Ancient Roman architecture adopted the external language of classical Greek architecture for the purposes of the ancient Romans, but was different from Greek buildings, becoming a new architectural style. The two styles are often considered one body of classical architecture. Roman architecture flourished in the Roman Republic and even more so under the Empire, when the great majority of surviving buildings were constructed. It used new materials, particularly Roman concrete, and newer technologies such as the arch and the dome to make buildings that were typically strong and well-engineered. Large numbers remain in some form across the empire, sometimes complete and still in use to this day.

로마 건축은 기원전 509년 로마 공화국 수립부터 대략 서기 4세기까지 기간에 걸쳐 있으며, 그 후 후기 고대기 또는 비잔틴 건축으로 재분류된다. 대략 기원전 100년 이전부터 존속된 실질적인 사례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의 주요 잔존물들은 대략 서기 100년 이후의 후기 제국의 것이다. 로마 건축 양식은 수세기 동안 이전 제국의 건물에 계속 영향을 끼쳤으며, 대략 서기 1000년부터 서유럽에서 시작된 양식은 기본 로마 형태에 대한 이러한 의존성을 반영하기 위해 로마네스크 건축이라고 불렀다.

Roman architecture covers the period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Roman Republic in 509 BC to about the 4th century AD, after which it becomes reclassified as Late Antique or Byzantine architecture. Almost no substantial examples survive from before about 100 BC, and most of the major survivals are from the later empire, after about 100 AD. Roman architectural style continued to influence building in the former empire for many centuries, and the style used in Western Europe beginning about 1000 is called Romanesque architecture to reflect this dependence on basic Roman forms.

로마인들은 우리가 지금 고전적 건축이라고 부르는 양식의 대부분의 요소를 포함하여 그리스에서 가져온 다른 것들과 원래 에트루리아 건축물의 양상을 결합한 후, 제국 시기의 초기 무렵에 건축에서 의미 있는 독창성을 성취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주로 기둥과 상인방을 기반으로 한 상인방식 시공 방식에서 아치에 의해 간간히 끼어든 거대한 벽을 기반으로 한 나중의 돔으로 옮겨졌고, 이 둘은 로마 시대에 크게 발전했다. 고전적인 오더는 이제 콜로네이드(열주; 列柱)를 제외하고는 구조적이기보다 대체로 장식적으로 되었다. 양식적인 발전에 토스카나 및 콤포지트(합성) 오더가 포함되었다; 첫 번째 것은 도리아식 오더에서의 단축되고 단순화된 변종이고, 콤퍼지트식은 코린트식의 꽃 장식과 이오니아식의 소용돌이 무늬가 있는 키가 큰 오더다. 군인황제시대(Third Century Crisis)부터 이후의 문제들이 중앙 정부의 부와 조직력을 감소시켰던 사이에, 대략 기원전 40년경부터 서기 230년경까지의 기간에 가장 위대한 성취를 달성했다.

The Romans only began to achieve significant originality in architecture around the beginning of the Imperial period, after they had combined aspects of their original Etruscan architecture with others taken from Greece, including most elements of the style we now call classical architecture. They moved from trabeated construction mostly based on columns and lintels to one based on massive walls, punctuated by arches, and later domes, both of which greatly developed under the Romans. The classical orders now became largely decorative rather than structural, except in colonnades. Stylistic developments included the Tuscan and Composite orders; the first being a shortened, simplified variant on the Doric order and the Composite being a tall order with the floral decoration of the Corinthian and the scrolls of the Ionic. The period from roughly 40 BC to about 230 AD saw most of the greatest achievements, before the Crisis of the Third Century and later troubles reduced the wealth and organizing power of the central government.

로마인들은 대규모 공공 건물과 토목 공학 작업을 생산했으며, 예를 들어 공중 및 개인 욕실과 변소, 하이포코스트 형태의 바닥 난방, 운모 유약(ex. 오스티아 안티카), 그리고 파이프로 연결된 온수 및 냉수(ex. 폼페이 및 오스티아) 등 주택 및 공공 위생의 중요한 발전을 전담했다.

The Romans produced massive public buildings and works of civil engineering, and were responsible for significant developments in housing and public hygiene, for example their public and private baths and latrines, under-floor heating in the form of the hypocaust, mica glazing (examples in Ostia Antica), and piped hot and cold water (examples in Pompeii and Ostia).


1. 개관

1. Overview

무거운 보와 지붕을 지지하기 위해 기둥을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그리스 개념으로부터 그들의 건물을 멀리 가져간 로마인들의 기술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공식적인 공공 건물에서 고전적인 오더를 포기하는 것 ㅡ 심지어 이것들이 본질적으로 장식이 되었음에도 ㅡ 을 매우 꺼려했다. 그렇지만, 그들은 그리스의 미학적 관심사에 의해 완전히 제한되지 않았으며 오더를 상당히 자유롭게 다루었다.

Despite the technical developments of the Romans, which took their buildings far away from the basic Greek conception where columns were needed to support heavy beams and roofs, they were very reluctant to abandon the classical orders in formal public buildings, even though these had become essentially decorative. However, they did not feel entirely restricted by Greek aesthetic concerns and treated the orders with considerable freedom.

혁신은 기원전 3세기 또는 2세기에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돌과 벽돌의 부속물 또는 대체물로서 로마 콘크리트의 개발과 함께 시작되었다. 넓은 아치와 돔을 지지하는 큰 기둥과 더불어, 곧 더 대담한 건물들이 뒤를 따랐다. 콘크리트의 자유로움은 또한 내력벽 앞의 순전히 장식적인 기둥 열인 콜로네이드 스크린에도 영감을 주었다. 소규모 건축에서, 콘크리트의 강도는 직사각형 셀에서 보다 더 자유롭게 흐르는 환경으로 평면 계획을 해방시켰다.

Innovation started in the 3rd or 2nd century BC with the development of Roman concrete as a readily available adjunct to, or substitute for, stone and brick. More daring buildings soon followed, with great pillars supporting broad arches and domes. The freedom of concrete also inspired the colonnade screen, a row of purely decorative columns in front of a load-bearing wall. In smaller-scale architecture, concrete’s strength freed the floor plan from rectangular cells to a more free-flowing environment.

도시의 부와 높은 인구 밀도 같은 요인들은 고대 로마인들이 그들 자신만의 새로운 건축적 해법을 발견하도록 하는 압력으로 작용했다. 건축 재료에 대한 믿을만한 지식과 더불어, 볼트와 아치의 사용은, 공공의 사용을 위한 인상적인 기반 시설 건설에서 전례 없는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 사례로는 로마의 수로, 디오클레티아누스 욕장과 카라칼라 욕장, 바실리카와 콜로세움이 있다. 이것들은 제국에서 가장 중요한 타운과 도시에서 더 작은 규모로 재현되었다. 현재 스페인 북부인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에 있는 루고의 성벽과 같이 일부 잔존하는 구조물들은 거의 완성되었다. 제국의 행정 구조와 부(富)는 숙련자든 비숙련자든 노예 노동의 사용과 마찬가지로 주요 중심지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도 매우 큰 프로젝트를 가능하게 했다.

Factors such as wealth and high population densities in cities forced the ancient Romans to discover new architectural solutions of their own. The use of vaults and arches, together with a sound knowledge of building materials, enabled them to achieve unprecedented successes in the construction of imposing infrastructure for public use. Examples include the aqueducts of Rome, the Baths of Diocletian and the Baths of Caracalla, the basilicas and Colosseum. These were reproduced at a smaller scale in most important towns and cities in the Empire. Some surviving structures are almost complete, such as the town walls of Lugo in Hispania Tarraconensis, now northern Spain.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and wealth of the empire made possible very large projects even in locations remote from the main centers, as did the use of slave labor, both skilled and unskilled.

특히 제국 아래에서 건축은 종종 정치적 기능을 수행했으며, 일반적으로 로마의 권력과 건설을 책임지는 특정 개인의 힘을 보여준다. 로마 건축은 아마도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통치에서 절정에 이르렀을 것인데, 그의 많은 업적은 판테온을 현재 형태로 재건한 것과 하드리아누스 방벽과 더불어 영국 북부의 경관에 그의 흔적을 남긴 것을 포함한다.

Especially under the empire, architecture often served a political function, demonstrating the power of the Roman state in general, and of specific individuals responsible for building. Roman architecture perhaps reached its peak in the reign of Hadrian, whose many achievements include rebuilding the Pantheon in its current form and leaving his mark on the landscape of northern Britain with Hadrian’s Wall.

1.1. 기원

1.1. Origins

수리학의 사용과 아치의 건설 등, 이전의 에트루리아 건축으로부터 많은 것을 차용하는 동안, 로마의 명망 있는 건축은 고대 그리스 건축과 고전적 오더의 마력에 확고히 머물러 있었다. 이것은 처음에 남부 이탈리아에 있는 그리스 식민지인 마그나 그라이키아로부터, 간접적으로는 에트루리아에 대한 그리스의 영향으로부터 나왔지만, 로마가 그리스의 정복 후 그리스 세계에서 최고의 고전주의와 헬레니스틱 사례로부터 직접적으로 왔다. 영향은 여러 면에서 명백하다; 예를 들어, 식사의 장소와 매너로서 로마 빌라 내에 트리클리니움을 도입하고 사용하다. 로마의 건설업자들은 특히 초기 제국의 건설 붐에 필요한 많은 역할에 그리스인들을 고용했다.

While borrowing much from the preceding Etruscan architecture, such as the use of hydraulics and the construction of arches, Roman prestige architecture remained firmly under the spell of Ancient Greek architecture and the classical orders. This came initially from Magna Graecia, the Greek colonies in southern Italy, and indirectly from Greek influence on the Etruscans, but after the Roman conquest of Greece directly from the best classical and Hellenistic examples in the Greek world. The influence is evident in many ways; for example, in the introduction and use of the triclinium in Roman villas as a place and manner of dining. Roman builders employed Greeks in many capacities, especially in the great boom in construction in the early Empire.

1.2. 로마의 건축적 혁명

1.2. Roman Architectural Revolution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로마 판테온 ⓒ Nono vlf via Wikimedia Commons

콘크리트 혁명이라고도 알려진 로마 건축 혁명은 이전에 거의 사용되지 않았던 아치, 볼트, 돔 건축 형식의 로마 건축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역사상 처음으로, 그들의 잠재력은 토목 공학 구조물, 공공 건물, 군사 시설의 광범위한 건설에 충분히 활용되었다. 여기에는 원형 경기장, 수로, 욕장, 교량, 서커스, 댐, 돔, 항구, 신전, 그리고 극장이 포함되었다.

The Roman Architectural Revolution, also known as the Concrete Revolution, was the widespread use in Roman architecture of the previously little-used architectural forms of the arch, vault, and dome.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ir potential was fully exploited in the construction of a wide range of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public buildings, and military facilities. These included amphitheatres, aqueducts, baths, bridges, circuses, dams, domes, harbours, temples, and theatres.

기념비적 건축을 향한 경향을 보였던 이러한 발전의 결정적 요인은 로마 콘크리트(오푸스 케멘티시움)의 발명으로, 돌과 벽돌의 전통적 재료의 규칙에 따른 형태의 해방으로 이어졌다.

A crucial factor in this development, which saw a trend toward monumental architecture, was the invention of Roman concrete (opus caementicium), which led to the liberation of shapes from the dictates of the traditional materials of stone and brick.

이 덕분에 세고비아의 수로, 가르교, 로마의 11개 수로와 같은, 제국 전역에 많은 수로를 건설할 수 있었다. 동일한 개념으로 수많은 다리가 만들어졌으며, 그 중 일부는 ㅡ 예들 들어, 스페인 마드리드에 있는 푸엔테 로마노 다리, 프랑스 프로방스에 있는 줄리앙 다리와 베종라 다리 ㅡ 여전히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These enabled the building of the many aqueducts throughout the empire, such as the Aqueduct of Segovia, the Pont du Gard, and the eleven aqueducts of Rome. The same concepts produced numerous bridges, some of which are still in daily use, for example the Puente Romano at Mérida in Spain, and the Pont Julien and the bridge at Vaison-la-Romaine, both in Provence, France.

돔은 대들보 없는 아치형 천장의 건설을 허용했고, 로마에 있는 하드리아누스 판테온, 디오클레치아노 욕장, 카라칼라 욕장 같은 공공 욕장과 바실리카 등의 지붕이 있는 넓은 공공 공간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The dome permitted construction of vaulted ceilings without crossbeams and made possible large covered public space such as public baths and basilicas, such as Hadrian’s Pantheon, the Baths of Diocletian and the Baths of Caracalla, all in Rome.

로마인들은 처음에 에트루리아인들로부터 아치를 받아들여 자신들의 건물에 그것을 시행했다. 기둥의 꼭대기에서 바로 뛰어오르는 아치의 사용은 서기 1세기부터 볼 수 있는 로마의 발전이었고, 중세 서양, 비잔틴 그리고 이슬람 건축에서 매우 폭넓게 채택되었다.

The Romans first adopted the arch from the Etruscans and implemented it in their own building. The use of arches that spring directly from the tops of columns was a Roman development, seen from the 1st century AD, that was very widely adopted in medieval Western, Byzantine and Islamic architecture.

1.3. 돔

1.3. Domes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판테온의 돔 via Wikimedia Commons

로마인들은 크고 잘 규정된 내부 공간의 창조를 위해 돔의 잠재력을 실현한 건축 역사상 최초의 건설자들이었다. 돔은 신전, 공공 욕장, 궁전, 묘(마우솔레움) 그리고 나중에 교회와 같은 여러 로마 건물 유형에 도입되었다. 하프(반구형)돔 또한 건축 요소로 선호되었으며, 기독교의 신성한 건축에서 애프스(後陣)로 채택되었다.

The Romans were the first builders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to realize the potential of domes for the creation of large and well-defined interior spaces. Domes were introduced in a number of Roman building types such as temples, thermae, palaces, mausolea and later also churches. Half-domes also became a favoured architectural element and were adopted as apses in Christian sacred architecture.

기념비적인 돔은 기원전 1세기 로마와 지중해 주변 지역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볼트(둥근 천장이 있는 회랑)와 더불어, 그것들은 점차 기둥과 아키트레이브(column and architrave)를 이용하여 전통적인 기둥과 인방(post and lintel) 구조를 대체했다. 돔의 건설은 로마 건축 혁명으로 불리는 과정인 콘크리트의 발명에 의해 크게 촉진되었다. 그것들의 거대한 치수는 19세기 후반에 구조용 강철 프레임이 도입될 때까지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Monumental domes began to appear in the 1st century BC in Rome and the provinces around the Mediterranean Sea. Along with vaults, they gradually replaced the traditional post and lintel construction which makes use of the column and architrave. The construction of domes was greatly facilitated by the invention of concrete, a process which has been termed the Roman Architectural Revolution. Their enormous dimensions remained unsurpassed until the introduction of structural steel frames in the late 19th century.


2. 후대 건축에 끼친 영향

2. Influence on later architecture

로마 건축은 전기-로마네스크 및 로마네스크 건축의 기본 어휘를 제공했으며, 제국의 옛 국경선을 넘어 아일랜드와 스칸디나비아 등 기독교 유럽 전역에 퍼졌다. 동부에서, 비잔틴 건축은 교회의 새로운 양식을 발전시켰지만, 대부분의 다른 건물은 후기 로마 형식에 매우 가깝게 남아 있었다. 특히 주택과 터키탕 같은 개인 소유 건물과 요새와 교량 같은 토목 공학에서 로마 양식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이슬람 건축에서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Roman architecture supplied the basic vocabulary of Pre-Romanesque and Romanesque architecture, and spread across Christian Europe well beyond the old frontiers of the empire, to Ireland and Scandinavia for example. In the East, Byzantine architecture developed new styles of churches, but most other buildings remained very close to Late Roman forms. The same can be said in turn of Islamic architecture, where Roman forms long continued, especially in private buildings such as houses and the Turkish bath, and civil engineering such as fortifications and bridges.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팔라디오 리바이벌 양식인 스토 하우스 ⓒ Kevin Gordon via Wikimedia Commons

유럽에서 이탈리아 르네상스는, 처음에는 전적으로 로마의 사례를 기반으로 한 올바른 고전적 양식의 의식적인 복고로 보였다. 비투르비우스는 일련의 건축 저자들에 의해 정중하게 재해석되었으며, 토스카나 및 콤퍼지트 오더 양식은 처음으로 3 오더 아닌 5 오더로 공식화되었다. 바로크 건축의 화려함 이후에, 18세기 신고전 건축은 고전 양식의 보다 정제된 버전을 소생시켰고, 처음으로 그리스 세계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추가했다.

In Europe the Italian Renaissance saw a conscious revival of correct classical styles, initially purely based on Roman examples. Vitruvius was respectfully reinterpreted by a series of architectural writers, and the Tuscan and Composite orders formalized for the first time, to give five rather than three orders. After the flamboyance of Baroque architecture, the Neoclassical architecture of the 18th century revived purer versions of classical style, and for the first time added direct influence from the Greek world.

팔라디오 건축, 영어권의 조지안 건축과 리젠시 건축, 미국의 연방 건축, 나중에는 스트립 고전주의와 PWA(미국 공공사업국) 모던과 같은 수많은 지역 고전 양식으로 발전했다.

Numerous local classical styles developed, such as Palladian architecture, Georgian architecture and Regency architecture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Federal architecture in the United States, and later Stripped Classicism and PWA Moderne.

오늘날 로마의 영향은 은행, 정부 건물, 큰 집, 그리고 심지어 작은 집 등 우리 주위에서, 아마도 도리아식 기둥과 페디먼트가 있는 현관의 형태로, 또는 종종 폼페이 또는 헤르쿨라네움 등 로마의 원본으로부터 파생된 벽난로 또는 모자이크 샤워 바닥의 형태로 발견될 수 있다. 로마의 거대한 기둥, 돔, 아치는 워싱턴 D.C.의 국회의사당 건물, 백악관, 링컨 기념관 및 기타 정부 건물이 세워져 있는 신세계에서도 또한 반향을 보인다. 미국 전역에서 지방 정부의 소재지는 거대한 돌계단이 우뚝 솟은 기둥이 있는 현관까지 길게 이어지고,거대한 돔은 로마에서 유행했던 것과 같거나 비슷한 테마로 내부를 도금하고 장식하는 등 일반적으로 로마의 웅장한 전통에 따라 지어졌다.

Roman influences may be found around us today, in banks, government buildings, great houses, and even small houses, perhaps in the form of a porch with Doric columns and a pediment or in a fireplace or a mosaic shower floor derived from a Roman original, often from Pompeii or Herculaneum. The mighty pillars, domes and arches of Rome echo in the New World too, where in Washington, D.C. stand the Capitol building, the White House, the Lincoln Memorial, and other government buildings. All across the US the seats of regional government were normally built in the grand traditions of Rome, with vast flights of stone steps sweeping up to towering pillared porticoes, with huge domes gilded or decorated inside with the same or similar themes that were popular in Rome.

영국에서도, 비슷한 열정으로 지난 5세기에 걸쳐 수천 개의 신고전적 양식의 건물이 건설되었다. 공공 기관 및 개인 주거, 그리고 가장 웅장한 시골집과 맨션의 대부분이 순전히 고전적인 양식이었고, 버킹엄 궁전이 그 명백한 사례다.

In Britain, a similar enthusiasm has seen the construction of thousands of neoclassical buildings over the last five centuries, both civic and domestic, and many of the grandest country houses and mansions are purely Classical in style, an obvious example being Buckingham Palace.


3. 재료

3. Materials

3.1. 돌

3.1. Stone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오늘날의 산타 마리아 델리 안젤리 성당인 디오클레티아누스 욕장의 프리기다리움 ⓒ G.dallorto via Wikimedia Commons

대리석은 특히 로마 근처에서는 발견되지 않았고, 벽돌로 만든 로마를 발견하고 대리석으로 만든 로마를 남겼다고 자랑한 것으로 유명한 아우구스투스 이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으며, 주로 벽돌이나 콘크리트의 외장으로 사용되었다. 기원전 2세기 후반의 ‘정복자 헤라클레스 신전’은 로마에 현존하는 가장 이른 예외다. 아우구스투스 치세부터 카라라에 있는 채석장은 수도를 위해 광범위하게 개발되었으며, 제국 주변의 다른 원천, 특히 파리안 같은 유명한 그리스 대리석을 활용했다. 트래버틴 석회암은 티볼리 주변에서 훨씬 더 가까운 곳에서 발견되었으며, 공화국 말기까지 사용되었다; 콜로세움은 주로 벽돌 코어와 더불어 좋은 하중 지지 능력을 가지고 있는 이 돌(트래버틴 석회암)로 건설되었다. 다소간 다른 지역의 돌들이 제국 주변에서 사용되었다.

Marble is not found especially close to Rome, and was only rarely used there before Augustus, who famously boasted that he had found Rome made of brick and left it made of marble, though this was mainly as a facing for brick or concrete. The Temple of Hercules Victor of the late 2nd century BC is the earliest surviving exception in Rome. From Augustus’ reign the quarries at Carrara were extensively developed for the capital, and other sources around the empire exploited, especially the prestigious Greek marbles like Parian. Travertine limestone was found much closer, around Tivoli, and was used from the end of the Republic; the Colosseum is mainly built of this stone, which has good load-bearing capacity, with a brick core. Other more or less local stones were used around the empire.

로마인들은 화려한 줄무늬가 있는 고급 수입 컬러 대리석을 극도로 좋아했으며, 가장 중요한 건물의 내부는 때때로 표면에 이들 석판 ㅡ 일반적으로 지금은 심지어 건물이 잔존하는 곳에서도 제거된 ㅡ 을 붙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그리스로부터의 수입은 기원전 2세기에 시작되었다.

The Romans were extremely fond of luxury imported coloured marbles with fancy veining, and the interiors of the most important buildings were very often faced with slabs of these, which have usually now been removed even where the building survives. Imports from Greece for this purpose began in the 2nd century BC.

3.2. 로마 벽돌

3.2. Roman brick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로마 해안 요새 벽 ⓒ Pahazzard성 게오르기 로툰다(4세기) 및 세르디카 유적지 via Wikimedia Commons

로마인들은 제국 초기부터 구운 점토 벽돌을 만들어서, 이전의 햇볕에 말린 진흙 벽돌을 대체했다. 로마 벽돌은 거의 예외없이 현대 벽돌보다 높이가 낮았지만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만들어졌다. 모양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및 원형 등이었으며, 발견된 가장 큰 벽돌의 길이의 측정치는 3피트(91.44cm) 이상이었다. 고대 로마 벽돌의 일반적인 크기는 1½×1로마피트(0.971피트/296mm)지만, 최대 15인치(38.1cm)의 일반적인 변형이 존재했다. 고대 로마의 다른 벽돌 크기로는 24″×12″×4″(60.96×30.48×10.16cm) 및 15″×8″×10″(38.1×20.32×25.4cm)등이 있다. 프랑스에서 발견된 고대 로마 벽돌은 8″×8″×3″(20.32×20.32×7.62cm)로 측정되었다. 트리어(독일)의 콘스탄티누스 바실리카는 15″(38.1cm) 정사각형에 1½”(3.81cm) 두께의 로마 벽돌로 건설되었다. 한편으로는 벽에 사용되는 로마식 벽돌과 다른 한편으로는 지붕 또는 바닥에 사용되는 타일 사이에는 종종 뚜렷한 차이 ㅡ 특히 파편만 남아 있는 경우 ㅡ 가 거의 없으며, 그래서 고고학자들은 때때로 세라믹 건축 자재(또는 CBM)라는 일반적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The Romans made fired clay bricks from about the beginning of the Empire, replacing earlier sun-dried mud-brick. Roman brick was almost invariably of a lesser height than modern brick, but was made in a variety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Shapes included square, rectangular, triangular and round, and the largest bricks found have measured over three feet in length. Ancient Roman bricks had a general size of 1½ Roman feet by 1 Roman foot, but common variations up to 15 inches existed. Other brick sizes in ancient Rome included 24″ x 12″ x 4″, and 15″ x 8″ x 10″. Ancient Roman bricks found in France measured 8″ x 8″ x 3″. The Constantine Basilica in Trier is constructed from Roman bricks 15″ square by 1½” thick. There is often little obvious difference (particularly when only fragments survive) between Roman bricks used for walls on the one hand, and tiles used for roofing or flooring on the other, so archaeologists sometimes prefer to employ the generic term ceramic building material (or CBM).

로마인들은 제국의 첫 세기 동안 벽돌 제조를 완성했고 공공과 민간 건설 모두에서, 그것을 어디서나 사용했다. 로마인들은 그들이 가는 곳마다 벽돌 제조 기술(skill)을 사용했고, 지역 주민들에게 기술(craft)을 소개했다. 자신들의 가마를 운영했던 로마 군단은 벽돌을 제국의 많은 지역에 도입했다; 벽돌은 종종 그것들의 생산을 감독한 군단의 표식이 찍혀 있었다. 예를 들어, 독일의 남부와 서부에서 벽돌의 사용은, 로마 건축가 비트루비우스에 의해 이미 설명된 전통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영국 제도에서는, 고대 로마인에 의한 로마 벽돌의 도입은 주요 벽돌 생산에서 600~700년의 격차가 있었다.

The Romans perfected brick-making during the first century of their empire and used it ubiquitously, in public and private construction alike. The Romans took their brickmaking skills everywhere they went, introducing the craft to the local populations. The Roman legions, which operated their own kilns, introduced bricks to many parts of the empire; bricks are often stamped with the mark of the legion that supervised their production. The use of bricks in southern and western Germany, for example, can be traced back to traditions already described by the Roman architect Vitruvius. In the British Isles, the introduction of Roman brick by the ancient Romans was followed by a 600–700 year gap in major brick production.

3.3. 로마 콘크리트

3.3. Roman concrete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로마의 고대 아피아 가도의 무덤에 있는오푸스 케멘티시움 사례. 원래 덮개가 제거되었다. via Wikimedia Commons

콘크리트는 주요 건축 자재로서 벽돌을 빠르게 대체했으며, 평평한 아키트레이브들을 매달고 있는 조밀하게 줄지어 늘어선 기둥보다는 오히려 넓은 아치와 돔을 지지하는 큰 기둥과 함께, 더 대담한 건물이 곧 뒤를 이었다. 콘크리트의 자유로움 또한 내력벽 앞에 있는 순전히 장식적인 기둥의 열인 콜로네이드 스크린에 영감을 주었다. 소규모 건축에서, 콘크리트의 강도는 평면 계획을 직사각형 셀(방)에서 보다 자유롭게 흐르는 환경으로 해방시켰다. 이들 발전의 대부분은 기원전 1세기에 『건축십서』를 쓴 비트루비우스에 의해 설명된다.

Concrete quickly supplanted brick as the primary building material, and more daring buildings soon followed, with great pillars supporting broad arches and domes rather than dense lines of columns suspending flat architraves. The freedom of concrete also inspired the colonnade screen, a row of purely decorative columns in front of a load-bearing wall. In smaller-scale architecture, concrete’s strength freed the floor plan from rectangular cells to a more free-flowing environment. Most of these developments are described by Vitruvius, writing in the first century BC in his work De architectura.

비록 콘크리트가 메소포타미아에서 소규모로 사용되었지만, 로마 건축가들은 로마 콘크리트를 완성하여 자체적으로 엄청난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건물에 사용했다. 로마인들이 콘크리트를 처음 사용한 것은 기원전 273년 이후 코사 타운에서였다. 고대 로마 콘크리트는 석회 모르타르, 골재, 화산회(火山灰), 물, 돌의 혼합물이었으며, 이전에 사용된 콘크리트보다 강했다. 고대 건설업자들은 이 재료들을 나무 틀에 넣어 굳혔고, 돌 또는 (더 자주) 벽돌의 표면에 접착하여 배치했다. 사용된 골재는 종종 현대 콘크리트보다 훨씬 커서, 돌무더기와 마찬가지다.

Although concrete had been used on a minor scale in Mesopotamia, Roman architects perfected Roman concrete and used it in buildings where it could stand on its own and support a great deal of weight. The first use of concrete by the Romans was in the town of Cosa sometime after 273 BC. Ancient Roman concrete was a mixture of lime mortar, aggregate, pozzolana, water, and stones, and was stronger than previously-used concretes. The ancient builders placed these ingredients in wooden frames where they hardened and bonded to a facing of stones or (more frequently) bricks. The aggregates used were often much larger than in modern concrete, amounting to rubble.

거푸집(formwork)이 제거되었을 때, 새 벽은 벽돌이나 돌의 거친 표면과 더불어 매우 견고했다. 이 표면은 치장벽토 또는 얇은 대리석 패널 또는 “옹벽(revetment)”으로 불리는 다른 색상의 돌로 매끄럽고 매력적으로 처리될 수 있었다. 콘크리트 시공은 단단한 석조 건물을 짓는 것보다 더 유연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재료는 쉽게 구할 수 있었고 운반하기 어렵지 않았다. 목재 프레임은 두 번 이상 사용할 수 있으므로, 건설업자가 빠르고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콘크리트는 거의 틀림없이 현대 건축과 가장 관련이 있는 로마의 공헌일 것이다.

When the framework was removed, the new wall was very strong, with a rough surface of bricks or stones. This surface could be smoothed and faced with an attractive stucco or thin panels of marble or other coloured stones called a “revetment”. Concrete construction proved to be more flexible and less costly than building solid stone buildings. The materials were readily available and not difficult to transport. The wooden frames could be used more than once, allowing builders to work quickly and efficiently. Concrete is arguably the Roman contribution most relevant to modern architecture.


4. 도시 디자인

4. City design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콜로세움의 남쪽(왼쪽)에 있는 클라우디우스 신전 (로마 제국 모형) ⓒ Jean-Pierre Dalbéra via Wikimedia Commons

고대 로마인들은 그들의 식민지를 형성하기 위해 규칙적인 직교 구조를 사용했다. 그들은 아마도 그리스와 헬레닉 사례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에 있는 에트루리아에 의해 건설된 규칙적으로 계획된 도시들에서 영감을 얻었을 것이다. (마르차보토 참조)

The ancient Romans employed regular orthogonal structures on which they molded their colonies. They probably were inspired by Greek and Hellenic examples, as well as by regularly planned cities that were built by the Etruscans in Italy. (see Marzabotto)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아치에 의해 창조된 1세기 로마 시대의 필리포 폴리스(불가리아의 플로브디프)의 모델. via Wikimedia Commons

로마인들은 군사 방위 및 시민 편의를 위해 개발된 도시 계획을 위해 통합 계획(consolidated scheme)을 사용했다. 기본 계획은 콤팩트하고 직선적인 거리의 격자로 둘러싸여 있으며 방어를 위한 벽으로 둘러쌓인 도시 서비스와 더불어 중앙 포럼으로 구성되었다. 이동 시간을 줄이기 위해 두 개의 대각선 거리가 중앙 광장을 통과하여 정사각형 그리드를 가로질렀다. 강은 일반적으로 도시를 통과하여 흐르며, 물, 교통, 하수처리를 제공했다. 수백 개의 마을과 도시가 제국의 전역에 걸쳐 로마인들에 의해 건설되었다. 토리노와 같은 많은 유럽의 타운들은 로마인들이 도시를 디자인했던 매우 논리적인 방식을 보여주는 이러한 계획의 유적을 보존하고 있다. 그들은 정사각형 격자의 형태로 거리를 직각으로 배치했다. 다른 것들보다 약간 더 넓었던 두 도로를 제외하고는 모든 도로의 너비와 길이가 동일했다. 이들 중 하나는 동서로, 다른 하나는 남북으로 뻗어 있으며, 그것들은 격자의 중심을 형성하기 위해 중간에서 교차했다. 모든 도로는 조심스럽게 장착된 판석(板石)으로 만들어졌고, 작고 딱딱한 돌과 자갈로 채워졌다. 다리는 필요한 곳에 건설되었다. 네 개의 도로에 의해 구분된 각각의 구획은 현대 도시 블록에 해당하는 로마식 인술라라고 불렸다.

The Romans used a consolidated scheme for city planning, developed for military defense and civil convenience. The basic plan consisted of a central forum with city services, surrounded by a compact, rectilinear grid of streets, and wrapped in a wall for defense. To reduce travel times, two diagonal streets crossed the square grid, passing through the central square. A river usually flowed through the city, providing water, transport, and sewage disposal. Hundreds of towns and cities were built by the Romans throughout their empire. Many European towns, such as Turin, preserve the remains of these schemes, which show the very logical way the Romans designed their cities. They would lay out the streets at right angles, in the form of a square grid. All roads were equal in width and length, except for two, which were slightly wider than the others. One of these ran east–west, the other, north–south, and they intersected in the middle to form the center of the grid. All roads were made of carefully fitted flag stones and filled in with smaller, hard-packed rocks and pebbles. Bridges were constructed where needed. Each square marked off by four roads was called an insula, the Roman equivalent of a modern city block.

각 인술라는 80야드(73m)의 구획이었고, 그 안의 땅은 나누어져 있었다. 도시가 발전함에 따라, 각 인술라는 결국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건물들로 채워지고 뒷길과 골목이 교차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인술라들은 로마 도시의 첫 정착민에게 제공되었지만, 각자 자신의 집을 짓기 위해 돈을 지불해야 했다.

Each insula was 80 yards (73 m) square, with the land within it divided. As the city developed, each insula would eventually be filled with building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and crisscrossed with back roads and alleys. Most insulae were given to the first settlers of a Roman city, but each person had to pay to construct his own house.

도시는 침입자로부터 보호하고 도시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도시 경계 밖의 지역은 농지로 개방된 채로 두었다. 각 주요 도로의 끝에는 망루와 함께 커다란 관문이 있었다. 도시가 포위 아래 있을 때 입구는 내리닫이 쇠창살문으로 덮었고, 성벽을 따라 추가 망루가 건설되었다. 수로는 성벽 밖에 지어졌다.

The city was surrounded by a wall to protect it from invaders and to mark the city limits. Areas outside city limits were left open as farmland. At the end of each main road was a large gateway with watchtowers. A portcullis covered the opening when the city was under siege, and additional watchtowers were constructed along the city walls. An aqueduct was built outside the city walls.

그리스 및 로마 도시화의 발전은, 상대적으로 많은 서면 자료가 있고 로마인과 그리스인이 일반적으로 현대 서구 문화의 주요 조상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주제에 대한 많은 관심이 있었으므로,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에트루리아인들이 많은 상당한 타운들을 가지고 있었고, 또한 유럽에는 주로 켈트족에 기원을 둔 대략적인 도시 정착지를 가진 다른 문화도 있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The development of Greek and Roman urbanization is relatively well-known, as there are relatively many written sources, and there has been much attention to the subject, since the Romans and Greeks are generally regarded as the main ancestors of modern Western culture.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ough, that the Etruscans had many considerable towns and there were also other cultures with more or less urban settlements in Europe, primarily of Celtic origin.


5. 건물 유형

5. Building types

5.1. 원형 경기장

5.1. Amphitheatre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기원전 70년경에 건설되었으며 서기 79년 베수비오 산 폭발로 묻힌 폼페이 투기장은 한때 검투사와 함께 구경거리를 제공했다. ⓒ Jebulon

원형경기장은 개선문과 바실리카와 함께 로마인에 의해 개발된 건물의 유일한 주요 새로운 유형이었다. 가장 인상적이면서 세속적인 건물들 중 일부는 원형경기장으로, 200개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를에 있는 것과 그것의 선조인 로마의 콜로세움처럼 잘 보존되어 있다. 그것들은 검투사 대회, 공개 진열, 공개 회의, 투우에 사용되었으며, 그 전통은 스페인과 포루투갈에 여전히 남아 있다. 그들의 전형적인 모양, 기능, 이름은 주로 말 또는 마차 경주 이벤트를 위해 디자인된 원형극장(히포드롬과 유사한)에서; 그리고 주로 육상경기와 도보경주를 위해 디자인된 더 작은 경기장에서 다소 모양이 반원형인 로마 극장과 구별된다.

The amphitheatre was, with the triumphal arch and basilica, the only major new type of building developed by the Romans. Some of the most impressive secular buildings are the amphitheatres, over 200 being known and many of which are well preserved, such as that at Arles, as well as its progenitor, the Colosseum in Rome. They were used for gladiatorial contests, public displays, public meetings and bullfights, the tradition of which still survives in Spain and Portugal. Their typical shape, functions and name distinguish them from Roman theatres, which are more or less semicircular in shape; from the circuses (akin to hippodromes) whose much longer circuits were designed mainly for horse or chariot racing events; and from the smaller stadia, which were primarily designed for athletics and footraces.

가장 초기의 로마 원형경기장은 기원전 1세기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대부분은 아우구스투스 시대(기원전 27년~서기 14년)로부터 계속 제국의 통치 아래 지어졌다. 제국의 원형경기장은 로마 제국 전역에 지어졌다; 가장 큰 것은 40,000~60,000명 관중을 수용할 수 있었고, 가장 정교한 기능을 갖춘 여러 층의 아케이드 파사드는 대리석, 치장벽토, 조각상으로 정교하게 장식되었다. 5세기에 검투사 경기, 6세기에 동물 학살이 끝난 후, 대부분의 원형경기장이 파손되어 재료가 채굴되거나 재활용되었다. 일부는 파괴되었고 다른 일부는 요새로 개조되었다. 몇몇은 편리한 공개 회의 장소로 계속 사용되었다; 이들 중 일부에는, 교회가 세워졌다.

The earliest Roman amphitheatres date from the middle of the first century BC, but most were built under Imperial rule, from the Augustan period (27 BC–14 AD) onwards. Imperial amphitheatres were built throughout the Roman empire; the largest could accommodate 40,000–60,000 spectators, and the most elaborate featured multi-storeyed, arcaded façades and were elaborately decorated with marble, stucco and statuary. After the end of gladiatorial games in the 5th century and of animal killings in the 6th, most amphitheatres fell into disrepair, and their materials were mined or recycled. Some were razed, and others converted into fortifications. A few continued as convenient open meeting places; in some of these, churches were sited.

건축적으로, 그것들은 전형적으로 기둥이 지지할 만한 것이 없는, 일정한 간격으로 뚫린 커다란 콘크리트 벽을 장식하기 위해 로마식으로 사용한 고전적인 오더의 사례다. 그렇지만, 미학적으로, 이 방식(formula)은 성공적이다.

Architecturally, they are typically an example of the Roman use of the classical orders to decorate large concrete walls pierced at intervals, where the columns have nothing to support. Aesthetically, however, the formula is successful.

5.2. 바실리카

5.2. Basilica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로마 막센티우스의 바실리카 북쪽 통로 ⓒ Jensens via Wikimedia Commons콘스탄틴 1세(서기 306-337) 통치 기간 동안 건설된, (당시 갈리아 벨기카의 로마 속주 일부였던) 독일 트리어의 아울라 팔라티나 ⓒ Pudelek via Wikimedia Commons

로마 바실리카는 사업이나 법적 문제를 다룰 수 있는 대형 공공 건물이었다. 그것들은 일반적으로 치안 판사가 재판을 하는 곳이었고, 현대 시청(공회당)의 많은 기능을 가진 여러 공식 행사를 위해 사용되었다. 최초의 바실리카는 종교적인 기능이 전혀 없었다. 일찍이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상업 거래를 위한 공공 바실리카는 그 자체를 도시로 간주하는 정착지의 일부였지만, 도시 공간이 부족하여 회의실을 아케이드 위에 설치한 중세 후기 북유럽의 지붕 덮인 시장 주택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비록 그것들의 형태는 다양했지만, 바실리카는 종종 공간을 나누는 내부 주랑들을 포함했고, 종종 약간 올라간 연단 위에 치안 판사가 앉아 있는 곳의 한쪽 끝(또는 양쪽 끝)에 있는 애프스와 더불어, 한쪽 또는 양쪽에 측랑 또는 아케이드 공간을 제공했다. 중앙 통로는 넓은 경향이 있었고 측랑보다 높아서 빛이 고측창(클리어스토리)을 통과할 수 있었다.

The Roman basilica was a large public building where business or legal matters could be transacted. They were normally where the magistrates held court, and used for other official ceremonies, having many of the functions of the modern town hall. The first basilicas had no religious function at all. As early as the time of Augustus, a public basilica for transacting business had been part of any settlement that considered itself a city, used in the same way as the late medieval covered market houses of northern Europe, where the meeting room, for lack of urban space, was set above the arcades, however. Although their form was variable, basilicas often contained interior colonnades that divided the space, giving aisles or arcaded spaces on one or both sides, with an apse at one end (or less often at each end), where the magistrates sat, often on a slightly raised dais. The central aisle tended to be wide and was higher than the flanking aisles, so that light could penetrate through the clerestory windows.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바실리카인 바실리카 포르키아(Basilica Porcia)는 대 카토(~기원전 149년)가 검열관으로 있던 기원전 184년 로마에 지어졌다. 다른 초기 사례로는 폼페이에 있는 바실리카(기원전 2세기 후반)가 있다. 기독교가 공식 국교가 된 후, 바실리카 모양은 그레코-로만(그리스 영향을 받은 로마 양식) 신전 형태의 회상을 피하는 매력과 함께, 최초의 대형 공립 교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oldest known basilica, the Basilica Porcia, was built in Rome in 184 BC by Cato the Elder during the time he was Censor. Other early examples include the basilica at Pompeii (late 2nd century BC). After Christianity became the official religion, the basilica shape was found appropriate for the first large public churches, with the attraction of avoiding reminiscences of the Greco-Roman temple form.

5.3. 서커스 (원형 극장)

5.3. Circus

로마의 원형 극장(circus)은 고대 로마 제국에서 공공 행사에 사용된 대규모 야외 장소였다. 원형 극장은 비록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디자인과 구성(construction)이 달랐지만, 고대 그리스 경마장(히포드롬)과 비슷했다. 극장 및 원형경기장과 마찬가지로, 원형 극장은 당시 주요 엔터테인먼트 장소 중 하나였다. 원형 극장은 전차 경주, 경마, 그리고 제국의 주요 행사를 기념하는 공연이 그곳에서 수행되었다. 해전의 재연과 관련된 이벤트의 경우, 원형 극장은 물로 넘쳐났다.

The Roman circus was a large open-air venue used for public events in the ancient Roman Empire. The circuses were similar to the ancient Greek hippodromes, although circuses served varying purposes and differed in design and construction. Along with theatres and amphitheatres, Circuses were one of the main entertainment sites of the time. Circuses were venues for chariot races, horse races, and performances that commemorated important events of the empire were performed there. For events that involved re-enactments of naval battles, the circus was flooded with water.

로마 원형 극장의 공연 공간은 일반적으로 그 이름에도 불구하고 경주 트랙의 두 선형 부분으로 구성된 길쭉한 직사각형으로, 트렉의 약 ⅔ 길이를 따라 이어지는 중앙 분리대에 의해 구분되고, 한쪽 끝이 반원형 부분으로 연결되고 다른 쪽 끝에는 트랙의 분할되지 않는 부분(대부분의 경우)이 카르케레스로 알려진 독특한 출발문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레이스를 위한 경주로를 만든다.

The performance space of the Roman circus was normally, despite its name, an oblong rectangle of two linear sections of race track, separated by a median strip running along the length of about two thirds the track, joined at one end with a semicircular section and at the other end with an undivided section of track closed (in most cases) by a distinctive starting gate known as the carceres, thereby creating a circuit for the races.

5.4. 포룸

5.4. Forum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로마 포룸 ⓒ Marcok via Wikimedia Commons

포룸은 상점으로 사용되는 건물들 및 노점을 위해 사용되는 주랑(스토아)들과 함께 주로 시장으로 사용되는, 로마의 무니키피움(자치 도시) 또는 모든 키비타스(주교 도시)의 중앙 공공 공지였다. 다른 대형 공공 건물들이 종종 가장자리 또는 가까운 곳에 위치했다. 도로를 전담하는 치안 판사에 의해 도로를 따라 멀리 떨어진 곳에 많은 포럼이 건설되었으며, 이 경우 포럼은 그 부지의 유일한 정착지였고, 포룸 포필리 또는 포룸 리비와 같은 자체적인 이름을 가졌다.

A forum was a central public open space in a Roman municipium, or any civitas, primarily used as a marketplace, along with the buildings used for shops and the stoas used for open stalls. Other large public buildings were often sited at the edges or close by. Many forums were constructed at remote locations along a road by the magistrate responsible for the road, in which case the forum was the only settlement at the site and had its own name, such as Forum Popili or Forum Livi.

공화국 시대에 아우구스투스는 “벽돌로 된 도시를 발견하고 대리석으로 된 도시를 남겼다”고 주장했다. 이것은 과장일 가능성이 높지만, 기원전 63년부터 로마 포룸(포로 로마노)에서 사용한 대리석의 다량 유입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타당한 이유가 있다. 아우구스투스 통치 기간 동안, 포룸은 “제국 시대의 포룸보다 더 크고 자유로운 공간”으로 묘사되었다. 포룸은 시장 중심지를 위한 광범위한 계획을 세운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등장으로 더 많은 변화를 일으키기 시작했다. 카이사르의 죽음이 너무 일렀던 것에 반해, 그의 아이디어는 아우구스투스뿐만 아니라 이후 오랜 시간 동안 가장 영향력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월터 데니슨의 「키케로가 본 로마 포룸」(1908)에 따르면, 저자는 “공공 사업의 방향을 인근에 세워진 더 크고 화려한 제국의 포룸으로 전환한 결과 포룸 로마눔(고대 로마 도시 중앙광장. 포로 로마노)의 일반적인 디자인이 남게 되었다.”고 썼다.

During the years of the Republic, Augustus claimed he “found the city in brick and left it in marble”. While chances are high that this was an exaggeration, there is something to be said for the influx of marble use in Roman Forum from 63 BC onwards. During Augustus reign, the Forum was described to have been “a larger, freer space than was the Forum of imperial times.” The Forum began to take on even more changes upon the arrival of Julius Casear who drew out extensive plans for the market hub. While Casear’s death came prematurely, the ideas himself, as well as Augustus had in regards to the Forum prov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or years to come. According to Walter Dennison’s The Roman Forum As Cicero Saw It, the author writes that “the diverting of public business to the larger and splendid imperial fora erected in the vicinity resulted in leaving the general design of the Forum Romanum”.

모든 도시에는 다양한 크기의 포룸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있었다. 시장으로서의 표준 기능에 더하여, 포룸은 사회적 의미가 큰 모임 장소였으며, 종종 정치적 토의 및 토론, 만남, 회의, 등등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의 현장이었다. 가장 잘 알려진 사례는 로마에 있는 몇몇 중 가장 이른, 로마 포럼이다.

Every city had at least one forum of varying size. In addition to its standard function as a marketplace, a forum was a gathering place of great social significance, and often the scene of diverse activities, including political discussions and debates, rendezvous, meetings, etc. Much the best known example is the Roman Forum, the earliest of several in Rome.

새로운 로마의 타운들에서 포럼은 일반적으로 주요 남북 및 동서 거리(카르도와 데쿠마누스)의 교차로에 위치했다. 모든 포럼은 북쪽 끝에 주피터 신전이 있고, 바실리카뿐만 아니라 다른 신전도 포함한다; 공공 도량형 표는, so customers at the market could ensure they were not being sold short measures; 그리고 종종 근처에서 목욕을 하곤 했다.

In new Roman towns the forum was usually located at, or just off, the intersection of the main north–south and east–west streets (the cardo and decumanus). All forums would have a Temple of Jupiter at the north end, and would also contain other temples, as well as the basilica; a public weights and measures table, so customers at the market could ensure they were not being sold short measures; and would often have the baths nearby.

5.5. 호레움 (창고)

5.5. Horreum

이탈리아 오스티아(로마)에 세워진 호레움 (서기 145~150) ⓒ Sailko

호레움은 고대 로마 시대에 사용된 공공 창고의 한 유형이었다. 비록 라틴어 용어는 곡물 저장고를 지칭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지만, 로마 호레움들은 다른 많은 유형의 소모성 품목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었다; 로마에 있는 거대한 호레아 갈바이(Horrea Galbae)는 곡물뿐만 아니라 올리브 오일, 포도주, 식품류, 의류, 심지어 대리석까지 저장하는데 사용되었다. 제국 시대가 끝날 무렵, 로마시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거의 300개의 호레아를 보유했다. 가장 큰 것은, 심지어 현대의 기준으로도 엄청났다. 호레아 갈바이는 1층에만 140개 방을 포함하고 있으며, 면적은 약 21,000㎡에 달했다.

A horreum was a type of public warehouse used during the ancient Roman period. Although the Latin term is often used to refer to granaries, Roman horrea were used to store many other types of consumables; the giant Horrea Galbae in Rome were used not only to store grain but also olive oil, wine, foodstuffs, clothing and even marble. By the end of the imperial period, the city of Rome had nearly 300 horrea to supply its demands. The biggest were enormous, even by modern standards; the Horrea Galbae contained 140 rooms on the ground floor alone, covering an area of some 225,000 square feet (21,000 m2).

최초의 호레아는 기원전 2세기 말 로마에서 지어졌으며, 최초의 공공 호레움은 기원전 123년에 불운한 호민관, 가이쿠스 그라쿠스에 의해 건설되었다. 이 단어는 물품 보존을 위해 지정된 모든 장소에 적용되었다; 따라서 그것은 종종 지하 저장고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되었지만, 예술작품이 저장된 보관소 또는 심지어 도서관에도 적용될 수 있었다. 일부 공공 호레아는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는 은행과 같은 기능을 했지만, 가장 중요한 종류의 호레아는 곡물과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품류를 국가에서 저장하고 유통하는 곳이었다.

The first horrea were built in Rome towards the end of the 2nd century BC, with the first known public horreum being constructed by the ill-fated tribune, Gaius Gracchus in 123 BC. The word came to be applied to any place designated for the preservation of goods; thus it was often used refer to cellars (horrea subterranea), but it could also be applied to a place where artworks were stored, or even to a library. Some public horrea functioned somewhat like banks, where valuables could be stored, but the most important class of horrea were those where foodstuffs such as grain and olive oil were stored and distributed by the state.

단어 자체는 라틴어로 ‘보리’를 의미하는 hordeum(호르데움)이라는 단어에 연결된 언어학적 뿌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존스 홉킨스 대학 출판사의 《The Classical Weekly》는 “플리니우스는 실제로 두 단어를 구분한다. 그는 호레움을 벽돌로 만든 구조물로 묘사하며, 그 벽은 두께가 3피트(91.44cm) 이상이고 환기를 위한 창문이나 개구부는 없었다.”고 진술한다. 뿐만 아니라, 창고는 기름과 포도주를 보관하고 대량의 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큰 항아리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이들 창고는 또한 거액의 돈을 보관하는데 사용되었으며, 오늘날 개인 저장고처럼 사용되었다. 로마인들은 “이 호레아는 분할되고 세분화되어 원하는만큼의 공간, 방 전체(셀라), 옷장(아르마리움) 또는 궤(상자) 또는 금고(아르카/돈궤, 아르쿨라/옷상자, 로쿠스/장소, 로쿨루스/작은 장소)를 빌릴 수 있었다.”

The word itself is thought to have linguist roots tied to the word hordeum which in Latin means ‘barley’. I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The Classical Weekly states that “Pliny the Elder does indeed make a distinction between the two words. He describes the horreum as a structure made of brick, the walls of which were not less than three feet thick; it had no windows or openings for ventilation”. Furthermore, the storehouses would also host oil and wine and also utilize large jars that could serve as cache’s for large amounts of products. These storehouses were also used to house keep large sums of money and were used much like personal storage units today are. Romans were “These horrea were divided and subdivided, so that one could hire only so much space as one wanted, a whole room (cella), a closet (armarium), or only a chest or strong box (arca, arcula, locus, loculus).”

5.6. 인술라 (집합주택)

5.6. Insula

오스티아 안티카 ⓒ Nashvilleneighbor

인술라이(insulae)라고 불리는 다층 아파트 불록은 다양한 주거 요구를 충족시켰다. 가장 저렴한 방은 화재 발생시 대피할 수 없고 파이프로 물을 공급하지 못 하는 꼭대기에 있었다. 창문은 대부분 작았고, 보안 철제 창과 함께 거리에 면해 있었다. 인술라이는 종종 위험하고, 건강에 해롭고, 과밀하고 되는대로의 요리 준비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기 쉬웠다. 로마의 항구 도시인 오스티아에는 트라야누스의 통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사례가 있지만, 그것들은 오직 로마와 다른 몇 곳에서만 발견된 것 같다. Elsewhere writers report them as something remarkable, but Livy and Vituvius refer to them in Rome. 외벽은 “오푸스 레티쿨라툼”으로, 그리고 내부는 “오푸스 인케르툼” 방식으로 처리하고, 그 후 회반죽을 바르고 때로는 페인트칠을 하기도 했다.

Multi-story apartment blocks called insulae catered to a range of residential needs. The cheapest rooms were at the top owing to the inability to escape in the event of a fire and the lack of piped water. Windows were mostly small, facing the street, with iron security bars. Insulae were often dangerous, unhealthy, and prone to fires because of overcrowding and haphazard cooking arrangements. There are examples in the Roman port town of Ostia, that date back to the reign of Trajan, but they seem to have been found only in Rome and a few other places. Elsewhere writers report them as something remarkable, but Livy and Vituvius refer to them in Rome. External walls were in “Opus Reticulatum” and interiors in “Opus Incertum”, which would then be plastered and sometimes painted.

작고 어두운 방을 밝게 하기 위해서, 세입자는 벽 위에 다채로운 벽화를 어느 정도 그릴 수 있었다. 야생 동물과 이국적인 식물이 있는 정글 장면의 사례가 발견되었다. 때때로 방을 덜 좁게 보이도록 만들기 위해 모조 창문(트롱프뢰유)을 그렸다.

To lighten up the small dark rooms, tenants able to afford a degree of painted colourful murals on the walls. Examples have been found of jungle scenes with wild animals and exotic plants. Imitation windows (trompe l’oeil) were sometimes painted to make the rooms seem less confined.

고대 로마에는 엘리트가 소유한 정교하고 호화로운 주택들이 있었다. 평민 또는 일반 서민들(plebs)의 평범한 집이나 도시의 아파트에는 많은 사치품이 들어 있지 않았다. 도무스, 또는 단독 주택은 로마의 오직 부유한 사람들을 위한 것이었으며, 대부분 1개 또는 2개의 방으로 구성된 폐쇄형 유닛의 레이아웃으로 되어 있었다. 서기 312~315년 사이에 로마는 1,781개의 도무스와 44,850개의 인술라이가 있었다.

Ancient Rome had elaborate and luxurious houses owned by the elite. The average house, or in cities apartment, of a commoner or plebe did not contain many luxuries. The domus, or single-family residence, was only for the well-off in Rome, with most having a layout of the closed unit, consisting of one or two rooms. Between 312 and 315 A.D. Rome had 1781 domus and 44,850 of insulae.

인술라이는 단어의 다양한 의미를 정의하는 로마 문화의 역사가들에게 커다란 논쟁의 주제였다. 인술라는 아파트 또는 거주 가능한 방을 의미하며 일반 서민들을 위한 아파트가 얼마나 작은지 보여주며, 아파트 건물 또는 아파트 자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단어였다. 도시 구획은 원래 거리 블록이었으며, 나중에 더 작은 구획으로 나누기 시작했고, 단어 ‘인술라’는 블록과 더 작은 구획을 모두 나타낸다. 인술라는 케나쿨라(2층에 배치되는 식당), 타베르나이(1층에 배치된 고대 로마의 1인실 상점/매점 유형), 계단 아래 보관실, 그리고 아래층 상점이 포함되어 있다. 일반 서민을 위한 주택 유닛의 또 다른 유형은 세 개의 개별 방(쿠비쿨룸/침실, 엑세드라/방-응접실, 메디아눔)으로 나눠진 아파트인 케나쿨룸이었다. 일반적인 로마 아파트는 접근할 수 있는 문이 없어서 그것들의 사용이 수수께끼에 쌓인 좁은 발코니와 귀족들의 집에 포함된 부의 과도한 장식과 과시가 부족한 주로 작고 큰 구조물의 덩어리였다. 집에서 사치는 흔치 않았는데, 평범한 사람의 삶은 집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공공 욕장에 가서 다른 공공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Insulae have been the subject of great debate for historians of Roman culture, defining the various meanings of the word. Insula was a word used to describe apartment buildings, or the apartments themselves, meaning apartment, or inhabitable room, demonstrating just how small apartments for Plebes were. Urban divisions were originally street blocks, and later began to divide into smaller divisions, the word insula referring to both blocks and smaller divisions. The insula contained cenacula, tabernae, storage rooms under the stairs, and lower floor shops. Another type of housing unit for Plebes was a cenaculum, an apartment, divided into three individual rooms: cubiculum, exedra, and medianum. Common Roman apartments were mainly masses of smaller and larger structures, many with narrow balconies that present mysteries as to their use, having no doors to access them, and they lacked the excessive decoration and display of wealth that aristocrats’ houses contained. Luxury in houses was not common, as the life of the average person did not consist of being in their houses, as they instead would go to public baths, and engage in other communal activities.

5.7. 등대

5.7. Lighthouses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스페인에 있는 로마 등대, 헤라클레스 타워 ⓒ Alessio Damato

스페인 북부 라코루냐에 있는 헤라클레스의 탑을 포함하여 지중해와 제국의 해안 주변에 많은 등대가 건설되었으며, 구조물은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영국 도버에 있는 더 작은 등대도 원래 높이의 대략 절반 정도인 폐허로 존재한다. 조명은 구조물 상단의 불에 의해 제공되었을 것이다.

Many lighthouses were built around the Mediterranean and the coasts of the empire, including the Tower of Hercules at A Coruña in northern Spain, a structure which survives to this day. A smaller lighthouse at Dover, England also exists as a ruin about half the height of the original. The light would have been provided by a fire at the top of the structure.

5.8. 테르마이 (공공 욕장)

5.8. Thermae

모든 로마 도시에는 공공 목욕, 운동 및 사교를 위한 인기 시설인 테르마이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있었다. 운동에는 레슬링, 역도, 수영이 포함될 수 있다. 목욕은 로마 시대의 중요한 부분으로, 정부에서 지원하는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몇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부유한 로마인들은 종종 다과를 가져오고, 귀중품을 보호하고, 수건을 제공하고, 세션(욕장에서의 과정)이 끝날 때 올리브 오일을 주인의 몸에 바른 다음 나무나 뼈로 만든 스크래퍼인 스트리길로 긁어내는 것과 같은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노예들을 동반했다. 로마인들은 지금처럼 비누와 물로 씻지 않았다.

All Roman cities had at least one thermae, a popular facility for public bathing, exercising and socializing. Exercise might include wrestling and weight-lifting, as well as swimming. Bathing was an important part of the Roman day, where some hours might be spent, at a very low cost subsidized by the government. Wealthier Romans were often accompanied by one or more slaves, who performed any required tasks such as fetching refreshment, guarding valuables, providing towels, and at the end of the session, applying olive oil to their masters’ bodies which was then scraped off with a strigil, a scraper made of wood or bone. Romans did not wash with soap and water as we do now.

로마식 목욕탕은 개인 별장, 타운하우스 및 요새에도 제공되었다. 그것들은 일반적으로 인접한 강이나 하천, 또는 수로를 통해 물을 공급받았다. 테르마이의 디자인은 비트루비우스의 『건축십서』에 의해 논의된다.

Roman bath-houses were also provided for private villas, town houses and forts. They were normally supplied with water from an adjacent river or stream, or by aqueduct. The design of thermae is discussed by Vitruvius in De architectura.

5.9. 신전

5.9. Temples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레바논 바알벡에 있는 “로마 바로크” 바쿠스 신전 ⓒ Gaël Frouin via Wikimedia Commons

로마의 신전은 로마 문화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부유한 건물 중 하나였지만, 완전한 상태로 잔존하는 건 극소수에 불과하다. 그것들의 공사와 유지는 고대 로마 종교의 주요한 부분이었으며, 중요한 모든 타운에는 적어도 하나의 주요 신전과 그에 더해 작은 성지가 있었다. 큰 방(셀라)에는 신전이 봉헌된 신의 숭배 이미지가 보관돼 있었고, 종종 향 또는 헌주(獻酒)를 위한 작은 제단이 있었다. 셀라 뒤에는 장비와 헌금을 보관하기 위해 신전 수행원들에 의해 사용되는 방 또는 방들이 있었다.

Roman temples were among the most important and richest buildings in Roman culture, though only a few survive in any sort of complete state. Their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was a major part of ancient Roman religion, and all towns of any importance had at least one main temple, as well as smaller shrines. The main room (cella) housed the cult image of the deity to whom the temple was dedicated, and often a small altar for incense or libations. Behind the cella was a room or rooms used by temple attendants for storage of equipment and offerings.

무엇보다 로마 자체에 남아 있는 많은 로마 신전의 일부 유적은, 비교적 거의-완전한 사례는 거의 모두 기독교 교회(그리고 때때로 회교 사원으로)로 개종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콘스탄티누스 대제 아래서 최초 기독교의 승리 이후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로마 종교의 쇠퇴는 상대적으로 느렸고, 신전들 자체는 서기 415년 호노리우스 황제의 칙령이 있을 때까지 정부에 의해 승인되지 않았다. 가장 오래 잔존하는 신전 중 일부는 정복자 헤라클레스 신전(기원전 2세기 중반)과 포르투누스 신전(기원전 120~80년)으로, 둘 다 포룸 보아리움 내에 있다.

Some remains of many Roman temples survive, above all in Rome itself, but the relatively few near-complete examples were nearly all converted to Christian churches (and sometimes subsequently to mosques), usually a considerable time after the initial triumph of Christianity under Constantine. The decline of Roman religion was relatively slow, and the temples themselves were not appropriated by the government until a decree of the Emperor Honorius in 415. Some of the oldest surviving temples include the Temple of Hercules Victor (mid 2nd century BC) and Temple of Portunus (120–80 BC), both standing within the Forum Boarium.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기원전 2세기 중반에 지어진 로마, 정복자 헤라클레스 신전 ⓒ ChromosomeGun

로마 신전의 형태는 주로 에트루리아 모델에서 파생되었지만, 그리스 양식을 사용했다. 로마 신전은 그리스 신전 모델을 따르고 있으며 전형적으로 기둥이 있는 현관으로 이어지는 넓은 계단, 프로나오스(성소 앞 문간방), 그리고 일반적으로 가장 웅장한 사례들에서 조각상으로 가득했던 위의 삼각형 페디먼트로 이어지는 건물의 정면을 강조했다; 이것은 종종 돌보다 테라코타로 있었고, 파편을 제외한 어떤 사례도 남아 있지 못 했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모든 방향에서 보고 접근할 수 있도록 신전의 모든 면을 동등하게 취급하는 그리스 모델과 달리, 로마 신전의 측면과 후면은 대부분 장식되지 않았을 수 있고(로마와 비크의 판테온에서처럼), 계단으로 접근할 수 없으며(메종 카레와 비크에서처럼), 심지어 다른 건물로 돌아갈 수도 있었다. 메종 카레에서와 같이, 측면에 있는 기둥은 벽에서 나오는 (건축적 용어로 “붙임”) 반-기둥일 수 있다. 신전이 앉은 단(플랫폼)은 일반적으로 그리스보다 로마의 사례에서 더 높았으며, 그리스 신전의 전형적인 3개보다 10개 또는 12개 이상의 계단이 올라갔다; 클라우디우스 신전은 20 계단을 올렸다. 이들 계단은 보통 전면에만 있었으며, 그것의 전체 너비는 전형적이지 않았다.

The form of the Roman temple was mainly derived from the Etruscan model, but using Greek styles. Roman temples emphasised the front of the building, which followed Greek temple models and typically consisted of wide steps leading to a portico with columns, a pronaos, and usually a triangular pediment above, which was filled with statuary in the most grand examples; this was as often in terracotta as stone, and no examples have survived except as fragments. However, unlike the Greek models, which generally gave equal treatment to all sides of the temple, which could be viewed and approached from all directions, the sides and rear of Roman temples might be largely undecorated (as in the Pantheon, Rome and Vic), inaccessible by steps (as in the Maison Carrée and Vic), and even back on to other buildings. As in the Maison Carrée, columns at the side might be half-columns, emerging from (“engaged with” in architectural terminology) the wall. The platform on which the temple sat was typically raised higher in Roman examples than Greek, with up ten or twelve or more steps rather than the three typical in Greek temples; the Temple of Claudius was raised twenty steps. These steps were normally only at the front, and typically not the whole width of that.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곡물 저장고, 열쇠, 가축 및 항구의 신, 포르투누스 신전. 기원전 120~80년 사이 로마에 건설 ⓒ Anthony M. via Wikimedia Commons

모든 디테일에서 그리스 고전 오더는 다른 권위 있는 건물들과 마찬가지로 신전의 파사드에서 더 면밀히 따랐다. 그렇지만 잔존하는 유일한 로마 저작자인 비트루비우스, 그리고 이후의 이탈리아 르네상스 저작자들이 설정한 서로 다른 요소들 사이의 이상화된 비율은, 항상 균형과 조화를 목표로 하지만 매우 가변적일 수 있는, 실제 로마 관습을 반영하지는 않았다. 헬레니즘적(Hellenistic) 경향에 따라, 코린트식 오더와 그것의 변형인 콤퍼지트식 오더는 살아남은 로마 신전에서 가장 일반적이었지만, 알칸타라와 같은 작은 신전의 경우 단순한 토스카나식 오더가 사용될 수 있었다.

The Greek classical orders in all their details were closely followed in the façades of temples, as in other prestigious buildings. However the idealized proportions between the different elements set out by the only significant Roman writer on architecture to survive, Vitruvius, and subsequent Italian Renaissance writers, do not reflect actual Roman practice, which could be very variable, though always aiming at balance and harmony. Following a Hellenistic trend, the Corinthian order and its variant the Composite order were most common in surviving Roman temples, but for small temples like that at Alcántara, a simple Tuscan order could be used.

로마 건축가들은 종종 그것의 신성한 건축물에서 예상되는 인구(?) 요소를 통합하려고 시도했기 때문에, 양식에서 상당한 지역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특히 커다란 석조 신전의 다양한 전통이 이미 수천 년이 된 이집트와 근동의 경우 더욱 그러했다. 고대 로마 시대의 켈트족 신전은 서부 제국에서 발견된 작은 신전들을 위한 단순한 양식이었고, 고대 로마 시대의 영국에서 가장 흔한 유형이었다. 그것은 종종 독특한 고전적 특징이 부족했으며, 켈트 종교의 로마-이전 신전과 상당한 연속성을 가졌을 수 있다.​

There was considerable local variation in style, as Roman architects often tried to incorporate elements the population expected in its sacred architecture. This was especially the case in Egypt and the Near East, where different traditions of large stone temples were already millennia old. The Romano-Celtic temple was a simple style for small temples found in the Western Empire, and by far the most common type in Roman Britain. It often lacked any of the distinctive classical features, and may have had considerable continuity with pre-Roman temples of the Celtic religion.

5.10. 극장

5.10. Theatres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로마 극장. 스페인 메리다 ⓒ Benjamín Núñez González via Wikimedia Commons

로마 극장은 스페인에서 중동까지 제국의 모든 지역에 지어졌다. 지역 건축에 영향을 끼친 로마인의 능력 때문에, 우리는 전 세계에서 독특한 로마의 특성을 지닌 수많은 극장을 볼 수 있다.

Roman theatres were built in all areas of the empire from Spain, to the Middle East. Because of the Romans’ ability to influence local architecture, we see numerous theatres around the world with uniquely Roman attributes.

이들 건물은 반원형이었으며 건설된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는, 특정한 내재하는 건축적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스카에나에 프론스는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무대 바닥의 높은 뒷벽이었다. 프로시니엄은 측면으로 꾸민 장식인 벽감들과 함께 무대의 앞쪽 가장자리를 지탱하는 벽이었다. 헬레니스틱의 영향은 프로시니엄의 사용을 통해 볼 수 있다. 로마 극장에는 때때로 스카에나에 프론스의 기둥을 지지하는 단(포디움)이 있었다. 스카에나에는 원래 건물 자체의 일부가 아니었으며, 배우를 위해 충분한 배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만 건설되었다. 결국, 그것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건물 자체의 일부가 되었다. 극장 자체는 무대(오케스트라)와 객석(오디토리움)으로 나뉘어졌다. 보미토리아(극장 출입구) 또는 입구와 출구는 청중들이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졌다. ​

These buildings were semi-circular and possessed certain inherent architectural structures, with minor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egion in which they were constructed. The scaenae frons was a high back wall of the stage floor, supported by columns. The proscaenium was a wall that supported the front edge of the stage with ornately decorated niches off to the sides. The Hellenistic influence is seen through the use of the proscaenium. The Roman theatre also had a podium, which sometimes supported the columns of the scaenae frons. The scaenae was originally not part of the building itself, constructed only to provide sufficient background for the actors. Eventually, it became a part of the edifice itself, made out of concrete. The theatre itself was divided into the stage (orchestra) and the seating section (auditorium). Vomitoria or entrances and exits were made available to the audience.

5.11. 빌라

5.11. Villa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폼페이 외곽의 신비의 저택 ⓒ ElfQrin via Wikimedia Commons

로마의 빌라는 상류층을 위해 지어진 시골집이었고, 반면 도무스는 타운에 있는 부유한 가족의 집이었다. 제국에는 많은 종류의 빌라가 있었지만, 모두가 모자이크 바닥과 프레스코화로 화려하게 장식된 것은 아니다. 지방에서는, 로마 양식의 장식적인 특징이 있는 시골집을 현대 학자들은 “빌라”라고 불렀다. 티볼리에 있는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빌라와 같은 일부는 로마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원한 언덕에 위치하거나 나폴리 만이 내려다보이는 그림 같은 장소에 있는 헤르쿨라네움의 파피리 별장과 같은 쾌락궁이었다. 일부 빌라는 영국 일글랜드 남동부에 있는 서식스의 피시본에서 재발견된 유명한 궁전과 같은 지방 거물의 가시적인 권력의 저택인 영국이나 폴란드의 시골집과 더 비슷했다.

A Roman villa was a country house built for the upper class, while a domus was a wealthy family’s house in a town. The Empire contained many kinds of villas, not all of them lavishly appointed with mosaic floors and frescoes. In the provinces, any country house with some decorative features in the Roman style may be called a “villa” by modern scholars. Some, like Hadrian’s Villa at Tivoli, were pleasure palaces such as those that were situated in the cool hills within easy reach of Rome or, like the Villa of the Papyri at Herculaneum, on picturesque sites overlooking the Bay of Naples. Some villas were more like the country houses of England or Poland, the visible seat of power of a local magnate, such as the famous palace rediscovered at Fishbourne in Sussex.

당시 도시의 가장자리에 있는 교외 빌라로 잘 알려진 캄푸스 마르티우스를 잠식한 중기 및 후기 공화당 빌라와 같이, 프레스코화로 유명한 신비의 별장을 포함하여, 폼페이 성벽 밖에서도 볼 수 있었다. 로마의 오디토리움 부지 또는 로마의 그로타로사에 있는 것과 같은 이 초기 교외 빌라는, 이탈리아 중부 교외 빌라의 유물과 유산을 보여다. 이 초기 교외 별장은 실제로 지역의 권력자들 또는 가문(부족)의 중요한 우두머리 또는 권력(심지어 궁전일 수도 있음)의 저택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Suburban villas on the edge of cities were also known, such as the Middle and Late Republican villas that encroached on the Campus Martius, at that time on the edge of Rome, and which can be also seen outside the city walls of Pompeii, including the Villa of the Mysteries, famous for its frescos. These early suburban villas, such as the one at Rome’s Auditorium site or at Grottarossa in Rome, demonstrate the antiquity and heritage of the villa suburbana in Central Italy. It is possible that these early, suburban villas were also in fact the seats of power (maybe even palaces) of regional strongmen or heads of important families (gentes).

세 번째 유형의 빌리는 라티푼디아(장원)로 불리는 대규모 농장의 조직적 중심을 제공했다; 그런 별장은 사치품이 부족할 수 있다. 4세기까지, 빌라는 단순히 농경지나 소유지를 의미할 수 있었다; 성 제롬은 마가복음을 번역했으며, 빌라와 더불어 거기에 집이 전혀 없었다는 추론 없이, 겟세마네의 올리브 숲을 묘사했다.

A third type of villa provided the organizational center of the large farming estates called latifundia; such villas might be lacking in luxuries. By the 4th century, villa could simply mean an agricultural estate or holding: Jerome translated the Gospel of Mark (xiv, 32) chorion, describing the olive grove of Gethsemane, with villa, without an inference that there were any dwellings there at all.

시골에 지어졌지만 나중에 요새화된 도시로 변한 거대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궁전과 함께, 중세 시대를 예고하는 주거용 성의 형태가 등장한다.

With the colossal Diocletian’s Palace, built in the countryside but later turned into a fortified city, a form of residential castle emerges, that anticipates the Middle Ages.

5.12. 물레방아

5.12. Watermills

물레방아의 최초 발명은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과 헬레니즘 과학 및 기술의 부상 이후 헬레니즘화된 지중해 동부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어지는 로마 시대에는 수력의 이용이 다양해지고 물레방아의 다양한 유형들이 도입되었다. 여기에는 수직 물레방아와 수평 물레방아의 세 가지 변형이 모두 포함된다. 밀가루를 분쇄하는데 주로 사용하는 것 외에도, 수력은 곡물을 빻고, 광석을 부수고, 돌을 자르고, 철 용광로를 위한 다듬이와 풀무에도 적용되었다.

The initial invention of the watermill appears to have occurred in the hellenized eastern Mediterranean in the wake of the conquests of Alexander the Great and the rise of Hellenistic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subsequent Roman era, the use of water-power was diversified and different types of watermills were introduced. These include all three variants of the vertical water wheel as well as the horizontal water wheel. Apart from its main use in grinding flour, water-power was also applied to pounding grain, crushing ore, sawing stones and possibly fulling and bellows for iron furnaces.


6. 장식적 구조물

6. Decorative structures

6.1. 거석 (단일체)

6.1. Monoliths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로마 트라야누스 기둥의 주두 via Wikimedia Commons

건축에서, 단일체(monolith)는 주변 망(網; matrix) 또는 암석 노두(露頭)에서 하나의 단위로 발굴된 구조물이다. 단일체는 로마 건물의 모든 유형에서 발견된다. 그것들은 다음 중 하나였다; 이동 없이 채석했다; 또는 채석하고 이동했다; 또는 채석하고, 이동하고 그리고 지상에서 그들의 위치로 들어 올려진다(예: 아키트레이브); 또는 채석하고, 이동하고 직립 자세(예: 기둥)로 건립됐다.

In architecture, a monolith is a structure which has been excavated as a unit from a surrounding matrix or outcropping of rock. Monoliths are found in all types of Roman buildings. They were either: quarried without being moved; or quarried and moved; or quarried, moved and lifted clear off the ground into their position (e.g. architraves); or quarried, moved and erected in an upright position (e.g. columns).

운송은 육지나 해상(또는 둘 다의 조합)으로 이루어졌고, 나중에는 종종 오벨리스크 운반선과 같은 특수 제작된 선박이 사용되었다. 리프팅 작업을 위해, 대략 기원전 515년부터 트라야누스 기둥의 건설과 같은, 고대 크레인이 사용되었다.

Transporting was done by land or water (or a combination of both), in the later case often by special-built ships such as obelisk carriers. For lifting operations, ancient cranes were employed since c. 515 BC, such as in the construction of Trajan’s Column.

6.2. 오벨리스크

6.2. Obelisks

오벨리스크는 꼭대기가 피라미드 모양으로 끝나는, 키가 크고 네 면이 좁고 가늘어지는 기념물이다. 이것은 원래 고대 이집트의 건설자들에 의해 “테케누(tekhenu)”라고 불렸다. 그것들을 본 그리스인들은 그리스어 ‘오벨리스크’를 사용하여 그것들을 묘사했고, 이 단어는 라틴어와 영어로 전해졌다. 로마인들은 고대 이집트 양식으로 오벨리스크를 의뢰했다. 사례는 다음과 같다:

An obelisk is a tall, four-sided, narrow tapering monument which ends in a pyramid-like shape at the top. These were originally called “tekhenu” by the builders, the ancient Egyptians. The Greeks who saw them used the Greek ‘obeliskos’ to describe them, and this word passed into Latin and then English. The Romans commissioned obelisks in an ancient Egyptian style. Examples include:

  • 프랑스 아를 ㅡ 4세기 로마 기원의 오벨리스크인 레퓌블리크 광장의 아를 오벨리스크
  • 이탈리아 베네벤토 ㅡ 3 개의 로마 오벨리스크
  • 뮌헨 ㅡ 쿤스트아레알에 있는 이집트 박물관, 서기 1세기, 5.8m, 티투스 섹스티우스 아프리카누스의 오벨리스크
  • 로마 ㅡ 로마에는 5개의 고대 로마 오벨리스크가 있다.

  • Arles, France – the Arles Obelisk, in Place de la République, a 4th-century obelisk of Roman origin
  • Benevento, Italy – three Roman obelisks
  • Munich – obelisk of Titus Sextius Africanus, Staatliches Museum Ägyptischer Kunst, Kunstareal, 1st century AD, 5.80m
  • Rome – there are five ancient Roman obelisks in Rome.

6.3. 로마 정원

6.3. Roman gardens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포르투갈 코님브리가에 있는 정원 ⓒ Elisardojm via Wikimedia Commons

로마 정원은 이집트, 페르시아 및 그리스 정원 기술의 영향을 받았다. 고대 라티움(국가명)에서, 정원은 모든 농장의 일부였다. 대 카토(Cato Elder)에 따르면, 모든 정원은 집과 가까워야 하며 화단과 장식용 나무가 있어야 했다. 호라티우스(시인)는 그의 시대에 화원이 국가적 사치가 되었다고 썼다.

Roman gardens were influenced by Egyptian, Persian, and Greek gardening techniques. In Ancient Latium, a garden was part of every farm. According to Cato the Elder, every garden should be close to the house and should have flower beds and ornamental trees. Horace wrote that during his time flower gardens became a national indulgence.

정원은 극대로 부유한 사람들만을 위한 것은 아니었다. 폼페이의 발굴은 주택에 딸린 정원이 평균적인 로마인의 집의 공간 제약을 충족시키기 위해 축소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로마 정원 디자인의 수정된 버전은 아프리카, 갈리아 및 브리타니아의 로마 정착촌에서 채택되었다. 낮은 타운하우스가 높은 인술라(아파트 건물)로 대체되면서, 이러한 도시 정원은 창가의 화단(window box) 또는 옥상 정원으로 대체되었다.

Gardens were not reserved for the extremely wealthy. Excavations in Pompeii show that gardens attaching to residences were scaled down to meet the space constraints of the home of the average Roman. Modified versions of Roman garden designs were adopted in Roman settlements in Africa, Gaul, and Britannia. As town houses were replaced by tall insula (apartment buildings), these urban gardens were replaced by window boxes or roof gardens.

6.4. 개선문

6.4. Triumphal arches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단일 아치형 통로가 있는 초기 로마 제국의 개선문, 로마에 있는 티투스 개선문 ⓒ Carole Raddato via Wikimedia Commons

개선문은 종종 도로를 가로지르도록 디자인된 하나 이상의 아치형 통로가 있는 지붕 덮인 길 모양의 기념비적인 구조물이다. 로마 개선문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로마 세계에는 개선문에 대한 효시가 있었다; 이탈리아에서는, 에트루리아인이 정교하게 장식된 단칸 아치를 도시로 가는 관문이나 입구로 사용했다. 에트루리아 아치의 잔존하는 사례는 페루자와 볼테라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개선문의 두 가지 핵심 요소 ㅡ 둥근 꼭대기 아치 및 정사각형 엔타블레처 ㅡ 는 고대 그리스에서 별도의 건축적 요소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A triumphal arch is a monumental structure in the shape of an archway with one or more arched passageways, often designed to span a road. The origins of the Roman triumphal arch are unclear. There were precursors to the triumphal arch within the Roman world; in Italy, the Etruscans used elaborately decorated single bay arches as gates or portals to their cities. Surviving examples of Etruscan arches can still be seen at Perugia and Volterra. The two key elements of the triumphal arch – a round-topped arch and a square entablature – had long been in use as separate architectural elements in ancient Greece.

로마의 혁신은 단일 독립 구조물에서 이러한 요소들을 사용한 것이었다. 기둥은 아치의 바깥면에 순전히 장식적인 요소가 되었으며, 건물을 지지하는 역할에서 자유로워진 엔타블러처는 아치의 건설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공민적 및 종교적 메시지의 프레임이 되었다. 로마인들이 개선문을 어떻게 보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서기 1세기에 쓴 대(大) 플리니우스는, 이에 대해 논의한 유일한 고대 저작자였다. 그는 일반적으로 4두2륜 전차(quadriga)와 함께 동상의 형태로 묘사된 명예로운 사람의 이미지를 “평범한 세계보다 높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썼다.

The innovation of the Romans was to use these elements in a single free-standing structure. The columns became purely decorative elements on the outer face of arch, while the entablature, liberated from its role as a building support, became the frame for the civic and religious messages that the arch builders wished to convey. Little is known about how the Romans viewed triumphal arches. Pliny the Elder, writing in the first century AD, was the only ancient author to discuss them. He wrote that they were intended to “elevate above the ordinary world” an image of an honoured person usually depicted in the form of a statue with a quadriga.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기원전 27년 로마 원로원이 아우구스투스에게 헌정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로마 개선문인, 리미니(아리미눔)에 있는 아우구스투스 개선문 ⓒ Carole Raddato via Wikimedia Commons

최초로 기록된 로마 개선문은 로마 공화국 시대에 세워졌다. 승리를 얻은 장군은 개선자(트리움파토르)라고 불리며,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조각상이 있는 궁륭(포르니시, 반원형 천장) 또는 영예로운 아치를 건립했다. 최초의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가 오직 황제에게만 업적(승리)이 주어질 것이라 공포한 제국 시대가 되면서, 로마의 개선 관행이 크게 바뀌었다. 개선문은 개인의 기념물에서 본질적으로 선전용 기념물로 바뀌었고, 통치자의 존재와 국가 법률을 알리고 홍보하는 역할을 했다. 아치는 반드시 입구로 지어질 필요는 없었지만, (많은 현대 개선문과 달리) 종종 도로를 가로질러 세워졌으며, 돌아가지 않고 통과하도록 의도되었다.

The first recorded Roman triumphal arches were set up in the time of the Roman Republic. Generals who were granted a triumph were termed triumphators and would erect fornices or honorific arches bearing statues to commemorate their victories. Roman triumphal practices changed significantly at the start of the imperial period when the first Roman Emperor Augustus decreed that only emperors would be granted triumphs. The triumphal arch changed from being a personal monument to being an essentially propagandistic one, serving to announce and promote the presence of the ruler and the laws of the state. Arches were not necessarily built as entrances, but – unlike many modern triumphal arches – they were often erected across roads and were intended to be passed through, not round.

대부분의 로마 개선문은 제국 시대에 지어졌다. 서기 4세기까지 로마에는 36개의 아치가 있었는데, 그 중 3개 ㅡ 타이터스 개선문(서기 81),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서기 203~205), 콘스탄티누스 개선문(서기 312) ㅡ 가 잔존하고 있다. 로마 제국의 도처에서 수많은 아치가 지어졌다. 단일 아치가 가장 일반적이었지만, 트리플 아치도 지어졌으며, 그 중 오랑주 개선문(대략 서기 21)이 잔존하는 가장 초기의 사례다. 서기 2세기부터, 사면에 아치형 개구부가 있는 교차로 위에 세워진 정사각형 개선문인 아치형 사면문(arcus quadrifron)의 많은 사례들이 특히 북아프리카에서 지어졌다. 로마와 이탈리아의 아치 건물은 트라야누스 시대(서기 98~117) 이후 감소했지만, 서기 2세기와 3세기 동안 속주(屬州)에 널리 퍼졌다; 그것들은 종종 제국의 방문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Most Roman triumphal arches were built during the imperial period. By the fourth century AD there were 36 such arches in Rome, of which three have survived – the Arch of Titus (AD 81), the Arch of Septimius Severus (203–205) and the Arch of Constantine (312). Numerous arches were built elsewhere in the Roman Empire. The single arch was the most common, but many triple arches were also built, of which the Triumphal Arch of Orange (c. AD 21) is the earliest surviving example. From the 2nd century AD, many examples of the arcus quadrifrons – a square triumphal arch erected over a crossroads, with arched openings on all four sides – were built, especially in North Africa. Arch-building in Rome and Italy diminished after the time of Trajan (AD 98–117) but remained widespread in the provinces during the 2nd and 3rd centuries AD; they were often erected to commemorate imperial visits.

아치의 장식은 승리와 개선자를 지속적이고 시각적으로 상기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파사드는 대리석 기둥으로 장식되었고, 교각과 다락은 장식용 처마 (돌림띠)로 장식되었다. 조각된 패널은 승리와 업적, 개선자의 무공, 적의 포획된 무기 또는 승리의 행렬 자체를 묘사했다. 스팬드럴(공복; 拱腹)은 일반적으로 하늘을 나는 승리를 묘사하는 반면, 다락은 종종 개선자를 명명하고 찬양하는 헌정 비문이 새겨져 있다. 교각과 내부 통로도 부조와 독립 조각으로 장식되었다. 볼트(궁륭)는 격자천정으로 장식되었다. 일부 개선문에는 황제 또는 장군을 사분면으로 묘사하는 동상 또는 쿠루스 트리움팔리스(개선 수레)가 올려졌다.

The ornamentation of an arch was intended to serve as a constant visual reminder of the triumph and triumphator. The façade was ornamented with marble columns, and the piers and attics with decorative cornices. Sculpted panels depicted victories and achievements, the deeds of the triumphator, the captured weapons of the enemy or the triumphal procession itself. The spandrels usually depicted flying Victories, while the attic was often inscribed with a dedicatory inscription naming and praising the triumphator. The piers and internal passageways were also decorated with reliefs and free-standing sculptures. The vault was ornamented with coffers. Some triumphal arches were surmounted by a statue or a currus triumphalis, a group of statues depicting the emperor or general in a quadriga.

로마의 개선문에 새겨진 비문은 그 자체로 예술 작품이었으며, 매우 세밀하게 자르고 때로는 금박을 입힌 글자를 사용했다. 각 글자의 형태와 사이 간격은 어떠한 장식적 과정 없이 최대한의 명확성과 단순성을 위해 신중하게 디자인되어 제약과 질서를 위한 로마의 취향을 강조했다. 나중에 타이포그래피 예술이 되는 것에 대한 이러한 개념은 오늘날까지 근본적으로 중요하게 남아 있다.

Inscriptions on Roman triumphal arches were works of art in themselves, with very finely cut, sometimes gilded letters. The form of each letter and the spacing between them was carefully designed for maximum clarity and simplicity, without any decorative flourishes, emphasizing the Roman taste for restraint and order. This conception of what later became the art of typography remains of fundamental importance down to the present day.

6.5. 전승 원주 (전승 기념탑)

6.5. Victory columns


7. 기반 시설

7. Infrastructure

7.1. 도로

7.1. Roads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아피아 가도 ⓒ Nicolò Musmeci via Wikimedia Commons

로마 도로는 로마 국가의 유지 및 발전에 필요불가결한 것이었으며, 기원전 500년경부터 로마 공화국과 로마 제국의 확장 및 통합을 통해 건설되었다. 그것들은 군대, 관리 및 민간인을 위한 육로 이동과 공식 통신 그리고 무역 상품의 내륙 운송을 위해 효율적인 수단을 제공했다. 로마의 발전이 절정에 이르렀을 때, 수도에서 29개 이상의 대규모 군사 고속도로가 뻗어나갔고, 후기 제국의 113개 속주는 372개의 큰 연결 도로로 연결되었다. 로마 도로의 건설자들은 규정된 폭을 목표로 했지만, 실제 폭은 3.6피트(1.1m)에서 23피트(7.0m)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오늘날, 콘크리트는 돌 주변 공간에서 마모되어 매우 울퉁불퉁한 도로의 인상을 주지만, 원래 관행은 의심할 여지없이 평평한 표면을 만드는 것이었다.

Roman roads were vital to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he Roman state, and were built from about 500 BC through the expansion and consolidation of the Roman Republic and the Roman Empire. They provided efficient means for the overland movement of armies, officials and civilians, and the inland carriage of official communications and trade goods. At the peak of Rome’s development, no fewer than 29 great military highways radiated from the capital, and the Late Empire’s 113 provinces were interconnected by 372 great road links. Roman road builders aimed at a regulation width (see Laws and standards above), but actual widths have been measured at between 3.6 ft (1.1 m) and more than 23 ft (7.0 m). Today, the concrete has worn from the spaces around the stones, giving the impression of a very bumpy road, but the original practice was to produce a surface that was no doubt much closer to being flat.

7.2. 수도교

7.2. Aqueduct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프랑스에 있는 퐁 뒤 가르 수도교 ⓒ Roberto Ferrari via Wikimedia Commons

로마인들은 먼 곳의 물을 도시와 타운으로 가져와 공중 목욕탕, 화장실, 분수 및 개인 가정에 공급하기 위해 수많은 수로를 건설했다. 폐수는 복잡한 하수 시스템에 의해 치워지고 인근 수역으로 방출되어, 마을을 깨끗하고 유출물 없는 상태로 유지했다. 수도교는 또한 광산 작업, 제분, 농장 및 정원에도 물을 제공했다.

The Romans constructed numerous aqueducts in order to bring water from distant sources into their cities and towns, supplying public baths, latrines, fountains and private households. Waste water was removed by complex sewage systems and released into nearby bodies of water, keeping the towns clean and free from effluent. Aqueducts also provided water for mining operations, milling, farms and gardens.

수로는 중력을 통해서만 물을 이동시켰고, 돌, 벽돌 또는 콘크리트 도관 내에서 약간 하향 경사를 따라 건설되었다. 대부분은 땅 밑에 묻혔고 그 윤곽(등고선)을 따랐다; 방해하는 봉우리는 우회하거나 또는 아주 가끔 터널을 뚫었다. 계곡이나 저지대가 개입된 곳에서는 도관을 교량으로 운반기거나 그 내용물을 고압의 납, 세라믹(도자) 또는 석재 파이프로 공급하여 사이펀으로 통과시켰다. 대부분의 수로 시스템은 필요시 공급을 조절하기 위해 침전조, 수문 및 분배조가 포함되었다.

Aqueducts moved water through gravity alone, being constructed along a slight downward gradient within conduits of stone, brick or concrete. Most were buried beneath the ground, and followed its contours; obstructing peaks were circumvented or, less often, tunnelled through. Where valleys or lowlands intervened, the conduit was carried on bridgework, or its contents fed into high-pressure lead, ceramic or stone pipes and siphoned across. Most aqueduct systems included sedimentation tanks, sluices and distribution tanks to regulate the supply at need.

로마 최초의 수도교는 도시의 가축 시장에 설치된 분수에 물을 공급했다. 서기 3세기까지 이 도시는 11개의 수로를 가지고 있었고, 물을 낭비하는 경제 속에 백만 명 넘는 인구를 유지했다; 대부분의 물은 도시의 많은 공중 목욕탕에 공급되었다. 로마 제국 전역의 도시와 지방자치단체는 이 모델을 모방했으며, 공공의 이익과 시민의 자부심의 대상으로서 “모든 사람이 열망할 수 있는 비싸지만 필요한 사치품”인 수로에 자금을 지원했다.

Rome’s first aqueduct supplied a water-fountain sited at the city’s cattle market. By the third century AD, the city had eleven aqueducts, sustaining a population of over a million in a water-extravagant economy; most of the water supplied the city’s many public baths. Cities and municipalities throughout the Roman Empire emulated this model, and funded aqueducts as objects of public interest and civic pride, “an expensive yet necessary luxury to which all could, and did, aspire.”

대부분의 로마 수도교는 신뢰성과 내구성이 입증되었다; 일부는 근대 초기까지 유지되었으며, 일부는 여전히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수로 측량 및 건설 방법은 비투르비우스가 그의 저작인 『건축십서』(기원전 1세기)에서 언급한 바 있다. 프론티누스 장군은 로마 제국의 공공 상수도 문제, 사용 및 남용에 대해 그의 공식 보고서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수로 건축의 주목할만한 사례에는 세고비아 수로의 지지 교각과 콘스탄티노플의 수로 공급수조가 있다.

Most Roman aqueducts proved reliable, and durable; some were maintained into the early modern era, and a few are still partly in use. Methods of aqueduct surveying and construction are noted by Vitruvius in his work De Architectura (1st century BC). The general Frontinus gives more detail in his official report on the problems, uses and abuses of Imperial Rome’s public water supply. Notable examples of aqueduct architecture include the supporting piers of the Aqueduct of Segovia, and the aqueduct-fed cisterns of Constantinople.

7.3. 교량

7.3. Bridges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스페인 메리다의 과디아나강의 로마교(푸엔테 로마노) via Wikimedia Commons

고대 로마인들에 의해 지어진 로마 교량은 처음으로 건설된 크고 오래가는 다리였다. 로마 교량은 돌로 지어졌으며 아치를 기본 구조로 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콘크리트도, 로마인들이 교량에 최초로 사용한 것이다.

Roman bridges, built by ancient Romans, were the first large and lasting bridges built. Roman bridges were built with stone and had the arch as the basic structure. Most utilized concrete as well, which the Romans were the first to use for bridges.

로마 아치교는 일반적으로 반원형이었지만 일부는 활꼴이었다. (예를 들면, 스페인의 알코네타르 다리) 활꼴 아치는 반원보다 작은 아치다. 활꼴 아치의 장점은 다량의 홍수가 그 아래를 통과할 수 있어, 범람 동안 다리가 쓸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다리 자체는 더 가벼워질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로마 교량은 크기와 모양에서 동일한 쐐기 모양의 아치 돌(홍예석)을 특징으로 한다. 로마인들은 가르교와 세고비아 수도교 같은 단일 경간과 긴 다중 아치 수로를 모두 건설했다. 그들의 교량은 초기부터 교각에 범람 분출구가 있는 것이 특징인데, 그 예로, 로마(기원전 62)에 있는 파브리키우스 다리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주요 다리 중 하나다. 로마의 엔지니어들은 산업혁명이 일어나기 전까지 오푸스 케멘티시움이라고 불리는 콘크리트로 콘크리트로 교량을 건설한 유일한 사람이었다. 외부는 일반적으로 알칸타라 교량에서와 같이 벽돌 또는 마름돌로 덮여 있었다.

Roman arch bridges were usually semicircular, although a few were segmental (such as Alconétar Bridge). A segmental arch is an arch that is less than a semicircle. The advantages of the segmental arch bridge were that it allowed great amounts of flood water to pass under it, which would prevent the bridge from being swept away during floods and the bridge itself could be more lightweight. Generally, Roman bridges featured wedge-shaped primary arch stones (voussoirs) of the same in size and shape. The Romans built both single spans and lengthy multiple arch aqueducts, such as the Pont du Gard and Segovia Aqueduct. Their bridges featured from an early time onwards flood openings in the piers, e.g. in the Pons Fabricius in Rome (62 BC), one of the world’s oldest major bridges still standing. Roman engineers were the first and until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only ones to construct bridges with concrete, which they called Opus caementicium. The outside was usually covered with brick or ashlar, as in the Alcántara bridge.

로마인들은 또한 다리 건설에 활꼴아치교를 도입했다. 터키 남서부에 있는 330m 길이의 리미라 다리는 평균 경간 대 상승 비율이 5.3:1인 26개의 활꼴아치를 특징으로 하며, 이 다리는 천 년 이상 동안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비정상적으로 평평한 윤곽을 제공한다. 다뉴브 강을 가로지르는 트라야누스 다리는 나무로 만든 개방형 아치공복 분절 활꼴아치(40m 높이의 콘크리트 교각에 서 있음)를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전체 및 개별 경간 길이 측면에서 천 년 동안 가장 긴 아치교였으며, 현존하는 가장 긴 로마 교량은 메리다(베네수엘라)에 있는 790m 길이의 푸엔토 로마노다.

The Romans also introduced segmental arch bridges into bridge construction. The 330 m long Limyra Bridge in southwestern Turkey features 26 segmental arches with an average span-to-rise ratio of 5.3:1, giving the bridge an unusually flat profile unsurpassed for more than a millennium. Trajan’s bridge over the Danube featured open-spandrel segmental arches made of wood (standing on 40 m high concrete piers). This was to be the longest arch bridge for a thousand years both in terms of overall and individual span length, while the longest extant Roman bridge is the 790 m long Puente Romano at Mérida.

7.4. 운하

7.4. Canals

로마 운하는 전형적으로 관개, 배수, 토지 개간, 홍수 통제 및 가능한 운항 탐색을 위한 다목적 구조물이었다. 일부 항해 운하는 고대 지리학자에 의해 기록되었으며, 현대 고고학에 의해 여전히 추적 가능하다. 도시 상수도 공급에 필요한 수로는 로마 제국의 수로 목록에 나와 있다.

Roman canals were typically multi-purpose structures, intended for irrigation, drainage, land reclamation, flood control and navigation where feasible. Some navigational canals were recorded by ancient geographers and are still traceable by modern archaeology. Channels which served the needs of urban water supply are covered at the List of aqueducts in the Roman Empire.

7.5. 물탱크

7.5. Cisterns

황궁에 물을 공급했던 콘스탄티노플의 바실리카 물탱크 ⓒ Josep Renalias via Wikimedia Commons

담수 급수장은 일반적으로 수로의 종점과 지선에 설치되어 도시 가정, 농업 단지, 제국 궁전, 테르마이 또는 로마 해군의 해군 기지에 물을 공급했다.

Freshwater reservoirs were commonly set up at the termini of aqueducts and their branch lines, supplying urban households, agricultural estates, imperial palaces, thermae or naval bases of the Roman navy.

7.6. 댐

7.6. Dams

로마의 댐 건설은 제국 초기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그것은 제국의 반건조 지역 변두리, 즉 북아프리카, 근동, 히스파니아 지방에 집중되었다. 스페인 댐의 상대적인 풍부함은 부분적으로 더 집중적인 현장 작업 때문이다; 이탈리아의 경우 네로 황제(54~68 재위)가 레크레이션 목적으로 만든 수비아코 댐만 입증되었다. 이 댐은 중세 후기까지 세계 어느 곳에서도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놀라운 높이로 인해 주목할 만하다.

Roman dam construction began in earnest in the early imperial period. For the most part, it concentrated on the semi-arid fringe of the empire, namely the provinces of North Africa, the Near East, and Hispania. The relative abundance of Spanish dams below is due partly to more intensive field work there; for Italy only the Subiaco Dams, created by emperor Nero (54–68 AD) for recreational purposes, are attested. These dams are noteworthy, though, for their extraordinary height, which remained unsurpassed anywhere in the world until the Late Middle Ages.

가장 빈번한 댐 유형은 흙 또는 암석으로 가득 채워진 제방 댐과 석조 중력 댐이었다. 이것들은 관개, 홍수 조절, 하천 전환, 토양 유지 또는 이러한 기능의 조합과 같은 광범위한 목적을 수행했다. 로마 댐의 불투수성은 방수 수압 모르타르와 특히 콘크리트 혁명 안에서 오푸스 케멘티시움의 도입으로 증가했다. 이 재료는 또한 오늘날 가장 큰 수방벽인 시리아 홈스 시 근처의 홈스 댐과 콘크리트 코어로 구성된 견고한 시리아 사막에 있는 하르바카 댐과 같은 더 큰 구조물을 지을 수 있게 했다.

The most frequent dam types were earth- or rock-filled embankment dams and masonry gravity dams. These served a wide array of purposes, such as irrigation, flood control, river diversion, soil-retention, or a combination of these functions. The impermeability of Roman dams was increased by the introduction of waterproof hydraulic mortar and especially opus caementicium in the Concrete Revolution. These materials also allowed for bigger structures to be built, like the Lake Homs Dam, possibly the largest water barrier today, and the sturdy Harbaqa Dam, both of which consist of a concrete core.

로마의 건설자들은 아치와 부벽의 안정화 효과를 처음으로 깨닫고 댐 설계에 통합했다. 로마인들에 의해 도입된 이전에 잘 알려지지 않은 댐 유형에는 아치-중력댐, 아치댐, 부벽댐 및 다중-아치 부벽 댐 등이 있다.

Roman builders were the first to realize the stabilizing effect of arches and buttresses, which they integrated into their dam designs. Previously unknown dam types introduced by the Romans include arch-gravity dams, arch dams,; buttress dams, and multiple-arch buttress dams.

7.7. 방어 방벽

7.7. Defensive walls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스페인의 루고 로마 방벽 ⓒ Xosema

로마인들은 일반적으로 요새보다는 도시를 요새화했지만, 영국의 포체스터 성 같은 색슨 족 해안 요새 같은 요새화된 캠프가 있었다. 도시 성벽은 이미 에트루리아 건축에서 중요했으며, 초기 공화국 아래에서의 이탈리아를 통제하기 위한 투쟁에서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더 많이 지었다. 여기에는 나중에 잉카의 작업을 연상시키는 방식으로 정확히 맞도록 모양이 정돈된 거대하고 불규칙한 다각형 블록이 포함되었다. 로마인들은 단순한 성곽의 벽을 ‘아게르’라고 불렀다; 이 시기에는 큰 높이가 필요하지 않았다. 로마 주변의 세르비아네 방벽은 기원전 4세기 초의 야심찬 프로젝트였다. 벽의 높이는 10m(32.8피트), 바닥 폭은 3.6m(12피트), 길이는 11km(7마일)에 이르렀고, 16개의 정문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다른 알려진 유물 없이 저술에서만 언급되었다. 그 중 일부는 앞쪽에 포사(도랑 또는 운하) 또는 도랑이 있고 뒤에는 아게르가 있어서 한니발을 저지하기에 충분했다. 나중에 아우렐리아누스 방벽이 그것을 대체하여 확장된 도시를 둘러싸고, 간격을 둔 작은 요새와 더불어 더 정교한 디자인을 사용한다.​

The Romans generally fortified cities rather than fortresses, but there are some fortified camps such as the Saxon Shore forts like Porchester Castle in England. City walls were already significant in Etruscan architecture, and in the struggle for control of Italy under the early Republic many more were built, using different techniques. These included tightly fitting massive irregular polygonal blocks, shaped to fit exactly in a way reminiscent of later Inca work. The Romans called a simple rampart wall an agger; at this date great height was not necessary. The Servian Wall around Rome was an ambitious project of the early 4th century BC. The wall was up to 10 metres (32.8 ft) in height in places, 3.6 metres (12 ft) wide at its base, 11 km (7 mi) long, and is believed to have had 16 main gates, though many of these are mentioned only from writings, with no other known remains. Some of it had a fossa or ditch in front, and an agger behind, and it was enough to deter Hannibal. Later the Aurelian Wall replaced it, enclosing an expanded city, and using more sophisticated designs, with small forts at intervals.

로마인들은 취약한 지역의 주요 도시와 마을을 성벽으로 둘러쌌고, 코르도바(기원전 2세기), 체스터(기원전 70년대의 흙과 나무, 대략 100년경의 돌), 그리고 요크(서기 70년대부터)에서와 같이 많은 성벽의 일부는 후기 방어 요새에 통합되어 남아 있다. 널따란 땅을 가로지르는 전략적 성벽은 훨씬 더 드물었고, 하드리아누스 방벽(112부터)과 안토니누스 방벽(142부터, 완공 후 8년만에 포기)은 고대 로마 제국 시대 영국의 픽트 국경에서 가장 중요한 사례다.

The Romans walled major cities and towns in areas they saw as vulnerable, and parts of many walls remain incorporated in later defensive fortifications, as at Córdoba (2nd century BC), Chester (earth and wood in the 70s AD, stone from c. 100), and York (from 70s AD). Strategic walls across open country were far rarer, and Hadrian’s Wall (from 122) and the Antonine Wall (from 142, abandoned only 8 years after completion) are the most significant examples, both on the Pictish frontier of Roman Britain.


8. 건축적 특징

8. Architectural features

8.1. 모자이크

8.1. Mosaics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하드리아누스 빌라에서 발견 된 켄타우로스 모자이크 (2세기) via Wikimedia Commons

그리스 원정에서 돌아온 술라 장군은 아마도 초기 제국 시대의 가장 잘 알려진 요소인 모자이크, 시멘트에 삽입된 다채로운 돌 조각으로 만든 장식을 가져왔다. 이 타일 붙이기 방법은 1세기 말과 2세기에 제국을 강타했고, 로마 가정에서는 기하학적 및 회화적 디자인으로 바닥, 벽, 동굴을 장식하는 유명한 벽화에 합류했다.

On his return from campaigns in Greece, the general Sulla brought back what is probably the most well-known element of the early imperial period, the mosaic, a decoration made of colourful chips of stone inserted into cement. This tiling method took the empire by storm in the late first century and the second century and in the Roman home joined the well known mural in decorating floors, walls, and grottoes with geometric and pictorial designs.

그레코로만 모자이크에는 두 가지 주요 기술이 있다: 오푸스 베르미쿨라툼은 전형적으로 4mm 이하의 입방체인 작은 테세라(모자이크용 각석)를 사용했으며, 작업장에서 비교적 작은 패널로 제작되어 일부 임시 지지대에 접착되어 현장으로 옮겨졌다. 작은 테세라는 매우 섬세한 디테일과 회화의 환상에 대한 접근을 허용했다. 종종 엠블레마타라고 불리는 작은 패널이 벽에 삽입되고 또는 거친 작업에서 더 큰 바닥 모자이크의 하이라이트로 삽입되었다. 그렇지만, 보통 기술은 현장에 놓인 더 큰 테세라를 사용하는 오푸스 테셀라툼이었다. 흰색 배경에 검은색을 사용한 독특한 이탈리아 고유 양식이었는데, 이는 의심의 여지 없이 전체 채색 작업보다 더 저렴했다.

There were two main techniques in Greco-Roman mosaic: opus vermiculatum used tiny tesserae, typically cubes of 4 millimeters or less, and was produced in workshops in relatively small panels which were transported to the site glued to some temporary support. The tiny tesserae allowed very fine detail, and an approach to the illusionism of painting. Often small panels called emblemata were inserted into walls or as the highlights of larger floor-mosaics in coarser work. The normal technique, however, was opus tessellatum, using larger tesserae, which were laid on site. There was a distinct native Italian style using black on a white background, which was no doubt cheaper than fully coloured work.

로마 모자이크의 특정 장르는 아사로톤(그리스어 “청소되지 않은 바닥”)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것은 부유한 집의 바닥에 연회에서 남은 음식의 착시를 표현한다.

A specific genre of Roman mosaic obtained the name asaroton (Greek “unswept floor”). It represented an optical illusion of the leftovers from a feast on the floor of rich houses.

8.2. 히포카우스툼 (바닥 난방, 온돌)

8.2. Hypocaust

고대 로마 집 - godae loma jib
프랑스 생 레미 드 프로방스에 있는 하이포코스트 ⓒ Allie_Caulfield

하이포코스트는 뜨거운 공기로 집을 데우는 데 사용되는 고대 로마의 바닥난방 시스템이었다. 로마 건축가 비트루비우스는 기원전 1세기 말에 관한 글을 쓰면서, 그것들의 발명을 세르기우스 오라타에게 돌렸다.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전역에 로마 하이포코스트의 많은 유적이 남아 있다. 하이포코스트는 시민의 위생과 생활 조건을 개선한 발명품이며, 현대 중앙 난방의 선구자였다.

A hypocaust was an ancient Roman system of underfloor heating, used to heat houses with hot air. The Roman architect Vitruvius, writing about the end of the 1st century BC, attributes their invention to Sergius Orata. Many remains of Roman hypocausts have survived throughout Europe, western Asia, and northern Africa. The hypocaust was an invention which improved the hygiene and living conditions of citizens, and was a forerunner of modern central heating.

하이포코스트는 공공으로든 사적으로든 온수 욕조(테르마이), 주택 및 기타 건물을 난방하는 데 사용되었다. 바닥은 필라 스택(pilae stacks; 온돌에 비유하면 일종의 굄돌)이라 불리는 기둥에 의해 지면 위로 올라갔는데, 타일층, 콘크리트층, 그리고 위에 또 다른 타일 층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보일러에서 나오는 뜨거운 공기와 연기가 이 밀폐된 공간을 통과하고 지붕의 연통 밖으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벽 안쪽에 공간이 남겨져 있어, 난방은 되지만 실내는 오염되지 않았다.

Hypocausts were used for heating hot baths (thermae), houses and other buildings, whether public or private. The floor was raised above the ground by pillars, called pilae stacks, with a layer of tiles, then a layer of concrete, then another of tiles on top; and spaces were left inside the walls so that hot air and smoke from the furnace would pass through these enclosed areas and out of flues in the roof, thereby heating but not polluting the interior of the room.

8.3. 로마 지붕

8.3. Roman roofs

로마 욕장을 위한 수영장인, 바이아에 있는 “머큐리 신전” 내부. 판테온이 건설되기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돔 중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 Kleuske via Wikimedia Commons

시칠리아에서 트러스 지붕은 아마도 기원전 550년에 나타났을 것이다. 그것들의 잠재력은 신전, 바실리카 및 후기 교회와 같은 기념비적인 공공 건물의 직사각형 공간에 걸쳐 30m 너비가 넘는 트러스 지붕이 있는 로마 시대에 완전히 실현되었되었다. 그러한 경간을 추월할 수 있는 것은 가장 넓은 기둥-인방 지붕보다 3배 더 넓은, 로마의 가장 큰 돔 뿐이었다.

In Sicily truss roofs presumably appeared as early as 550 BC. Their potential was fully realized in the Roman period, which saw trussed roofs over 30 wide spanning the rectangular spaces of monumental public buildings such as temples, basilicas, and later churches. Such spans were three times as wide as the widest prop-and-lintel roofs and only surpassed by the largest Roman domes.

고대 로마를 통틀어서 가장 큰 트러스 지붕은 로마 팔라틴 언덕 위에 도미티아누스 황제(서기 81~96)를 위해 지은 아울라 레기아(공식 알현실)였다. 목재 트러스 지붕의 너비는 31.67m로 로마 지붕 구조의 가정된 한계인 30m를 약간 초과했다. 지붕들보(tie-beam) 트러스는 기존의 기둥-인방 시스템보다 훨씬 더 큰 경간을 허용했으며, 심지어 콘크리트 아치형 천장까지도 허용했다. 로마 건축에서 가장 큰 직사각형 공간 10개 중 9개가 이런 식으로 연결되었으며, 유일한 예외는 교차궁륭인 막센티우스의 바실리카다.

The largest truss roof by span of ancient Rome covered the Aula Regia (throne room) built for emperor Domitian (81–96 AD) on the Palatine Hill, Rome. The timber truss roof had a width of 31.67 m, slightly surpassing the postulated limit of 30 m for Roman roof constructions. Tie-beam trusses allowed for much larger spans than the older prop-and-lintel system and even concrete vaulting. Nine out of the ten largest rectangular spaces in Roman architecture were bridged this way, the only exception being the groin vaulted Basilica of Maxentius.

8.4. 나선형 계단

8.4. Spiral stairs

나선형 계단은 복잡한 나선형 구조로 인해 비교적 늦게 건축에 도입된 계단 유형이다. 비록 가장 오래된 사례는 기원전 5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이 공간 절약의 새로운 유형이 로마 건축에서 영구적으로 자리 잡은 것은 트라야누스 기둥의 영향력 있는 디자인의 결과였다.

The spiral stair is a type of stairway which, due to its complex helical structure, was introduced relatively late into architecture. Although the oldest example dates back to the 5th century BC, it was only in the wake of the influential design of Trajan’s Column that this space-saving new type permanently caught hold in Roman architecture.

제국 도시 로마와 콘스탄티노플의 개선 기둥 외에도 신전, 테르마이, 바실리카 및 무덤과 같은 다른 형태의 건물들에도 나선형 계단이 설치되었다. 아우렐리아누스 방벽의 탑에서 그것들의 눈에 띄는 결여는 중세 성에서 사용되었지만, 아직 로마 군사 공학에서는 두드러지지 않았다. 고대 후기에는, 산 비탈레 바실리카와 같이 주요 건물 옆에 별도의 계단탑이 건설되었다.

Apart from the triumphal columns in the imperial cities of Rome and Constantinople, other types of buildings such as temples, thermae, basilicas and tombs were also fitted with spiral stairways. Their notable absence in the towers of the Aurelian Wall indicates that although used in medieval castles, they did not yet figure prominently in Roman military engineering. By late antiquity, separate stair towers were constructed adjacent to the main buildings, as in the Basilica of San Vit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