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m m3/min 변환 - cmm m3/min byeonhwan

풍량은 FAN의 바람의 양과 같은 의미입니다. 즉 FAN이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공기의 양을 뜻하는데, 수치가 클 수록 더 많은 바람을 만들어 냅니다. 단, 풍량이 높을 경우 소음이 같이 높아지는 단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풍량의 단위는 CFM 혹은 CMM으로 계산되어집니다. CFM은 Cubic Feet per Minute의 약자로 1분당 1큐빅피트, 즉 1세제곱피트 체적의 유체가 흐르는 양을 의미합니다. 보통 풍량은 FAN의 스펙을 나타내는데요. 일 예로 S기업 반도체 공장의 외조기(OAC)에 사용되는 FAN의 스펙은 2000CMM입니다. 그렇다면 CFM과  CMM은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요?

Cmm m3/min 변환 - cmm m3/min byeonhwan

CFM은 아까 큐빅피트라고 했었죠? CMM은 Cubic Meter per Minute의 약자입니다. 즉, 큐빅미터냐 피트냐의 차이입니다. 계산하는 방법은 더 쉽겠죠?

1CMM = 1CFM * 35.3 입니다. 즉 1CMM = 35.3CFM이 되겠습니다. 보다 정밀하게 보자면 35.31466...CFM 입니다.

Cmm m3/min 변환 - cmm m3/min byeonhwan

블로그
카테고리 이동
오성에어테크
검색 MY메뉴 열기
공식
풍량 단위 변환

이웃본문 기타 기능
풍량(Q): 단면적(A) X 속도(V) 분당 통과하는 기체의 양. 단위는 분당이므로 CMM, CFM, ㎥/min .

단면적(A): 풍량(Q )/ 속도(V)

속도(V): 풍량(Q) / 단면적(A)

정압(P): 기체의 흐름을 수직으로 누르는 힘. 단위는 mmAq.

동압(v): 속도 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한 값.

전압(T): 동압+정압

* 풍량의 단위 변환

초. 분. 시간( CMS. CMM. CMH)<---> (CFS. CFM. CFH)

단위 통일 CMM--CFM

* CMM: cubic meter per minute

CFM: cubic feet per minute

* 1cfm = 0.0283cmm

1cmm = 35.3cfm

대입 시 이 공식을 이용하는 것이 정석입니다.

ex) 180cfm = 5.094cmm(180 x 0.0283=5.094)

5.094cmm = 180cfm(5.094x 35.3=179.8)

또는(5.094/0.0283=180)

ex) 24,800cfm ---> cmm으로

1m= 3.2808ft 를 체적. 부피단위인 ㎥입방미터(루베)로 바꾸면

1㎥= (3.2808)³ft³ =35.28755ft³=35.3

그러므로 24,800cfm= 24800/ 35.3=702.8cmm

702.8cmm= 702.8x35.3= 24800cfm

또는702.8/ 0.0283=24834

※ cmm은 주로 국내서 사용, cfm은 중동이나 해외서 사용을 많이 하시더 라구요.

간단히 180 cfm은 x 0.0283 = 5.094 cmm

5.094 cmm은 x 35.3 =180 cfm 이공식만 대입하면 끝~.

※※※※※※ 1CFM은 우리가 쉬는 거친 숨소리 호흡 정도의 바람세기.

※※※※※※ 1CMM은 우리가 뜨거운 국물을 마시기 위해 입으로 후~하고 식혀주는 바람의 세기☆☆☆★★★★★☆☆☆☆★★★☆☆☆☆☆☆☆☆☆★★★

* 이글을 읽고 코와 입으로 따라하는 당신은 정말 센스장인,,, ^^*.

압력단위 변환 :(fan) 팬 업계에서 사용하는 단위

50 ----- ㎩

0.05--- kpa

5.098---kgf/㎡

5.098---mmH2O

5---------mmAq

팬(fan) 제작 스펙 적용 시 정압 단위는 mmAq( 미리미리에이큐-아쿠아 / 수주 밀리미터 )를 국내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하고, 해외서 문의 시는 pa, Kpa 사용하여 문의를 하는 편이죠 국내 기업도 해외에 본사를 둔 기업들도 그렇고요.(mmAq 압력단위를 국내 팬(fan)파트에서 주로 쓰는 이유는 그 시작이 펌프와도 연관이 있습니다.)

pa(파스칼), Kpa(킬로 파스칼) , mmH20(미리미리 에이치투오), kgf/㎡(킬로 그램 힘,무게,포스 / 평방미터)

kgf/㎡단위는 꼭 f를 넣어야 단위가 맞습니다. kg/㎡은 표현이 조금 다릅니다.( kg 질량< = > kgf 무게:중량 --->질량x가속도)

이 같은 표현을 보면 세 가지 단위 수치가 약 5로 통일되며 pa은 뒷자리 하나 빼면 쉬운 단위 변환이 됩니다. 이건 실무입니다^^

50 pa--->5 mmAq 가 됩니다.

예를 들어서 풍량 53 cmm , 정압 570 pa 또는 57 kgf/㎡ 혹은 57 mmH2O라고 말씀하시면 약(about) 57 mmAq 로 쉽게 환산되며,, 0.57 Kpa 정압이라면 0.57x1000=570 pa에 뒷자리 하나 빼주면 57 mmAq로 됩니다.

pa 과 mmAq는 수치상 조금 차이는 나지만 2 mmAq 내외는 십 단위 이상 정압에서 큰 차이가 없기에 간편 환산을 한 것입니다. 참고 바랍니다.

여기서 재미있는 사실은 부하와 부하가 없는 곳에서 사용하여할 팬 있다는 것입니다.

즉, 환풍기는 무부하에서 (순 풍량 위주)

깊게 설명하자니 길어져서 요약합니다 -- 벽부형이나 천장형 정압이 거의

필요 없는 곳.

환풍기 날개는 축류 액슬 형이라 날개의 앞뒤 빗면의 각도와 곡선의 모양으로 바람을 잡아다가 석션 하는 게 아니라 날개 앞뒤 각도의 면치기를 하여 기압차로 바람을 일으키기에 그렇습니다. 그래서 부하가 걸리면 소비전력이 올라가고 풍량은 줄고 환풍기는 설계상 정압에 맞지 않게 정압이 걸려 허용전류값을 초과하게 되어 모터가 소손이 될 수 있습니다.

다들, 한평 반 정도의 화장실에 환풍기가 오래 돌다 보면 이음(정상적이지 않는 소리음)이 들리는 것을 경험하셨는지요? 환풍기는 풍량 위주이기에 그렇습니다

우리가 보편적으로 화장실은 문을 닫고 화장실을 사용하기에 그렇죠 화장실 내에 공기가 다 빨려 배출되면

환풍기는 문틈으로 공기를 빨아드리려고 하겠죠 이때 정압이 발생됩니다 그래서 풍량 위주의 환풍기는고정압용으로 설계 제작된 환풍기가 아닌이상 정압 때문에 위에서 설명과 같이 흡입면 부하시 소음이 커지면서 서서히 망가지게 됩니다. 물론 소형 모터이다보니 싸고, 내구성이 뛰어난 베어링을 사용 못 한 것도 없진 않지만 주내용은 공기 순환이 잘 안된다는 점을 강조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반드시 급기가 필요하지요. 요령은 화장실 문이나 창문을 조금 열고 환풍기를 틀면 하나의 방법이 됩니다. 약간 팁을 더 드리자면 화장실 한평에는 15와트 전후에 풍량 1.0~3루베(1.0~3CMM) 정도의 환풍기를 사용합니다. 여기에 환기가 잘 안된다고 400와트 75루베(75CMM)를 쓴다면 잘 될까요?

처음엔 잘 돼도 한 평 반의 단면적이 너무도 적은 면적이라 환풍기는 부하가 걸려 전기세인 소비전력도 올라가고 암페어도 허용전류값을 초과하여 계속하여 쓰면 수명이 정상보다 많이 단축됩니다.(올바른 환풍기 선택이 아닙니다)

모든 팬은 배기를 위해선 급기가 반드시 필요하고, 단위 면적당 이론적 현장 스타일에 맞게 필요 공기량을 산출 후 거기에 맞는환풍기를 설치하여야 효율적인 급.배기가 됩니다.

시로코는 풍량과 정압이 어는 정도 갖추어져야 하는 스타일, 그래서 식당 주방후드, 홀 그리고 어느정도의 거리가 있는 곳에서 급기나 배기팬으로 사용을 많이 하는 편입니다

고압이나 터보팬은 풍량보다는 정압이 많이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하시고요.

그래야 오빤 강남스타일입니다.^^*

시로코팬이나 터보팬은 날개가 환풍기와 반대로 다익형 이거나,터빈처럼 바람을 빨아서 석션 하는 스타일이라 부하가 어는 정도 걸릴수록 소비전력과 암페어가 정상적이어서 효율적입니다. 설명이 길어져서 나중에 테스트 동영상과 풍량 정압 rpm 전류값의 성능곡선이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데이터시트를 보시면 이해가 좀 더 쉽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아래 그래프는 환풍기, 직결터보팬, 시로코팬의 성능곡선 입니다.

환풍기나 시로코팬을 잘 보시면 정압과 풍량이 어떻게 성능곡선이 바뀌며 그에따라 소비전력과 전류값도 유심히 봐 주십시오. 환풍기와 시로코팬의 정압과 풍량에 따라 전류값도 완전 반비례 스타일의 팬이라는 것을 알 수있으므로

사용용도가 다르 다는게 표현됩니다.

간단히 이해를 돕자면 주방에 사각 후드를 보시면 후드 상부에 환풍기가 달린게 있고, 구멍이 뚫린 상태로 직관이나 자바라에 연결되어 외부에 시로코팬이

달린 흔한 두가지 유형을 보셨지요? 아래 그래프인 성능곡선을 해석해보면

환풍기는 정압이 아닌 풍량위주라 멀리에 있는 냄새나 기체, 먼지, 스팀등을 빨아오지는 못합니다. 환풍기 풍량(소비전력)별로 어떻게 됐던 기체가 환풍기 근처까지 와야만 빨아내죠. 대표적 시연 모습은 달리는 차 안에서 담배를 피면 연기가 나죠 이때 창문을 다 열고 피는것 보다 10cm정도 열고 피면 연기가 기압차( 달리는 차 밖의 빠른 속도가 차 내부의 정체된 압을 끌고 나가는 원리-기류 )에 의해 차 창문 밖으로 마법 처럼 배출되는 것을 보셨지요? 이것 역시 차 창문 밖에 바로 배출되기에 가능한 원리입니다. 주방후드도

거의, 뜨거운 열기가 위로 올라오기때문에 환풍기까지 쉽게 오기에 환풍기가

기능을 하는것이지요,더 디테일 하게 이야기 하자면 길어져 핵심만 말하자면

후드사이즈가 크다면 후드아래 화덕이나 렌지에서 나오는 스팀, 연기등이 많다는 것입다. 환풍기도 커져야 겠지요. 단, 여기서 중요한 것은 환풍기에서 토출되어 나가는 길이가 벽부형이다 보니 1미터 내외가 되어야 됩니다 그렇지 않다면 환풍기는 풍량위주 이기에 정압이 없어 석션후 배출하는게 한계가 옵니다( 환풍기도 천장형을 보면 시로코 터보 싸이클론의 날개 타입은 정압에 유리한 편입니다- - - 여기서 말하는 풍량위주는 벨마우스(시보리)가 작으며 축류형 날개를 가진 타입의 환풍기를 말합니다, 축류형 날개는 선풍기 날개 처럼 생긴 걸 말합니다)

결론은 50CMM을 석션(흡입)해도 배출길이가 1M~3M가 넘어 가게 되면 환풍기가 제 아무리 커져도 자기 풍량을 다 소화 시키지 못합니다.(풍량 정의를 다시 한번 읽어 보세요) 정압이 없어서 긴 거리는 이동이 제한된다는 말입니다.환풍기는 바람이 나가는쪽을 바로 막아보면 과전류 상태가 됩니다 참고바랍니다. 그래서 이때 직관등을 이용하여 풍량과 정압이 강한 시로코팬을 거리와 후드,그리고 팬용량, 흡.토출 사이즈에 따라 쉽게 말하는 표현으로 1마력이냐 2마력이냐 혹은 그 이상의 팬을 쓰며 그 마력에는 풍량과 정압이 이미 표준 사용 데이터가

있어서 알맞게 선정하여 시공업자나 FAN상품을 판매하는 저희" 오성에어테크 "와 같은 각매장 관리자와 상담하여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내압방폭형 환풍기 WFS500 (1마력 )성능곡선 데이터 시트

내압방폭형 터보직결팬 (1마력) 성능곡선 데이터 시트

내압방폭형 시로코팬 (1마력) 성능곡선 데이터 시트

#풍량단위
#풍량
#송풍기풍량
#환풍기풍량
#CMM
#CMH
#CFM
#CFH
1
공감한 사람 보러가기댓글 0공유하기
궁금한 방폭팬
궁금한 방폭팬
좋은글·이미지
오성에어테크 Tel. 032-761-0577 Fax. 032-761-0579 핸폰.010.7206.0577

이웃
이 블로그
공식
카테고리 글
풍량 단위 변환
2019. 3. 21.
1
댓글 0
풍량단위변환
블로그 검색결과

이미지
동영상
블로그 글
[SI단위] 풍량단위 : m3/h 를 kg/h로 변환
먀니
2014. 1. 11.
3
댓글 9
베인 풍속계/측정(0.3 to 35m/s) /측정 단위 자유로운 변환 가능/풍량계산가능
ljy0686
2017. 3. 20.
댓글 0
사진 개수14
설치형 풍속 풍량 정압 차압 유속 유량 측정기 키모CP210 CP212 풍압 차압계 제품 소개
레이먼드
2019. 7. 13.
3
댓글 0
사진 개수15
공기 청정기 만들기 번외 편 (풍량과 소음)
환군
2019. 3. 12.
13
댓글 13
사진 개수17
선풍기 바람세기 측정. 디지털 풍량풍속계 BENETECH GM816.
제로
2020. 6. 15.
28
댓글 6
사진 개수5
PNEUMATIC/배전반/버터플라이밸브/볼밸브/감압밸브/하니웰/압력단위변환/릴리프밸브
대아기전
2019. 6. 10.
댓글 0
사진 개수6
CP200 설치형 미압 압력계 차압계 풍압계 동압계 풍속 풍량 트랜스미터
신팀장
2011. 9. 30.
0
댓글 0
사진 개수3
CP200 series [압력센서/압력트렌스미터/차압센서/차압트렌스미터/풍속/풍량측정...
sddco
2014. 1. 7.
댓글 0
사진 개수6
[KIMO] MP120 휴대형 차압, 풍속, 풍량 측정기
kingsofstars
2018. 4. 5.
댓글 0
사진 개수3
CP210 series[압력센서/압력트렌스미터/차압센서/차압트렌스미터/풍속/풍량측정트...
sddco
2014. 1. 7.
댓글 0
사진 개수3
CP300 series[압력센서/압력트렌스미터/차압센서/차압트렌스미터/풍속/풍량측정트...
sddco
2014. 1. 7.
댓글 0
풍량 계산법
키모코리아
2009. 4. 9.
3
댓글 6
사진 개수7
이동식 고온풍속계 VT110 V115
KIMO
2020. 9. 21.
댓글 0
사진 개수14
2017년 정기 기사 1회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최종합격 수기 및 후기
마죠리
2017. 5. 27.
35
댓글 112
압축기 토출량 cm3->M^3/h로 변환하기
Renky
2019. 1. 30.
0
댓글 0
사진 개수8
풍속풍량계 VT210 / CTV110 ENTRON
엔트론
2017. 7. 4.
0
댓글 0
사진 개수20
이송용송풍기/송풍기압력테스트/송풍기풍량테스트/풍동실험데이터/풍량데이터
대구송풍기
2019. 9. 27.
93
댓글 22
사진 개수5
KIMO - 휴대용 열선 풍속 풍량계 VT110 VT115
KIMO
2020. 7. 17.
댓글 0
사진 개수16
[Blower] 송풍기 개념정리 (환기 및 풍량 상식 포함)
스끼다시
2012. 3. 12.
댓글 22
사진 개수3
보일러 부속 설비 수처리 급수 통풍장치 설치
세영직업전문학교
2019. 3. 31.
1
댓글 1
이전

다음
맨 위로

PC버전으로 보기
1
공감한 사람 보러가기댓글 0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