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증 인터넷 재발급 - bogeonjeung inteones jaebalgeub

사단법인 인구보건복지협회대표 : 김창순사업자등록번호 : 107-82-03565
주소 : (07230) 서울시 영등포구 버드나루로 14가길 20 (당산동 6가 121-146)전화 : 02-2634-8212팩스 : 02-2671-8212
※ 협회 본부(영등포구 당산동)의 경우 가족보건의원을 운영하지 않습니다.
     서울지역의 경우 서울지회 가족보건의원(광진구 중곡동 / ☏ 02-467-8916)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Korea Population, Health and Welfare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

top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건증 인터넷 발급방법에 대해 포스팅해 보려고 합니다. 보통 음식점과 카페 등 식품 및 위생 관련 분야 사업자는 식품위생법에 따라 건강 진단을 시행하고 보건증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보건증은 이제 ‘건강진단결과서’로 명칭이 바뀌었는데요. 이는 식품위생법 제40조에 의해 규정됐습니다. 요식업종, 유흥업소, 집단 급식 등의 식품 제조 업체 등 식품 위생이 불가피하게 적용되는 업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검사입니다.

보건증 발급방법 – 오프라인

  • 보건증 발급방법 – 오프라인
  •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 보건증 유효기간 조회
  • 보건증 없이 일할 수 있을까?

오프라인 발급은 신분증 지참 후 검사했던 보건소 또는 기관을 방문하여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때 대리수령도 가능하나 대리 수령 위임장 또는 신청인 및 대리인의 신분증을 제시해야 합니다.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보건증 인터넷 재발급 - bogeonjeung inteones jaebalgeub

1.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혹은 인터넷 검색창에 공공보건포털을 검색합니다.

보건증 인터넷 재발급 - bogeonjeung inteones jaebalgeub

2. 상단의 온라인 민원서비스 -> 제증명발급을 눌러줍니다.

보건증 인터넷 재발급 - bogeonjeung inteones jaebalgeub

3. 이름,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본인인증을 해야 합니다.

본인확인 인증방법은 공동인증서 본인확인/아이핀 본인확인/ 디지털원패스 본인확인/ 핸드폰 본인확인 4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보건증 인터넷 재발급 - bogeonjeung inteones jaebalgeub

4.인증을 완료하셨다면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을 선택하고 인쇄하시면 됩니다.

보건증 유효기간 조회

보건증 인터넷 재발급 - bogeonjeung inteones jaebalgeub

보건증 유효기간은 발급일로부터 1년입니다. 그러나 업종별로 유효기간이 다릅니다. 일반 요식업은 1년이고, 유흥업 종사자는 3개월, 집단 급식소 종사자는 6개월입니다. 업종을 확인해서 미리 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요식업: 1년

집단 급식 종사자: 6개월

유흥업종사자: 3개월

보건증 없이 일할 수 있을까?

1. 영업자 또는 집단급식소 운영자: 1차 적발 시 20만 원, 2차는 40만 원, 3차일 경우 6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합니다.

2. 검사하지 않은 자를 고용한 영업자

1) 총 종업원의 수가 5명 이상일 때

– 보건증 발급 대상자의 50% 이상: 최초 적발 시 50만 원, 2차는 100만 원, 3차는 150만 원이 부과됩니다.

– 보건증 발급 대상자의 50% 미만: 최초 적발 시 30만 원, 2차는 60만 원, 3차의 경우 90만 원이 부과됩니다.

2) 총 종업원의 수가 5명 미만일 때

– 보건증 발급 대상자의 50% 이상: 최초 적발 시 30만 원, 2차 60만 원, 3차의 경우 90만 원이 부과됩니다.

– 보건증 발급 대상자의 50% 미만: 최초 적발 시 20만 원, 2차 40만 원, 3차의 경우 60만 원이 부과됩니다.

3. 결과 상 타인에게 위험을 끼칠 수 있는 질병 보유자를 고용한 영업자: 1차의 경우 100만 원, 2차는 200만 원, 3차 적발 시 300만 원이 부과됩니다.

오늘은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만약 보건증 발급 대상인데도 건강진단을 받지 않고 영업이나 집단 급식소를 운영하는 경우 1차 위반 시 20만 원, 2차 위반 시 40만 원, 3차 위반 시 6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종업원 역시 건강진단을 받지 않았거나 또는 건강 진단을 받지 않은 사람을 종사 시킨 영업자는 규모에 따라 50만 원부터 15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합니다. 보건증 우리 위생과 직결된 일인 만큼 꼼꼼하게 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