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관련 속담 - bi gwanlyeon sogdam

비 관련 속담 - bi gwanlyeon sogdam

비와 관련된 속담 모음 '비'

비에 관한 속담 비에 대한 속담

1. 비오는 날 나막신 찾듯

>> 몹시 아쉬워서 찾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 구름이 자주 끼면 비가 온다

>> 일정한 징조가 있으면 그에 따르는 결과가 있기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비는 하늘이 주고 절은 부처가 받는다

>> 일을 하는 사람과 실속을 차리는 사람이 따로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 비 오는 날 장독 덮었다

>> 비 오는 날 먼저 해야 할 일 중에 하나는 장독을 덮는 일인데 그것을 했다고 자랑한다는 뜻으로 당연히 할 일을 하고 유세하는 경우를 비꼬아 이르는 말.

5. 비 온 날 소똥

>> 시시하고 지저분한 것을 두고 이르는 말.

6. 비 맞은 용대기 같다

>> 장대하고 화사한 용이 그려진 깃발이 비를 맞아 쳐져 늘어진 모양을 하고 있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무엇이 처져 늘어진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득의양양하던 사람이 갑자기 맥없이 풀이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7. 비 틈으로 빠져나가겠다

>> 행동이 매우 민첩하고 재빠름을 이르는 말.

8. 비 오는 세월엔 돌도 자란다

>> 어떤 기세에 휩쓸려 일이 잘되어 나갈 때에 그 영향을 받아서 직접 관련이 없는 일까지도 잘되어 나감을 이르는 말.

9. 가을비는 턱 밑에서도 긋는다

>> 가을비는 아주 잠깐 오다가 곧 그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그때그때의 잔걱정은 순간적이어서 곧 지나가 버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0. 비 오는 것은 밥 짓는 부엌에서 먼저 안다

>> 비가 오려고 기압이 낮아지면 아궁이에 불이 잘 안 붙으므로 부엌의 아낙네들이 비 오는 것을 먼저 알게 된다는 말.

11. 밤비에 자란 사람

>> 밤사이에 내린 비를 맞고 어둠 속에서 연약하게 자란 식물과 같다는 뜻으로 깨치지 못하고 어리석으며 야무지지 못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2. 여름비는 잠비 가을비는 떡비

>> 여름에 비가 오면 낮잠을 자게 되고 가을에 비가 오면 떡을 해 먹게 된다는 말.

13. 비 오기 전에 집이다

>> 비 오기 전에 집에 와 있다는 뜻으로 미리 마련하거나 갖추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4. 어느 구름에 비가 올지

>> 일의 결과는 미리 짐작할 수 없다는 말.

>> 언제 무엇이 어떻게 될지 미래의 일에 대하여는 모른다는 말.

15. 구름 없는 하늘에 비 올까

>> 필요한 조건 없이 결과가 이루어지는 법이 없음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16.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그것이 거듭되면 무시하지 못할 정도로 크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7. 장마철에 비구름 모여들듯

>> 푸른 하늘에 구름이 모여들 듯이 여기저기서 한곳으로 많이 모여드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8. 비 맞은 중놈 중얼거리듯

>> 남이 알아듣지 못할 정도로 낮은 소리로 불평 섞인 말을 중얼거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9. 비 맞은 중 담 모퉁이 돌아가는 소리

>> 남이 알아듣지 못할 정도로 낮은 소리로 불평 섞인 말을 중얼거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0. 돼지가 깃을 물어 들이면 비가 온다

>> 둔하고 미련한 사람의 직감이 들어맞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1. 손은 갈수록 좋고 비는 올수록 좋다

>> 비가 많이 오면 농사에 좋으나 찾아온 손님은 빨리 돌아가 주는 것이 고맙다는 말.

22. 비 오는 날 소꼬리 같다

>> 몹시 귀찮게 구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3. 비 오는 것은 십 리마다 다르고 바람세는 백 리마다 다르다

>> 비는 가까운 거리에서도 내리는 정도가 같지 않으며 바람은 비교적 먼 거리까지도 한 모양으로 분다는 말.

24. 밀가루 장사하면 바람이 불고 소금 장사하면 비가 온다

>> 밀가루 장사를 하려고 하면 바람이 불어와서 가루가 날리고 소금 장사를 하려고 하면 비가 와서 소금이 녹아내린다는 뜻으로 일이 공교롭게 매번 뒤틀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5. 비 맞은 장닭 같다

>> 득의양양하던 사람이 맥없이 풀이 죽은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6. 비 오는 날 장독 열기

>> 당치 않은 짓을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7. 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

>> 비에 젖어 질척거리던 흙도 마르면서 단단하게 굳어진다는 뜻으로 어떤 시련을 겪은 뒤에 더 강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8. 여름비는 더워야 오고 가을비는 추워야 온다

>> 여름에는 날이 무더워야 비가 오고 가을에는 쌀쌀해야 비가 온다는 말.

[비(雨) 속담]비에 관한 속담모음과 뜻 74가지

비는 날씨를 좌우하므로 농경사회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비는 인간의 삶에 많은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비와 관련한 많은 속담들이 많다. '비(雨)'가 들어가는 속담에 대해 알아보았다.

비 관련 속담 - bi gwanlyeon sogdam
비에 관한 속담

비에 관한 속담

《ㄱ》

01.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 아무리 사소한 것도 거듭되면 무시할 수 없을 만큼 커진다

02. 가루 팔러 가니 바람이 불고 소금 팔러 가니 이슬비 온다 ▶ 무엇을 하려고 할 때마다 장애가 생겨서 제대로 일을 할 수 없다

03. 가물 그루터기는 있어도 장마 그루터기는 없다 ▶ 장마 피해가 가뭄 피해보다 더 크고 무섭다

04. 가물 끝은 있어도 장마 끝은 없다 ▶ 장마 피해가 가뭄 피해보다 더 크고 무섭다

05. 가을비는 장인[시아버지/시아비]의 나룻[수염/턱] 밑에서도 긋는다 ▶ ①가을비는 잠시 오다가 그친다 ②그때그때의 잔걱정은 순간적인 것으로 곧 지나가 버린다

06. 가을비는 턱 밑에서도 긋는다 ▶ ①가을비는 잠시 오다가 그친다 ②그때그때의 잔걱정은 순간적인 것으로 곧 지나가 버린다

07. 개미가 거둥하면 비가 온다 ▶ 개미의 행동을 보고 날씨를 예측할 수 있다

08. 구름 갈 제 비가 간다 ▶ 긴밀한 관계를 이르는 말

09. 구름 없는 하늘에 비 올까 ▶ 결과가 이루어지려면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10. 구름이 자주 끼면 비가 온다 ▶ 어떤 징조가 있으면 결과가 따르기 마련이다

《ㄷ,ㅁ》

11. 달무리 한 지 사흘이면 비가 온다 ▶ 달무리가 생기면 머지 않아 비가 온다

12. 대한 칠 년 비 바라듯 ▶ 무엇을 간절히 바라다(→ 대한〔大旱〕: 극심한 가뭄. 극심한 가뭄이 7년이나 지속되어 간절히 비를 바라다)

13. 돼지가 깃을 물어 들이면 비가 온다 ▶ 미련하거나 둔한 사람의 직감이 들어맞다

14. 마당이 환하면 비가 오고 계집 뒤가 반지르르하면 애가 든다 ▶ 아이 어머니가 약해졌던 몸이 다시 회복되어 몸매가 예뻐지면 또 다시 아이를 가지게 된다

15. 밀가루 장사 하면 바람이 불고 소금 장사 하면 비가 온다 ▶ 무엇이든 하려는 일마다 제대로 되지 않는다

《ㅂ》

16. 밤비에 자란 사람 ▶ 어리석고 야무지지 못한 사람(→ 어둠 속에서 비를 맞고 연약하게 자란 식물과 같다)

17. 백 일 장마에도 하루만 더 비가 왔으면 한다 ▶ 사람은 자기 위주로 생각하기 마련이다

18. 봄비가 잦으면 마을 집 지어미 손이 크다 ▶ 아무 쓸모없이 해롭기만 하다(→ 봄비가 자주 내리면 풍년이 들 것으로 예상해서 부인들의 인심이 후해진다)

19. 봄비는 잠 비요 가을비는 떡 비라 ▶ 봄에는 식량이 귀해서 비가 오면 낮잠이나 자지만 가을에 낟알이 흔해서 비가 오면 쉬면서 떡을 해 먹는다

20. 봄 첫 갑자일에 비가 오면 백리중이 가문다 ▶ 입춘 뒤의 첫 번째 갑자날에 비가 오는 것은 오랫동안 가물 징조이다(→ 갑자일〔甲子日〕: 육십갑자의 첫째)

21. 봉천답이 소나기를 싫다 하랴 ▶ 확실히 좋아할 것이다(→ 봉천답: 물을 공급할 수 없어서 빗물로만 경작하는 논)

22. 비가 오나 눈이 오나 ▶ 어떤 어려움이 닥쳐도 항상 한결같이

23. 비가 오면 모종하듯 조상의 무덤을 이장해라 ▶ 부모의 산소를 다른 곳으로 옮겨서 다시는 못난 자식이 나는 일이 없도록 해라(→ 못난 짓을 많이 하는 사람에게 핀잔을 주는 말)

24. 비는 하늘이 주고 절은 부처가 받는다 ▶ 일을 하는 사람이 따로 있고, 실속을 차리는 사람이 따로 있다

25. 비 맞은 용대기 같다 ▶ ①축 처져 늘어져 있는 모습 ②기세등등하던 사람이 갑자기 맥없이 풀이 죽은 모습(→ 용대기〔龍大旗〕: 임금이 거둥할 때 행렬 앞에 세우던 기)

26. 비 맞은 중놈 중얼거리듯 ▶ 남이 알아듣지 못할 정도의 작은 목소리로 중얼거리며 불평하다

27. 비 맞은 중 담 모퉁이 돌아가는 소리 ▶ 남이 알아듣지 못할 정도의 작은 목소리로 중얼거리며 불평하다

28. 비 맞은 장닭 같다 ▶ 기세등등하던 사람이 갑자기 맥없이 풀이 죽은 모습

29. 비 오거든 산소 모종을 내어라 ▶ 부모의 산소를 다른 곳으로 옮겨서 다시는 못난 자식이 나는 일이 없도록 해라(→ 못난 짓을 많이 하는 사람에게 핀잔을 주는 말)

30. 비 오기 전에 집이다 ▶ 미리 준비를 갖추었다(→ 비가 오기 전에 미리 집에 와 있다)

31. 비 오는 것은 밥 짓는 부엌에서 먼저 안다 ▶ 비가 오려고 하면 기압이 낮아져 아궁이의 불이 잘 붙지 않아서 부엌에 있는 사람들이 먼저 알게 된다

32. 비 오는 것은 십 리마다 다르고 바람세는 백 리마다 다르다 ▶ 비가 내리는 정도는 가까운 거리에서도 다르고, 바람은 이보다는 먼 거리까지 한 모양으로 분다(→ 바람세: 바람의 기세)

33. 비 오는 날 나막신 찾듯 한다 ▶ 몹시 아쉬워서 찾는 모양

34. 비 오는 날 머리를 감으면 대사 때 비가 온다 ▶ 비 올 때 머리를 감지 마라

35. 비 오는 날 소꼬리 같다 ▶ 몹시 귀찮게 굴다(→평소에는 파리라도 쫓을 수 있지만 비오는 날에는 쓸모가 없다)

36. 비 오는 날 수탉같이 ▶ 기세등등하던 사람이 갑자기 맥없이 풀이 죽은 모습

37. 비 오는 날 장독 덮었다 한다 ▶ 당연히 할 일을 하고 유세를 떨다(→ 비가 내리면 당연히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이 장독을 덮는 일이다)

38. 비 오는 날 장독 열기 ▶ 얼토당토않은 일을 하다

39. 비 오는 세월엔 돌도 자란다 ▶ 탄력을 받아서 일이 잘될 때에는 그 영향으로 그것과 관련이 없는 일도 잘된다

40. 비 온 날 소똥 ▶ 시시하고 지저분한 것

41. 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 ▶ 어떤 시련을 겪고 나서 전보다 더 강해진다

42. 비 틈으로 빠져나가겠다 ▶ 매우 재빠르고 민첩하다

《ㅅ》

43. 삼 년 가뭄에는 살아도 석 달 장마에는 못 산다 ▶ 장마 피해가 가뭄 피해보다 더 크고 무섭다

44. 삼복에 비가 오면 보은 처자가 울겠다 ▶ 삼복에 비가 오면 대추가 열리지 않는다(→ 대추의 명산지인 충북 보은 지방에서 대추의 수확으로 혼수를 마련한다)

45. 석 달 장마에도 개부심이 제일 ▶ ①끝에 가야 평가가 가능하다 ②끝마무리가 중요하다(→ 개부심: 장마 끝에 한동안 쉬다가 비가 와서 갯가의 진흙을 깨끗이 씻어내는 것)

46. 소금 팔러 가면 비가 오고 가루 팔러 가면 바람 분다 ▶ 무엇을 하려고 할 때마다 장애가 생겨서 제대로 일을 할 수 없다

47. 소금을 팔러 나섰더니 비가 온다 ▶ 무엇을 하려고 할 때마다 장애가 생겨서 제대로 일을 할 수 없다

48. 소나기 맞은 중의 상이다 ▶ 몹시 불쾌해서 표정이 일그러졌다

49. 소나기 삼 형제 ▶ 보통 소나기는 내렸다가 멎었다가 하면서 세 줄기로 오는 것을 이르는 말

50. 손은 갈수록 좋고 비는 올수록 좋다 ▶ 손님은 빨리 돌아가 주는 것이 고맙고 비는 많이 오면 농사에 이롭다

《ㅇ》

51. 어느 구름에 눈이 들며 어느 구름에 비가 들었나 ▶ 무엇이 어떻게 될지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

52. 어느 구름에서 비가 올지 ▶ 무엇이 어떻게 될지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

53. 여름비는 더워야 오고 가을비는 추워야 온다 ▶ 여름에는 날씨가 더우면 비가 오고 가을에는 날씨가 추워야 비가 온다

54. 여름비는 잠비 가을비는 떡비 ▶ 여름에 비가 오면 낮잠을 자고, 가을에 비가 오면 쉬면서 떡을 해 먹는다

55. 오뉴월 소나기는 쇠등[말 등]을 두고 다툰다 ▶ 여름철 소나기는 국지적으로 내린다

56. 오뉴월 장마에 토담 무너지듯 ▶ 힘없이 내려앉다

57. 용대기에 비 맞다 ▶ 풀이 죽거나 축 처지다

58. 유월 장마에 돌도 큰다 ▶ 6월에 장맛비가 오면 농작물이 잘 자란다

《ㅈ》

59. 장마가 무서워 호박을 못 심겠다 ▶ 어느 정도 방해가 되는 것이 있어도 마땅히 할 일은 해야 한다

60. 장마 개구리 호박잎에 뛰어오르듯 ▶ 귀엽지 않은 것이 가볍게 뛰어 올라앉다

61. 장마 도깨비 여울 건너가는 소리 ▶ ①원망하거나 불평하면서도 잘 들리지 않게 입 속으로 웅얼웅얼거리다 ②이치에 맞지 않다

62. 장마 뒤에 외 자라듯 ▶ 좋은 환경이나 기회를 만나서 잘 자라다(→ 외: 오이의 준말)

63. 장마에 논둑 터지듯 ▶ 어떤 일이 연이어 계속 일어나다

64. 장마에 오이 굵듯 ▶ 좋은 환경이나 기회를 만나서 잘 자라다

65. 장마철에 비구름 모여들듯 ▶ 여기저기서 한곳으로 많이 모여드는 모양

66. 장마철의 여우볕 ▶ 나타났다가 바로 숨어 버리는 것을 이르는 말

67. 제비가 사람을 얼르면 비가 온다 ▶ 제비가 사람 옆을 스쳐 지나면서 낮게 날면 비가 온다

68. 저녁놀은 맑아지고 아침놀은 소나기 온다 ▶ 저녁에 노을이 지면 날씨가 맑아지고 아침에 노을이 지면 소나기가 온다

69. 집 안에 연기 차면 비 올 징조 ▶ 기압이 낮아져 비가 오려고 하면 아궁이에서 연기가 역류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70. 쪽박 쓰고 비 피하기 ▶ 봉변을 당했을 때 어리석은 방법으로 벗어나려 하다

71. 처서에 비가 오면 독의 곡식도 준다 ▶ 처서에 비가 오면 그해 농사를 망친다

72. 칠 년 가뭄에는 살아도 석 달 장마에는 못 산다 ▶ 장마 피해가 가뭄 피해보다 더 크고 무섭다

73. 칠년대한에 대우 기다리듯 ▶ 무엇을 매우 간절히 기다리는 모양

74. 칠년대한에 비 안 오는 날이 없었고 구 년 장마에 볕 안 드는 날이 없었다 ▶ 세상만사가 항상 궂은 일만 지속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 비(雨)에 관한 사자성어 모음

[비(雨) 사자성어] 비에 관한 한자 단어와 뜻 84가지

[비(雨) 사자성어] 비에 관한 한자 단어와 뜻 84가지 비와 관련한 한자성어, 사자성어와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비에 대한 단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01. 갈민대우(渴民待雨) 한자: 渴(목

agibbyeongari.tistory.com

비 관련 속담 - bi gwanlyeon sogd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