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구매대행 수수료 - amajon gumaedaehaeng susulyo

아마존 구매대행 수수료 - amajon gumaedaehaeng susulyo

재팬바이는 관세법 등의 관련규정을 준수하고, 불법물건을 취급하지 않으며, 분할배송 및 가격허위신고 등 고객의 불법사항 요청에는 협조하지 않습니다.
또한, 자가사용목적을 제외한 판매용 및 사업용도 등으로 구입한 상품은 사업자 명의로 배송신청을 하셔야 하며, 허위신고로 인해 발생하는 불이익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상호명 : 홍동

대표 : 최도환 /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 백연수 / 통신 판매업 신고 번호 : 울산 남구청 제2006-8호
대표번호 : 070 8908 7777 / FAX : 052)260-1580 / E-mail : [email protected]
사업자번호 : 610-21-65256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 181번길 38 404호
화장품 제조 판매업 : 제 6990호 / 수입식품 안전관리 : 제 20160004589호
Copyright © 2008 www.japanbuy.co.kr.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Off.

구매대행 서비스란?

아마존 구매대행 수수료 - amajon gumaedaehaeng susulyo

홈페이지 이용 및 카드 결제 등의 문제로 이용이 어려운 고객님을 대신하여 해외 쇼핑몰에서의 구매부터 배송까지 타배가 대행해 드리는 서비스입니다. 타배 구매대행 서비스를 이용하여 쉽게 해외직구 하세요~

※ 구매대행 수수료 안내

→ 400달러 이하 : 40달러 

→ 800달러 이하 : 60달러

→ 800달러 초과 : 구매물건 총액의 5% 

※ 구매대행 품목갯수 5개까지는 추가비용이 없으나 이후 1건당 500원의 추가요금이 발생합니다.

     예) 품목 7개, 품목별 수량 20개 일경우,  추가품목 2개*500원 : 1000원 추가비용청구

※ 환율은 메인페이지 상단에 구매대행 적용환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외)구매대행이란 말 그대로, 본인의 필요에 의해 해외에서 필요한 물품을 구매할 경우 구매절차와 국내로의 반입까지 전문 구매대행 업체,전문 구매대행 개인, 개인(친척등 지인)등 대행이 가능한 타인에게 위탁하는 구매행위를 말합니다. 

국내통관에 문제가 전혀없는 물품의 경우는 대기업도 참여하는 전문 구매대행 업체를 이용하는게 당연 좋습니다. 그리고 한국 특유의 까다롭고 애매모호한 물품은 소규모 물품을 취급하는 개인 구매대행을 이용하는게 좋습니다.  

후술하겠지만 해외에서 물품구매와 국내까지 반입 과정은 개인이 진행하기엔 너무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입니다.  

물품구매 대상국은 개인들의 경우 대게 미국,일본등 선진국의 대규모 인터넷 상거래 사이트(아마존,라쿠텐등)를 통해 물품구매가 집중되는데, 요즘 특정 물품의 경우 알리바바를 중심으로 중국에서도 많이 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개인이 아마존,라쿠텐등을 통해 진행되는 구매절차입니다. 대규모 인터넷 상거래 사이트를 통한 구매대행은 대게 위와 같은 절차에 의해 진행됩니다.

왜 구매대행을 이용하게 되는가? 

1.  우선 비싼가격 때문입니다. 

정식수입되는 물품조차 국내에서는 가격이 3배에서 10배까지 너무 비싼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한국에는 봉이 김선달이 너무 많습니다. 시장경제의 원칙에 의하면 복수업체에 의해 경쟁적으로 수입되는 물품은 가격이 적정가격으로 맟추어 지는게 정상이지만, 이런 터무니 없는 고가의 가격이 고정되는 경우의 수는 하나밖에 없죠. 바로 수입업체들의 가격담합때문입니다.  

2.  국내로의 수입이 제한되는 물품이 한국의 경우엔 너무도 많습니다. 

특별한 수입제한 법률규정이 없는 물품임에도 미풍양속을 해친다느니 하는 애매모호한 규정으로 통관을 세관의 주관적 판단에 맡기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내가 필요한데 국내에는 없거나 구하려 하면 당연 너무 비싼 경우입니다. 이 경우는도 해외 구매대행중 개인 구매대행을 주로 이용하게 됩니다. 

구매대행을 담당하는 영리주체(전문 구매대행 업체, 전문 구매대행 개인)들은 당연 위탁하는 주체에게 일정 수수료를 받고 이 과정을 수행합니다. 물론 전문대행업체와는 달리 해외에서 돌아 오는 개인(친척등 지인)의 경우 당연 무료다. 

구매대행과 관련 수수료,배송료등 추가비용은 뒤에서 자세히 후술합니다.  

이 글에선 개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방식으로 편리한 Amazon,rakuten ,알리바바등의 거대 전자상거래 회사를 통해 해외에서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는 방법을 알아 보고자 합니다. 우선 구매대행의 종류별로 용어정리와 수수료 체계를 알아 봐야죠.   

(해외)구매대행의 종류 

우선 필요한 구매대행의 종류를 알아 봅니다. (해외)구매대행은 크게 배송대행,결제대행,배송+결제대행등 3가지가 있습니다. 이중에서 우리가 주로 알고 위탁하는 (해외)구매대행은 배송+결제대행의 토탈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소액 구매자들인 개인의 경우 대부분 경우 가격이 저렴한 아마존(Amazon), 라쿠텐(rakuten)같은 대형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구매대행을 합니다.  

구매대행의 종류를 간략하게 서술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배송대행  

물품주문과 결제는 본인이 직접 진행하고 복잡한 해외배송 절차와 반입까지의 과정을 전문업자나 개인에게 위탁하는 경우를 말한다.이 경우 구매자도 일정지식과 행위가 필요하다.

결제대행 

해외배송이 가능한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주로 고가품) 배송대행이 필요없다. 이 경우 대행업체를 통해 일정 수수료를 주고 결제행위만 위탁하는 경우이다.  

배송+결제대행 

우리가 아는 (해외)구매대행이다. 주문,결제,배송까지 모든 일괄적으로 모두 대행업체에 위탁하는 경우이다. 구매자가 전문지식이 없는 경우이다. 이런 토탈대행 행위는 수수료가 다소 높아지지만  

(해외)구매대행시 추가비용과 수수료에 대한 이해 

(해외)구매대행을 하는 경우 구매가격에 얼마나 비용이 추가되는지 일괄적으로 정확히 얼마다 몇%다를 산정하는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물품구매 대상국가,물품의 종류,세금,가격,무게, 배송비 여부에 따라 비용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입니다. 

대행주체가 업체냐 개인이냐에 따라 비용은 또 다르죠. 통관에 문제가 없는 물품의 경우라면 비용이 다소 더 들더라도 믿을만한 대행업체를 선택하시는게 좋습니다. 

구매대행시 우리가 상품가격외에 더 드는 추가비용에는 크게  세금,배송비, 대행수수료가 있습니다. 

개인이 해외 인터넷 상거래 사이트(아마존,이베이,라쿠텐등)에서 물건을 지정하여 상품 번호를 찍어 의뢰하면 업체에서 필요한 추가비용을 더한 전체금액을 개인에게 통보하고 입금이 완료되면 물품반입과정이 비로서 이루어 집니다. 

전문 구매대행 업체(배대지)

전문 구매대행 업체인 배대지의 경우 구매대행 수수료를 제외하면, 나머지 추가비용은 얼추 비슷합니다. 총 얼마의 추가비용이 이해를 돕기위해 예를 들어 한 배대지 업체의 요율표를 한 번 보자. 반입에 특별한 문제가 없는 물품의 경우 비용이 다소 비싸더라도 신뢰성이 있는 큰 업체에 의뢰하시는게 좋습니다.  

전문 구매대행 업체에 의뢰한 경우 아래표에 자기가 구매대행으로 수입하고 싶은 물품의 가격과 무게등을 머리속으로 대입해 보면 개략의 금액을 알수 있습니다. 물건이 비쌀수록 그리고 가벼울수록 물품가격외 추가비용 비율은 급격히 낮아집니다.

물품가격외에 추가되는 제반비용 구조의 모업체의 예시를 들어 알아 보겠습니다.  

합배송비 무료

하나의 쇼핑몰에서 다른 물품을 각각 다른 판매자에게 구매하여 반입하는 경우, 도착하는 시기가 각각 다르더라도 어짜피 그 나라내에 있는 전문 구매대행업체 물류센터에서 하나의 박스로 다시 재포장 하여 하나의 박스로 배송하니 이는 당연 무료입니다. 

묶음 배송비

각기 다른 쇼핑몰에서 별도의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엔 어쩔수 없이 추가배송료가 발생합니다. 물론 업체마다 추가 배송료는 제각기 다릅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아래와 같습니다.

 2개 이상의 쇼핑몰(아마존,이베이등)에서 행한  주문건을 하나의 박스로 합배송 받고 싶은경우 $3.00/건 

 업체마다 다르지만 최대 2~3개 쇼핑몰 주문 건까지 하나로 합배송해 반입이 가능합니다.

예시) A 쇼핑몰 + B 쇼핑몰 => 하나로 합배송해서 국내로의 반입 ($3.00) 

A 쇼핑몰 + B 쇼핑몰 + C 쇼핑몰 => 하나로 합배송 ($3.00 + $3.00 = $6.00)

창고보관료 $1.00/일

운송료 결제요청 후 14일 까지 무상 15일째부터

신청서 없이 상품만 입고된 후 7일 내 신청서 작성되지 않은 경우 8일째부터

수출신고 수수료

구매물품이 일정금액 이상일 경우에만 부과됩니다. 미국의 경우 신청번호 하나 당 총 구매금액이 $2,500 이상일 경우에만 부과

이 경우 미국 세관에 지불하기 위한 수출신고 수수료 $25/건 

구매대행 수수료

업체가 구매대행을 진행하면서 받는 위탁수수료입니다.

Ex) 총 구매금액(상품가+미국 내 배송료+TAX 등)의 13% 만큼 부과

보험 서비스

총 상품금액이 $300 미만일 경우 무료! 이상일 경우 상품가의 3% 만큼 부과

검역 수수료동,식물 검역 수수료 무료

반품 수수료무료(현지 물류센터 → 현지 쇼핑몰)

개인 구매대행 

개인 구매대행의 경우 업체보다 작은물품에 한해 가능 품목이 다양합니다. 개인 구매대행은 국내반입이 까다로운 은밀한 물품의 경우 많이 이용하게 됩니다. 저의 경우 5배나 되는 국내가격때문에 개인 구매대행을 많이 이용하게 됩니다. 소액의 물품이지만 물품가격에 40~50% 추가하면 되니 상대적으로 저렴하죠.  

가격이 높을수록,무게가 가벼울수록,면세상품일수록 추가비용 비율은 급격히 낮아지는 구조는 업체와 동일하죠. 

아래는 이해를 돕기 위해 개인이 해외 인터넷 쇼핑몰에서 원하는 물품을 선택해 개인 구매대행에게 위탁했을 경우의 "예"입니다.   

개인이 일본 라쿠텐 쇼핑몰의 라쿠텐에서 원하는 물품을 선택하고 링크를 걸어 총비용을 의뢰하자 개인 구매대행자는 다음과 같은 답변을 올렸다. 

(질문) 아래 상품의 견적을 부탁 드립니다. 

http://item.rakuten.co.jp/enterking/2-9999-99-4582350662443/

(대답)

* 표기된 상품의 가격 : 3888엔

* 국제 배송료 : 1240엔 (박스포장 무게포함 600g 이하기준, 초과시 추가요금발생)

* 구매대행및 결제대행 수수료 : 700엔

----------------------------------------------------------------------------------

합계 : 5828엔

환율 : 10.0

==================================================================================

구매대행가격 : 58,200원 (80원 절삭)

보면 아시겠지만 600g이하는 물품가격이 4만원 정도인 경우 한화로 2만원 정도의 추가비용이 소요됐습니다. 무게가 적게 나갈수록 물품비용이 높아질수록 추가비용 비율이 급격히 떨어짐을 알 수 있습다. 

비싸다고 생각되십니가? 그러나 국내에서 구입하면 수입업자들의 담합으로 상품가격에 3~5배, 심지어는 10배에 판매한다는 것을 잊지마십시요. 

결론 

한국도 소비패턴이 다양해지면서 해외에서 구매대행을 통해 물건을 구입하여 소비행위를 충족하는 경우가 많아졌죠. 그런데 한국의 경우 이게 너무도 복잡합니다.

수출입 규제 완화로 인한 자유무역시대가 도래한 21세기에도 한국에서 해외 구매대행 행위가 크게 범람할수밖에 없다는건 그 만큼 그 나라가 폐쇄적이이고 필요 이상의 불필요한 수출입 규제가 많은 저차원,저민도 국가임을 반증한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우리가 사는 대한민국이 바로 그런 대표적인 국가입니다. 이 나라는 소비자들이 살아가기에 너무도 피곤한 나라입니다. 여기에는 피해자이면서 가해자격인 소비자들의 극히 2중적인 낮은 민도가 근본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해외 구매대행 행위가 많아지면 국내 소비자는 고가의 비용을 지불해야하고, 국가세수도 그 만큼 줄어준다는걸 알야야합니다.   

한국의 경우 애매모호한 사유로 세관의 극히 주관적인 판단으로 수입이 불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국내에서 정식 수입되는 해외물품의 경우에도 업자들의 담합에 의해 엄청난 바가지 가격(3배~10배)이 많기 때문에 해외구매대행을 통해 구매해야만 하는 물품이 많다는게 바로 구매대행의 이유입니다. 수입업자,세관,뒤를 봐주는 고위직의 검은 뒷거래가 대충 보이시죠? 이러 환경에서 가격답합이 이루어집니다. 

자유시장 원칙에 의해 해외에서의 물품수입은 당연 복수업체와 주체가 참여하므로 경쟁에 의해 적정가격이 형성되는게 마땅한데 특정가격으로 유지부동하는건 담합때문이죠.  

한국은 정책당국의 묵인아래 업체들간 가격담합이 거의 합법화 되다시피한 좀 변태적인 나라입니다. 수입업자들이 담합하면 국내가격은 저들이 담합으로 매긴 가격대로 부르는게 값이 됩니다. 이천년대 들어 한국은 경제적으로 유연한 나라가 됐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이런 담합행위는 훨씬 더 강해졌습니다.  가격담합으로 이권을 누리는 마피아 단체가 생각외로 광범위하다는 증거입니다. 

스스로를 진보라고 자치하는 정치 모리배 내부랭이들이 설치는 21세기에 이런 모순점들이 너무 확대됐습니다.  

한국의 이중의식 구조가 해소될 날은 언제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