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곤 용접 가스 - algon yongjeob gaseu

SNS 기사보내기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네이버밴드(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이메일(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페이스북(으)로 기사보내기 네이버밴드(으)로 기사보내기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닫기

아르곤가스는 고온에서도 반승성이 거의 없고 비활성기체들 중에서는 가격이 가장 저렴하다는 점을 이유로 사업장에서 용접시 자주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일산화탄소와 달리 흡입하더라도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지 않아 위험하지 않다. 하지만 최근 몇년 사이 아르곤가스로 인한 사고가 자주 일어나고 있어 주의가 당부되고 있다. 

 

아르곤가스는 자체의 독성이 없지만 공기보다 무겁다. 밀폐된 공간에서는 바닥에 쌓이게 되기때문에 아르곤가스가 밀폐된 공간을 차지하므로 그곳의 공기가 부족해지면서 결국 산소결핍으로 숨쉬기 힘든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위험한 공간이 되는 것이다. 

 

보통 작업자들은 아르곤가스 용접을 넓은 공간에서 하므로 평소 아르곤가스에 대해서 위험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자칫 이런 안일한 안전의식이 목숨을 잃는 끔찍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조선업에서는 특별히 주의해야할 기체로 아르곤을 강조한다. 이는 배관 용접을 할때는 아르곤을 일일히 불기가 힘들어 아르곤가스를 아예 배관 안에 가득 채워넣고 용접을 하게 되는데, 용접이 끝난 후 배관 안쪽을 점검할때 부주의로 인해 배관 안쪽에 고여있는 고농도의 아르곤가스를 대량 흡입해서 순식간에 질식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시간에는 용접작업중 아르곤가스로 인해 발생한 질식 사망사고에 대해 살펴보고, 안전수칙 및  재발방지를 위한 예방대책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알곤 용접 가스 - algon yongjeob gaseu

 

2020년 10월 경남 고성화력발전소 건설현장에서 아르곤 가스에 의한 질식사고로 사망자가 발생했고, 같은 해 5월에도 울산 현대중공업 작업현장에서 아르곤가스가 들어있는 대형 파이프 안에서 작업자가 질식사고로 숨졌다.

 

2019년 10월에는 화력발전 건설현장에서 하도급업체 근로자가 아르곤가스(용접실드가스)가 차있던 Drip Por 배관(직경 84cm, 깊이 2m) 퍼징댐을 확인하기 위해 들어갔다가 산소결핍에 의한 질식으로 사망했다.

같은해 1월에도 경남 김해시 소재 사업장에서 LNG선박구조물 외부용접 및 사상작업 중 용접부위 안쪽 방청코팅을 위하여 선박구조물 내부로 들어갔다가 내부에 충전된 질소가스로 인하여 산소 결핍으로 질식하여 사망했다.

​2018년 4월에는 부산 사하구 소재 사업장에서 제작중인 배관구조물(스풀)의 연결부분에 TIG용접을 실시한 후 작업자가 배관내부 용접비드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배관구조물 측면 플랜지를 통해 내부로 들어갔다가 배관구조물 내부에 충전된 아르곤가스로 인한 산소결핍으로 사망하기도 했다.

 

알곤 용접 가스 - algon yongjeob gaseu

 

재해 발생 원인

 재해 발생은 ▲ 불활성(아르곤가스) 취급 질식위험장소 출입통제 미실시, ▲ 퍼징댐에서 용접 실드가스(아르곤가스) 누출 시 공기보다 무거워 배관내부에 작업자 출입시산소결핍에 의한 질식위험이 있으나 작업자 출입을 통제하지 않았던 것이 원인으로 조사됐다.

​또한 ▲ 질식위험요인에 대한 위험성평가 누락 및 밀폐공간 프로그램 미수립, 용접 배관 내부에 근로자 출입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여 ▲ 질식위험에 대한 위험성평가 누락 및 밀폐공간으로 분류하지 않은 것이 사고 발생 원인이었다.

 

재발 방지 대책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불활성가스(아르곤가스) 취급 질식위험자소에 대한 출입통제가 중요하다. 배관내부 용접 실드가스로 아르곤 가스를 사용함에 따라 배관내부 출입시 질식위험이 있으므로 근로자가 출입할 수 없도록 출입금지 조치 및 배관공 및 용접공에 대하여 아르곤가스 등 불활성가스의 위험성에 대한 교육 및 배관 입구에 출입금지 표지판을 부착해야 한다.

​또한 현존하는 잠재위험에 대한 위험성평가 실시 및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을 수립·시행해야 한다. 배관 내부 출입 시 산소결핍 질식위험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출입통제 조치 및 밀폐공간작업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시행해야 한다. 

대기 성분 중 가장 많은 비율{78%}을 차지하고 있고 가스 발생기를 통해 쉽게 응집시키고 충전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용접을 배우는 #학원이나 소규모 기자재 생산 , 조립 업체들이 선호하는 편입니다.

 

 

용접 종류별 학원 선택 방법 !

용접 종류별 학원 선택 방법 용접이란 "금속과 금속을 녹여 서로 붙이는 형태의 행위"를 일컫는 용어라고 다들 알고 있을 거예요. 모든 분들이 대부분 #용접이라고 하면 앞서 언급한 내용이 떠오

wkfmwkd-86.tistory.com

 

그리고 일반 철이나 모든 비철 금속의 용접에 용이하여 주로 쓰이지만 납과 주석 또는 주석 합금과 같은 용융점이 낮은 금속에는 쓸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럼 알곤 용접에서 #아크 발생의 모양을 그림으로 볼까요?

 

알곤 용접 가스 - algon yongjeob gaseu

광원으로부터 방사하는 빛의 색을 온도로 표시하는 단위 기호인 k [켈빈이라고 읽습니다]를 아크 빛 색에 따라 분류해놓은 이미지입니다.

 

보시면 전극봉으로부터 나오는 온도가 얼마나 높은지 예상할 수 있을 겁니다. 무려 1만 6천 k 정도 되는군요 1만 6천 [켈빈]의 빛 색온도가 어느 정도인지 표를 보시면 이해하실 겁니다.

 

알곤 용접 가스 - algon yongjeob gaseu

 

표에는 1500 k~7500 k 범위까지 표시되어있는데 이로 인해서 전극봉 쪽으로 갈수록 진한 푸른색을 띠며 육안으로도 구별할 수 있습니다. 용접 아크의 온도가 얼마나 높은지 알 수 있겠죠?

이제 T.I.G 용접에 대하여 알아보아야 겠는데요.

위에서 말한 알곤용접이라고 흔히 부르는 용접 입니다.

약자를 풀어보면 T=텅스텐, I=이너트(비활성), G=가스

하여 텅스텐 전극과 비활성가스를 이용한 용접이라고

생각하면 될듯 하네요.

다른용어로 G.T.A.W 라고도 하는데요.

가스 텅스텐 아크 웰딩이라고도 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그냥 알곤용접 이라고 할께요.

스텐레스 용접에 사용되는 용접전원은 직류 DC 로써

수하특성을 갖춘 용접 전원회로에 고주파 전원을 병용

시켜 사용하게 됩니다~

고주파는 아크 발생을 쉽게하며 아크 발생후 고주파

발생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회로를 가진 용접기가 사용되기도합니다

극성은 보통 직류 정극성(dcsp) 를 사용해야 용입이 깊은

좋은 용접부를 얻을수 있게 되므로 이와같이 작업하는것이 좋습니다~

아르곤 용접의 보호가스는 헬륨가스를 혼합하여 사용할수도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이유로 특수한 경우가 아닌이상 알곤가스를

사용하게 됩니다~ 아르곤 가스만 사용할때의 장점은 낮은 유속

에서도 우수한 보호작용을 하고 박판 판금용접 에서는 용락가능성이

적으며 아크의 안정성이 매우 높게 됩니다~

사용가스의 순도는 99.99% 이상 높은 순도를 가진 알곤가스를

사용해야하며 가스의 순도는용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불순물이 혼입되는 것을 주의해야 용접 불량으로부터 안전할수

있겠습니다~

  •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알곤용접은 무엇인가요?

  • 알곤 용접 가스 - algon yongjeob gaseu
    초코몽
  • 2016.01.06. 20:15
  • 8812
  • 1

알곤용접이co2가요?

:: 글쓴이가 작성한 다른 게시물

  • 인기
    알곤 용접 가스 - algon yongjeob gaseu
    심야보일러 정비 쥐를 잡자!!! ㅎㅎ
    09.19
  • 최근 미쓰비시 적산 타이머 질문요 08.17
  • 최근
    알곤 용접 가스 - algon yongjeob gaseu
    하승진 길거리 직찍
    06.26
  • 최근
    알곤 용접 가스 - algon yongjeob gaseu
    꼭 알아야 할 가족 호칭 정리표
    06.26
  • 최근
    알곤 용접 가스 - algon yongjeob gaseu
    회사여직원 썰
    06.26

  • #알곤용접은 무엇인가요?

  • 0
  • 0
  • 신고
  • 공유
  • 스크랩

공유

알곤 용접 가스 - algon yongjeob gaseu
알곤 용접 가스 - algon yongjeob gaseu
알곤 용접 가스 - algon yongjeob gaseu
알곤 용접 가스 - algon yongjeob gaseu
알곤 용접 가스 - algon yongjeob gaseu

퍼머링크

댓글 1

1등

알곤 용접 가스 - algon yongjeob gaseu
조혁 2016.01.06. 20:16

알곤 용접이란 정식 용어로는

텅스텐 불활성가스 아크 용접(TIG 용접 :

Tungsten inert gas arc welding)을 말하는데

 

이는 일반 전기용접으로 용접하기 어려운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강, 마그네슘 합금 등의 용접에 주로 사용합니다.

일반 철강 용접도 잘되나 너무 비용이 많이 들며 일반 전기용접이나

CO₂용접으로도 잘되므로 알곤 용접법을 사용할 필요가 없지요

 

일반 철강의 경우는 산화가 되면 녹이 되어

원 재료보다 더 약하고 낮은 온도에서 녹게 되지만

알루미늄 등의 경우는 겉부분에 얇은 산화피막(산화알루미늄)이 있는데

이 피막은 본래 알루미늄의 용융점(녹고응고하는 온도 : 660℃)보다

훨씬 높은 2050℃나 되며 철의 용융점(1538℃)보다 훨씬 높아

보통 용접으로는 이 산화피막 때문에 용접이 어렵지요

 

그런데 알곤 용접은

모재(알루미늄이나 다른 용접 재료)와 텅스텐 전극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모재를 용융시키고 아르곤 가스를 분출시키면서

용접봉을 공급하여 용접하는 방법이며,

 

이때 아르곤 가스가 용접부를 보호하며 높은 온도에서 해리되어

용접부 쪽으로 이동하며 또한 텅스텐 전극(양극 ,+극)에서

양자가 튀어나와 모재에 있는 산화막을 순간적으로

제거(이 작용을 청정작용이라 함)하므로 용접이 쉽게 됩니다.

 

일반 전기용접의 경우 용접봉 겉에 피복제가 있어 이 피복제가 타서 생긴

가스의 주 성분이 CO₂이며 이 가스가 환원성으로서

용접부를 대기의 산소나 수소 질소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 을하게 되는데

전기용접의 경우 용접봉을 갈아끼우거나 용접 후 슬래그를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CO₂용접은

릴(실패 같은 것)에 용접 와이어가 감겨 있으며

이 와이어를 와이어 송급 장치를 통해 용접토치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이때 CO₂가스를 불어주어 용접부를 보호하므로

슬래그 제거가 불필요하고 용접봉 갈아 끼우는 번거러움도 필요없는 

간편하고 아주 능률적인 용접법으로

요즈음 공장의 철강 용접에 이 방법이 거의 쓰이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새로고침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취소확인

삭제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취소확인

1등

알곤 용접 가스 - algon yongjeob gaseu
조혁 2016.01.06. 20:16

알곤 용접이란 정식 용어로는

텅스텐 불활성가스 아크 용접(TIG 용접 :

Tungsten inert gas arc welding)을 말하는데

 

이는 일반 전기용접으로 용접하기 어려운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강, 마그네슘 합금 등의 용접에 주로 사용합니다.

일반 철강 용접도 잘되나 너무 비용이 많이 들며 일반 전기용접이나

CO₂용접으로도 잘되므로 알곤 용접법을 사용할 필요가 없지요

 

일반 철강의 경우는 산화가 되면 녹이 되어

원 재료보다 더 약하고 낮은 온도에서 녹게 되지만

알루미늄 등의 경우는 겉부분에 얇은 산화피막(산화알루미늄)이 있는데

이 피막은 본래 알루미늄의 용융점(녹고응고하는 온도 : 660℃)보다

훨씬 높은 2050℃나 되며 철의 용융점(1538℃)보다 훨씬 높아

보통 용접으로는 이 산화피막 때문에 용접이 어렵지요

 

그런데 알곤 용접은

모재(알루미늄이나 다른 용접 재료)와 텅스텐 전극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모재를 용융시키고 아르곤 가스를 분출시키면서

용접봉을 공급하여 용접하는 방법이며,

 

이때 아르곤 가스가 용접부를 보호하며 높은 온도에서 해리되어

용접부 쪽으로 이동하며 또한 텅스텐 전극(양극 ,+극)에서

양자가 튀어나와 모재에 있는 산화막을 순간적으로

제거(이 작용을 청정작용이라 함)하므로 용접이 쉽게 됩니다.

 

일반 전기용접의 경우 용접봉 겉에 피복제가 있어 이 피복제가 타서 생긴

가스의 주 성분이 CO₂이며 이 가스가 환원성으로서

용접부를 대기의 산소나 수소 질소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 을하게 되는데

전기용접의 경우 용접봉을 갈아끼우거나 용접 후 슬래그를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CO₂용접은

릴(실패 같은 것)에 용접 와이어가 감겨 있으며

이 와이어를 와이어 송급 장치를 통해 용접토치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이때 CO₂가스를 불어주어 용접부를 보호하므로

슬래그 제거가 불필요하고 용접봉 갈아 끼우는 번거러움도 필요없는 

간편하고 아주 능률적인 용접법으로

요즈음 공장의 철강 용접에 이 방법이 거의 쓰이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