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안녕하세요~ 현재 학교공사를 위해서 설계를 하고 있는데 천장속 배관배선을 새로 하려고 합니다.

KEC기준에 맟춰서 설계를 하고 싶은데 노출이나 천장속 은폐시 합성수지관을 사용을 금지한다고 해서

천장속 은폐배관으로 배관배선 일체형으로 가온전선의 ACF케이블이나 MCIF을 사용하려고하는데.. 사용해도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첨부파일 보시면 인터넷에서 본 자료인데~ 안된다고 되어 있어서요~

HFIX전선을 가요전선관에 넣어 시공하는 것만 되는건지 알려주세요~

제발 답변에는 어디를 찾아보라는 식 말고요~~

ACF케이블이나 MCIF케이블 사용해도 되는지 안되는지 명확하게 답변을 달아주세요~

답변 보면 어디에 나와있다고 되어있고~~ 애매한 부분이고 아직도 수정이 되고있는 법규라서 그러하오니

제발 검토하시고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수고하세요~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기존 ACF케이블(왼쪽부터 첫번째와 두번째 케이블)과 이를 개선한 신형(왼쪽부터 세번째, 네번째 케이블) ACF 케이블의 직진성을 비교한 모습.

‘곧게 뻗으면서 잘 휘어지는 케이블을 상상할 수 있을까?’

가온전선이 이 모순된 과제를 해결하는 데 성공했다.

20일 가온전선 관계자는 “기존 ACF 케이블(Aluminum Clad Flex Cable, 가요성 알루미늄피 케이블)을 보완한 특허출원의 등록을 최근 마쳤다”고 밝혔다.

가온전선이 지난 2004년 출시한 ACF 케이블은 외장에 특수 공법을 적용해 금속관의 장점인 고강도와 가요전선의 장점인 가요성(외부의 힘에 의해 물체가 구부러져 휘는 성질)을 모두 갖춘 제품이다.

이를 바탕으로 코너 부분에서 굴곡 작업을 할 때 전선이 손상되지 않는 우수한 굴곡성을 자랑한다.

또한 절연선을 내장한 일체형 제품으로써 인입 작업이 필요 없어 포설 과정을 단축할 수 있다.

일반적인으로 전선관 설치에는 ▲절단 ▲리머질 ▲나사내기 ▲구부리기 ▲전선인입 ▲배관연결 및 지지 등 복잡한 단계를 거치게 된다. 반면 ACF 케이블은 ▲절단과 ▲배관연결 및 지지 두 단계만 거치면 된다. 당연히 시공 편의성이 높고 시공 비용 또한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밖에도 많은 장점을 갖춘 제품이지만 일부 현장에서는 ACF 케이블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결과물이 곧게 뻗지 않고 휘어지는 경우가 많아 미관상 좋지 않다는 것이다.

이는 ACF 케이블의 장점인 배관 없는 일체형 구조와 뛰어난 가요성 탓으로 품질과 전혀 상관이 없는 부분이다. 단점 아닌 단점이 지적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온전선은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약 1년간 연구를 거듭했고 그 결과 이번 특허출원 등록에 이르렀다.

가온전선 관계자는 “ACF 케이블의 특성상 뱀처럼 휘는 스네이크 현상이나 쳐지는 부분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일부 현장에서 좋지 않은 반응이 있었다”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빳빳하면서도 유연성이 좋은 제품을 만드는 모순된 연구를 진행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가온전선의 특허 기술은 ACF 케이블의 전반에 걸쳐 적용됐다. 직진성을 높이기 위해 케이블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지지하는 클램프도 개선했고, 이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한 공사 방법도 고안한 결과 현장의 모순된 요구를 수용할 수 있게 됐다.

가온전선 관계자는 “이번 특허출원 등록의 원동력은 제품에 대한 가온전선의 고집과 기술력”이라며 “특허 기술을 바탕으로 ACF 케이블이 개선됨에 따라 고객들의 수요와 만족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ACF케이블이란

450/750V ACF 케이블은 필요한 가닥수의 HIV를 연합한 선심 위에 폴리에스터 테이프를 감은 후 고강도 알루미늄 인터록 외장을 적용한 ‘가요성 알루미늄피 케이블(Aluminum Clad Flex cable)’입니다.
ACF 케이블은 건물의 신축이나 리모델링 모두에 대해서 빠르고 효과적인 배선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신개념의 미래형 제품으로 기존의 강제전선관이나 가요전선관과 비교시 다음과 같은 차별화 된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 공장에서 금속배관을 전선에 입힌 배관·배선 일체형 케이블로 현장에서 공사시 별도의 배관 작업이 필요 없음.
연가된 전선을 절연보호테이프로 보호하고 금속배관을 인터록(Interlock) 방식으로 외장하므로, 기존 배관내 전선을 인입하는 방식보다 전선의 손상 가능성이 없어 공사 신뢰성이 높고 배선 작업이 편리함.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2) 가요전선관과 같은 뛰어난 포설 작업성을 갖고 있는 반면 단점인 처짐 현상을 개선한 차세대 제품임.
금속외장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UL인증을 취득한 고강도 가요전선관(Reduced Wall type Flexible Metal Conduit : UL1)을 적용함으로써 가요전선관 공사의 단점인 처짐 현상을 개선하여 추가적인 지지가 불필요함.
   
  3) 경량의 알루미늄을 적용함으로써 기존 스틸(Steel)과 차별화 된 제품으로, 배선시공의 획기적인 변화를 제공함.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미국에서는 이와 유사한 NEC Type의 MC Cable이 전기공사 배선시장의 상당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추세는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ACF케이블의 특징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경제성

  기존의 배선방법에 비해 설치기간의 단축을 통한 획기적인 공사비 절감.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안정성
  전기설비기준에서 요구하는 KS C IEC 60332-3 등의 수직트레이 불꽃시험(VTFT)을 만족하는 우수한 난연특성 및 화재시 연기발생이 적은 환경친화형 제품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우수한 굴곡성
  코너 부분 굴곡작업시 전선의 손상 위험이 없고 Normal Bend, Coupling 등의 배관자재가 필요 없음.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배선길이의 가변성
  장 조장 공급으로 배선길이가 긴 부분에 필요한 길이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슴.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경량성
  가벼운 알루미늄 외장으로 강제 전선관(Steel Conduit)에 비해 취급이 용이.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현장 적응성
  경량칸막이 Partition 내부 및 이중천정재의 설비배관이나 다른 장애물을 피해 추가의 배관 및 입선공정 없이 쉽고 빠르게 설치 가능.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450/750V ACF (일반형)
  450/750V ACFV (피복형)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구조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도체 : 연동선 또는 연동연선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절연체 : 450/750V HIV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선심수 : 2심 이상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선심식별 :
 

선심수

전등전열용

방송용

자탐/
유도등용

2심

흑 백 흑 적 흑,적

3심

흑,백,녹 - 흑,백,적

4심

흑,백 녹,적 흑,백,녹,적 흑,백,적,청

5심

흑,백,녹,적,황 - -

6심

흑,백,녹,적,황,청 흑,백,녹,적,황,청 -

7심이상

흑,백,녹,적,황,청 + 흑색에 넘버링 흑,백,녹,적,황,청 + 흑색에 넘버링 -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외장 : 알루미늄 인터록 외장 (UL1에 따른 고강도 전선관 Type)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피복 : 난연 PVC(피복형에만 적용)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적용범위
  - 동력 및 전열설비 배선
- 조명 및 방송설비 배선
- 소방전기설비배선
- 노출 및 매입 설치
- 케이블 트레이내의 포설
- 조가용선을 이용한 가공배선
- 리모델링 및 인테리어
- 직매 및 지중매설(피복형 적용)
   
ACF 케이블 시공 - ACF keibeul sigong
참조자료
 
- 전기설비 기술기준 제11조, 제108조, 제213조의2
- 내선규정 제2부 제22장 제2295절
- 품셈규정 제5장 내선 설비공사 5-11, 5-13
- KS C 3328
- KS C IEC 60332-3
- NEC 230.43, 300.22(C), 392, 396, 330, 518, 520, 645
- IEEE 383, CABLE Tray installations per N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