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40x1440 해상도 설정 - 3440x1440 haesangdo seoljeong

최근 데스크탑을 구해서 LG울트라와이드 모니터를 연결해보았다.

구형 데탑이라 그런지 모니터를 연결하니까 해상도가 맞지 않는 건지

화면이 모니터 해상도와 잘 맞지 않더군요

21:9 울트라와이드 모니터의 권장 해상도는 2560 x 1080 인데요

해상도를 맞췄지만 아래와 같이 모니터 상하단이 채워지지 않았습니다.

일단 모니터 자체에서 설정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해서 그래픽 카드에 대해서 확인을 해보았습니다.

3440x1440 해상도 설정 - 3440x1440 haesangdo seoljeong
울트라와이드 21:9 모니터 해상도 설정

lg노트북 그램과 연결했을 때는 전혀 문제되지 않던 부분이었는데

갑자기 이러니까 난감했답니다.

그래픽 카드 드라이브 문제 아님

저는 그래픽 설정 프로그램의 문제인가 싶어서 그래픽 드라이브를 검색해서 다운로드 받고 그래픽카드 설정 프로그램까지 조작해보았지만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그래픽 카드 문제도 아님

혹시나 그래픽 카드가 AMD구형이라 문제가 되지 않나 싶어서 지포스 그래픽 카드로 교체를 해보았지만 상태는 동일했습니다.

결국 모니터 자체에서 해결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들어 검색해본 결과!!

HDMI 연결 포트 호환성이라는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모니터 자체에서 설정할 수 없는 것이라 생각했던 것은 리얼 경기도 오산이었습니다.)

3440x1440 해상도 설정 - 3440x1440 haesangdo seoljeong
울트라와이드 21:9 모니터 해상도 설정

모니터 설정부분에 들어가셔서 일반설정 > HDMI 호환성모드로 들어가줍니다.

3440x1440 해상도 설정 - 3440x1440 haesangdo seoljeong
울트라와이드 21:9 모니터 해상도 설정

꺼짐 켜짐으로 선택할 수 있는데 이런건 왜 해놨을까요... 그냥 켜짐으로 해놓으면되지.............

3440x1440 해상도 설정 - 3440x1440 haesangdo seoljeong
울트라와이드 21:9 모니터 해상도 설정

그렇게 켜짐으로 설정을 하시면 속 시원하게 화면이 꽉차게 나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것 때문에 괜히 그래픽 카드 바꿔껴보고 드라이브 계속 바꿔서 설치해보고 쌩쇼를 했네요 ㅠㅜ

아마 당황하셨던 분들이 이 글을 보고 계시겠죠?

해결되셨다면 조아요 한번 씩 꾸욱~! 부탁드려요~!

  이 동영상은 Windows 10을 기준으로 제작되었으며, Windows 및 드라이버 버전에 따라 화면이 다르게 표시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밝고 깨끗한 화면을 보기 위해서는 해상도를 모니터에서 지원하는 최적 해상도로 설정해야 합니다.
모니터 화면에 최적 해상도 설정 표시가 나타날 경우 해상도 및 수직 주파수 설정을 최적으로 변경해주세요.
모니터의 최적 해상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제품 매뉴얼 또는 홈페이지의 제품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C와 연결했을 때 최적의 해상도로 자동 설정됩니다.

  이렇게 해보세요.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디스플레이 설정]을 선택하세요.
[디스플레이 해상도] 항목에서 모니터에 맞는 최적 해상도를 선택하세요.
[고급 디스플레이 설정]을 선택하세요.
[디스플레이 1의 어댑터 속성을 표시] → [모니터] → [화면 재생 빈도] 항목에서 최적의 수직 주파수를 선택하세요.
PC 외의 외부 장비는 장비의 영상 출력 설정에서 모니터에 맞는 최적 해상도와 수직 주파수를 설정해주세요.

도움이 더 필요한가요?

LG전자 홈페이지의 고객 지원 메뉴에서 [이메일 문의 / 전화상담 예약] 메뉴를 이용해보세요.
[출장 서비스 예약]을 통해서는 전문 서비스매니저의 정확한 진단과 점검을 받을 수 있어요.

▶ 이 콘텐츠는 공용으로 제작되어 구입한 제품과 다른 이미지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24인치 Full HD 와이드 모니터를 16:9 (1920x1080) 해상도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런 작은 모니터에서도 게임화면을 21:9 비율인 울트라 와이드 해상도로 강제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걸 알았다.

당연히 모니터 화면 위아래가 짤리기 때문에 27인치 이상 모니터가 아니면 모니터를 앞으로 땡겨서 사용해야 한다.

모니터가 지원하지 않는 해상도를 강제 변경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다만 모니터에서 지원되지 않는 해상도 비율일때는 정상 적용되지 않고 4:3으로 되기도 한다.

16:9 / 4:3 / 21:9 같은 비율만 맞으면 아무 숫자나 넣어도 다된다. 너무 고해상도로 하면 모니터나 그래픽카드에 당연히 무리가 가기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한다.

울트라 와이드 해상도 비율(Aspect Ratio)은 21:9 이므로 표준 권장 해상도는 2560x1080 이다. 더 큰 모니터는 3440x1440 임.

컴사양이 그리 좋지않아서 2560x1080 으로 변경하니까 좀 버벅인다. 가로는 1920 으로 하고 1920을 21:9 비율값인 2.370으로 나눠서 810으로 했다. 좀더 쾌적하게 돌아갔고 시원한 울트라 와이드 화면으로 안보이던 부분까지 보인다.

사용자 정의 해상도는 아무 숫자나 대충 맞춰서 해도 된다. 너무 차이가 나면 글자가 찌그러지거나 정사각형이 직사각형이 되기도 한다.

울트라와이드는 표준해상도가 2560 과 3440으로 정해져있다. 그래서 울트라와이드를 지원하는 게임을 일반 16:9 모니터에서 울트라와이드해상도로 할 때 게임 그래픽 옵션에 21:9가 있는지 확인하고 그래픽카드제어판에서 만든 해상도도 뜨는지 확인하면 된다.

1920 모니터는 하드웨어(AD보드)에 따라 표현 가능한 해상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800x600 으로 하든 3440x1440으로 하든 모니터에 무리가 간다든가 하는 일은 없다고 한다. 최대 해상도를 넘게되면 그냥 화면이 작아지거나 글자가 찌그러지거나 할뿐이다.

모니터 최대해상도를 넘는 해상도를 모니터 화면에 딱 맞출 때 스케일링이라는 소프트웨어 기술이 사용된다. 그냥 게임 그래픽 옵션에 있는 안티앨리어싱같은 류의 후처리 기술이다. 그래서 같은 인치지만 네이티브 3440 해상도가 가능한 하드웨어 모니터를 사용할 때보다 당연히 화질이 떨어진다.

그래픽 제어판의 후처리 기능보단 게임 내 후처리 기술이 일반적으로 화질이 약간 더 좋고 성능도 조금 더 먹는다.

1920의 울트라와이드 해상도의 세로는 800이 가장 많이 쓰이는 것 같다. 영화의 공식 화면 비율 중에 1920*800이 있지만 모니터는 2560 이상만 있다. 810을 한다는 사람도 있고 822를 한다는 사람도 있다.

모니터 해상도를 강제 변경하려면 그래픽카드 제어판에서 하면된다.

Nvidia 카드의 경우 아래와 같이 하면 됨.

△ 잘 안되거나 게임 화면이 이상하면 스케일링모니터GPU 중 하나를 선택해보고 모니터도 초기화(Reset)해볼 수 있음.

△ 모니터에서 정식 지원되지 않는 해상도는 위처럼 「바탕화면 크기 조정 활성화」를 사용할 수 없게된다.

그리고 화면비율도 표준 스펙이 아닌 16:7 같은건 정상 적용안되고 4:3 같은 비율로 바뀜.

3440x1440 해상도 설정 - 3440x1440 haesangdo seoljeong

△ 유로트럭2 의 21:9 화면이다. 시트 조정 기본값 상태에서 제일 위의 16:9 화면보다 운전석 시야가 넓어진다. 오른쪽 사이드 미러를 켜놓으면 안보이던 전면미러도 보인다. 스샷을 찍어서 그런데 모니터 화면은 위아래가 짤리므로 24인치 모니터에서는 게임화면이 좀 작은 편이다.

△ FPS 게임 아르마3화면. 안보이던 좌우측 배경이 보임.

* 스샷 풀화면은 브라우저 창 최대화 후 사진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