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북 프레임 확인 - maegbug peuleim hwag-in

다양한 동영상 컨텐츠가 쏟아지고 누구나 다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요즘 시대에 적절한 전자기기 혹은 동영상 플랫폼을 선택함에 있어 해상도와 프레임 레이트(FPS)에 관한 정보를 알고 있는 것 또한 중요해졌습니다. 본 글에서 FPS로 표기되는 프레임 레이트에 관한 내용을 간략하게 다루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 1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 FPS)란?
  • 2 주로 사용되는 표준 프레임 레이트
    • 2.1 슬로 모션 | 1000fps < ?
  • 3 15 vs 25 vs 48 vs 60fps?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 FPS)란?

프레임 레이트란 간단하게 비디오(동영상)에서 보이는 ‘초당 이미지의 개수’입니다. 대부분 FPS(Frame Per Second)로 표기하며 초당 프레임수 단위로 표현하게 됩니다. 초당 프레임의 수가 높을수록 영상이 부드럽게 재생됩니다.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24fps, 30fps, 60fps 단위는 1초 안에 다른 수의 프레임을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각 프레임의 크기가 크면 고화질, 작으면 저화질이라고 부르게 되는데, 이는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해상도(Frame Resolution)이며, HD, FHD, 4K 등으로 구분하게 됩니다.

해상도에 관한 설명 ▼

  • 해상도(resolution)에 관한 설명 FHD, QHD, UHD, 4K, 5K

직관적으로 프레임 수가 많을수록 동영상 용량이 커지게 되며, 움직임이 부드러워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맥북 프레임 확인 - maegbug peuleim hwag-in


주로 사용되는 표준 프레임 레이트

영화나 시네마틱 영상 제작물의 경우, 24fps 혹은 48fps를 사용합니다. 과거에는 24fps로 대부분 촬영되었지만, 호빗이나 아바타 등의 영화는 48fps로 촬영되었습니다(아바타 2는 60fps로 촬영될 거라는 루머도 있네요).

24fps vs 48fps 비교 ▼

아래 24/48fps 비교 영상을 보면,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차이는 그렇게 크진 않습니다.

 

TV 영상의 경우, NTSC방식 혹은 PAL방식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크게 2가지 부류로 나뉘는데, 주로 30fps 혹은 25fps로 촬영됩니다.

  •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 미국, 일본, 한국 등에서 사용하는 TV 방송 시스템이며, 60Hz의 전력 표준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30fps 혹은 60fps(스포츠)를 이용합니다.
  • PAL (Phase Alternating Line) : 유럽에서 사용되는, 50Hz 전력에 최적화되어 있는, 방송 시스템입니다. 주로, 25fps를 사용합니다.

슬로 모션 | 1000fps < ?

단위 시간당 많은 장면(프레임)이 필요한 슬로 모션의 경우엔 상대적으로 높은 fps 조건에서 촬영되게 됩니다. 가깝게 아이폰 카메라 설정만 가보셔도 이는 쉽게 확인하실 수 있는데, 30/60fps를 사용하는 일반 촬영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120/240fps) 프레임 레이트를 요구하게 됩니다.

  • 설정 > 카메라 > 슬로 모션 녹화 ▼

맥북 프레임 확인 - maegbug peuleim hwag-in

아주 정교한 움직임을 표현하고자 하는 동영상에선 1000fps 이상으로 촬영되기도 합니다. 일반 슬로 모션보다 상대적으로 단위 시간당 많은 장면(프레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1000fps 예시 ▼


15 vs 25 vs 48 vs 60fps?

그렇다면 어느 정도 프레임 레이트를 설정해서 동영상 컨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좋을 지 의문이 듭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24fps 혹은 30fps가 넘어가면 끊김을 거의 인식할 수 없다고 합니다. 개인차 및 서로 다른 의견이 많은 주제이므로, 아래 웹페이지에 가셔서 직접 움직임을 비교해보시면서 체감해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 https://frames-per-second.appspot.com/

맥북 프레임 확인 - maegbug peuleim hwag-in


이상입니다.

참고

  • 아이폰, 슬로우 모션 촬영 및 해상도 변경하기
  • 레티나 디스플레이에서도 해상도가 낮은 앱, HiDPI 모드 적용하는 방법

참조

  • A Beginner’s Guide to Frame Rates

애플의 2021년형 M1 맥북 프로는 Liquid Retina XDR 4k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어 있으며ProMotion 기술이 적용되어 120Hz 주사율을 가변적으로 재생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 재생, 게임 플레이 뿐만 아니라 최근엔 사파리에도 120Hz가 적용되어 부드러운 웹페이지 스크롤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가변 주사율 덕분에 배터리 효율 또한 신경을 쓴 모습인데요.

신형 맥북 프로에서 120Hz 뿐만 아니라 60Hz, 59.94Hz, 50Hz, 48Hz를 지원하여 영상 제작에 최적화된 주사율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적용 모델 : 16형 MacBook Pro, 14형 MacBook Pro

튜토리얼 환경 : 맥북 프로 14″ M1 Pro, macOS Monterey

M1 맥북 프로 주사율 설정

맥북 프레임 확인 - maegbug peuleim hwag-in

  1. 상단 메뉴 막대에서 Apple 아이콘을 클릭한 후 시스템 환경설정을 클릭합니다.

맥북 프레임 확인 - maegbug peuleim hwag-in

  1. 시스템 환경설정 항목에서 디스플레이를 선택합니다.

맥북 프레임 확인 - maegbug peuleim hwag-in

  1. 디스플레이 항목에서 재생률 옵션을 클릭합니다.
  2. 드롭다운 목록에서 ProMotion을 선택하면 120Hz가 적용됩니다.
  3. 외부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을 변경하려면 왼쪽 디스플레이 목록에서 선택 후 주사율을 변경합니다.

💡 macOS Big Sur 이하 버전에서는 option 키를 누른 상태에서 해상도 조절 버튼을 클릭하면 주사율 메뉴가 표시됩니다.

재생률을 변경하면 재부팅 없이 바로 적용되며 주사율을 테스트하고 싶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참고 : 모니터 주사율 확인과 테스트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