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웃음 의성어 - yeong-eo us-eum uiseong-eo

Media Log

인터넷에서 웃음을 나타내는 의성어 영어 표현법

라쿤잉글리시 미친너굴입니다. 

오늘은 인터넷에서 영어로 웃음을 나타내는 정확한 표현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영어 웃음 의성어 - yeong-eo us-eum uiseong-eo

우리는 "ㅋㅋㅋ" 혹은 ^^ 가 웃음을 나타내는 표현이죠. 하지만 당연히 영어로 이렇게 쓰면 아무리 기호라고 해도 아무런 뜻이 없는 말이 되어 버립니다. 

실제로 원어민 친구에게 ^^ 라고 적어놓고 smile이라고 이야기해주니깐 그 친구가 전혀 납득이 안된다는 표정으로 :) 이렇게 그려두었습니다. 

대신에, 영어에서도 한국어로 "하하하" 처럼 "ha ha ha!"라고 적어야 웃음을 나타내는 의성어가 됩니다. 

ha 를 두자 이상 띄어 쓰기해서 열거해야 웃음을 의미합니다. 

Ha ha!

Ha ha ha!

Ha ha ha ha ha ha ha!

하지만, ha 하나만 적으면, 웃음소리(laughter)를 나타내는 말이 아닙니다. ha 하나만 적으면 승리나 만족을 표현하는 감탄사입니다. 

Ha! I did it. You didn't think I could do it, but I did!

아~ 나 해냈어. 너 내가 해낼꺼라 생각못했지 하지만 나 해 냈어!

Ha! I told you that would happen.

아~ 나 그게 일어날꺼라 말했었잖아. 

웃음소리의 다른 표현이 있습니다. 

He he

He he he

hehehehehe

(* he 하나만 쓰면 3인칭 단수 '그' he 입니다.)

Tee hee

히히 낄낄 웃는 소리(giggle)입니다. 

인터넷에서 더 많이 쓰는 영어는 lol, rofl. lmao입니다. 

LOL! = laugh out loud

ROFL = rolling on the floor laughing

LMAO = laughing my a** off (swear word for bum!)

보통 여러 한국 학생이나 다른 인터네셔널 학생들은 아래처럼 각자 자신의 문화적 배경으로 웃음 표시를 인터넷에 합니다.  

jejejejeje!

kkkkkkkk!

rrsrsrsrsrsrsrsrs

ejejejejejejejejejeje

jajajajajajaja

kekekekeke

사실 원어민이 보면 아무 느낌이 없는 기호에 불과합니다. 이런 문화의 차이를 문자로 보는 것도 재미난 부분입니다. 

Thanks for studying Today!

Image ⓒ http://500px.com/photo/56318862

웃음 문자 'ㅋㅋㅋㅋ’, 다른 나라에선 어떻게 쓸까?

2019년 11월 13일

영어 웃음 의성어 - yeong-eo us-eum uiseong-eo

사진 출처, Getty Images

누군가 웃긴 이야기를 했을 때, 'ㅋㅋ'라고 적는 것이 쉬울까? 아니면 '아이고, 그거 정말 웃겨서 웃음을 멈출 수가 없어'라고 적는 것이 쉬울까.

전 세계 누구든 문자를 할 때 시간이나 데이터를 낭비하고 싶지는 않을 것이다.

때문에 이럴 때 전 세계 많은 사람들은 '왱왱' '음메' '꽥꽥' 같이 사람이나 사물의 소리를 흉내 낸 말, 즉 '의성어'를 쓴다.

그렇다면 웃음 소리는 전 세계가 똑같을까? 그렇지 않다.

  • 표정이 안좋아야 칭찬 받는 경찰들
  • 네덜란드의 '이상하게 걷는' 횡단보도
  • 웃음의 과학: 더 창의적이고 생산적으로 일하기

전 세계 누구든 웃는 소리는 다 거기서 거기일 것 같지만, 웃음 소리를 문자로 표현하는 방식은 나라마다 제각각이다.

1. Haha : 하하 (영어)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하하' 또는 '하하하'가 영어로 웃음소리를 표현하는 표준어다.

하지만 문자를 할 때 중요한 것은 속도와 간결성, 그리고 자연스러움이기 때문에 간단히 '하하'를 쓰는 경우가 더 많다.

만약 좀 더 우쭐대는 느낌의 웃음을 표현하고 싶다면 '히히'를 쓸 수도 있지만, 이건 상대방의 미움을 살 수도 있다.

2. Kkkkkk : ㅋㅋㅋㅋㅋㅋ(포르투갈어 / 한국어)

포르투갈어나 한국어로 즐거움을 표현하려면 'kkkkkk(ㅋㅋㅋㅋㅋㅋ)'를 쓰면 된다.

포르투갈어, 특히 브라질에서 쓰는 포르투갈어에서는 웃음 소리를 'K'로 표현하는데, 실제 소리는 '캬'에 가깝다.

온라인에서 웃음을 표현할 때는 'kkkkkk'라고 쓰면 되는데 어떤 사람들은 포르투갈어로 '웃음'이라는 뜻을 가지는 'rios'의 축약형인 'rsrsrs'를 쓰기도 한다.

한국어는 포르투갈어와 전혀 다르지만, 웃음 소리 만큼은 두 언어가 같다.

알파벳 'K'나 한국어의 'ㅋ'는 모두 혀의 뒷부분과 입천장 뒤 부드러운 부분에서 소리가 나는 연구개음인데 실제로 우리가 웃을 때 내는 소리와 가장 흡사하다.

세상 모든 언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자음인 'ㅋ'가 웃음 소리와 가장 비슷하다는 건 좋은 현상이 아닐까.

3. Xaxaxa : 솨솨솨 (그리스어)

그리스어로 진심에서 우러나온 웃음을 표현하려면, 'hahaha'나 'ㅋㅋㅋㅋㅋㅋ'정도로는 부족하다. 대신 'Xaxaxa'를 쓰면 되는데, 이는 번데기 발음 '솨솨솨'에 가깝다.

4. Olololo : 오로로로 (러시아어)

러시아어를 포함한 50개 이상의 언어에서 쓰는 키릴 알파벳으로 문자를 보낼 때도 웃음 소리를 'Xaxaxa'라고 쓴다.

하지만, 좀 더 러시아 사람처럼 웃음 소리를 표현하고 싶다면, 'Olololo' (키릴 알파벳으로는 олололо)를 써보자.

5. Kiekie : 키에키에 (링갈라어)

반투어군에 속하는 링갈라어는 콩고 공화국과 인접 국가들에 사는 80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데, 링갈라어로 웃음 소리는 'kiekie'라 쓴다. 정말 너무 웃긴 경우에는 'kie' 세개를 붙여 'kiekiekie'라고 쓰면 된다.

6. Jajaja : 하하하 (스페인어)

엄밀히 말하면, 'Ja, ja, ja'라고 쓰는 것이 맞지만, 보통은 'jajaja', 또 자지러질 만큼 웃김을 표현할 때는 'jajajajaaaa'라고 쓸 때도 있다.

비밀스런 웃음은 'je', 음흉한 느낌의 웃음은 'jejeje', 뭔가를 비밀스럽게 공모할 때는 'jijiji', 놀람을 동반한 큰 기쁨을 표현할 때는 'jojojo!'로 변형되기도 한다.

7. mdr (프랑스어)

이번엔 의성어는 아니다. 프랑스어로, 평범한 웃음 소리는 'hahaha'를 써도 무방하지만, 프랑스 사람들은 'mdr'도 자주 쓴다.

Mdr은 불어로 'mort de rire (웃겨 죽다)'의 축약형으로, 'hahaha'를 쓰는 것보다 쓰기 더 간단하기 때문이다.

8. lwkmd (나이지리아어)

나이지리아에서도 의성어 대신 축약형을 쓰는데, 이번엔 더 짧아서가 아니고, 웃기다는 걸 더 강조하기 위해서다.

'피진 영어' (우리나라의 콩글리쉬 처럼, 현지어가 뒤섞인 영어)에서 쓰는 'laugh wan kill me die'라는 말을 줄인 것인데, 웃다가 죽을 정도로 정말 재미있다는 뜻을 가진다.

9. 555555 (태국어)

만일 태국 친구로부터 숫자 5가 가득 적힌 문자를 받았다면, 그건 그 친구가 당신과 좋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의미다. '555555'는 태국에서 웃음 소리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태국어로 숫자 5는 '하'와 발음이 동일하기 때문에, 5를 이어서 쓰면 '하하하하' 즉, 웃는 소리가 된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숫자 5가 정반대의 의미를 갖는다. 중국어로 5는 '우'로, 우는 소리를 묘사할 때 주로 쓰이기 때문에 중국에서 '555555'는 엉엉 우는 소리가 된다.

10. H (아랍어)

아랍 알파벳은 세계에서 라틴 알파벳 다음으로 가장 많이 쓰인다.

아랍어는 이슬람 문화와 함께 세계로 퍼져나갔고, 또 새로 만들어진 나라들 중에도 아랍어를 채택한 나라들이 있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쓰고 있다.

아랍어는 자음문자, 즉 모음을 쓰지 않고 자음으로만 이루어진 언어다. 그래서 'Ha'를 쓸 때도, 'a'가 빠진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웃을 때 또는 ههههه라고 쓴다

11. Www (일본어)

일본에서는 '웃음'을 'warai' 또는 '笑い '라고 하는데 다 쓰기엔 너무 길기 때문에, 'www' 또는 아주 웃길 땐 'wwwww'라고 쓴다.

12. Ha3 : 하3 (말레이시아어)

말레이시아어는 말 줄이기의 다른 차원을 보여준다.

'Hahaha'를 쓰는 것도 귀찮다면, 말레이시아 사람처럼 'Ha3' (Ha x 3 = Ha3)이라고 써보자

13. Ahahah : 아아아 (이탈리아어)

오타가 아닌가 생각할 수도 있지만, '아아아'가 맞다.

이탈리아어에선 'h'가 묵음이고, 근처에 있는 자음의 발음을 바꿀 때에만 쓰인다.

하지만 이 경우에 'h'대신 'a'로 시작하는 이유는 이탈리아어로 '가지다'라는 의미를 가지는 'ha'와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14. høhøhø (노르웨이어)

노르웨이에서는 어떻게 웃을까? 솔직히 말하면, 노르웨이에서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hahaha'를 쓰긴 한다.

하지만 몇몇 사람들은 좀 더 독특한 'høhøhø'를 쓰기도 하는데 더 특이하게는 '히히히'로 발음되는 'hæhæhæ'를 쓰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