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컴 투 동막골 사투리 - welkeom tu dongmaggol satuli

웰컴 투 동막골 사투리 - welkeom tu dongmaggol satuli

《개봉 18일째인 21일까지 관객 456만 명을 빨아들이며 흥행 질주 중인 영화 ‘웰컴 투 동막골’. 6·25전쟁 당시 강원도 두메산골에 있는 동막골에서 마주친 남북한 군인들의 화해와 우정을 다룬 이 영화가 관객의 마음을 훔친 까닭은 뭘까. 가장 먼저 사투리의 힘을 꼽을 수 있다. 동막골이라는 유토피아의 ‘공용어’인 이 강원도 사투리는 단순히 몇 개의 단어만 열거될 뿐인데도 사람을 웃게도 울게도 만드는 마술을 부린다. 그건 아마, 이들 사투리가 어떤 경우에도 진실만을 말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웰컴 투 동막골’ 속 사투리의 비밀을 밝힌다.》

▽①‘동막골 용어사전’▽

동막골 사람들이 가장 많이 쓰는 단어(혹은 문장)는 다음 세 가지다.△아프다 △부애가 났다 △먹다. 우선 ‘아프다’는 단어는 치명적 사고나 위기의 상황에서도 다소 ‘한가하게’ 사용된다. 이는 ‘더 아프고 덜 아프고’의 정도 차이 없이 ‘아픈 건 그냥 아픈 것일 뿐’으로 받아들이는 마을 사람들의 과장 없고 순박한 정서를 드러낸다.

“여 누워있지 마라. 뱀 이거 깨물믄 마이 아파. 우터(어찌) 그래 아픈지.”(병사들에게 여일이) “여가(여기가·배가)…뜨구와…마이 아파.”(복부에 총을 맞은 여일이)

또 ‘부애가 났어요?’란 말은 ‘화가 치밀었느냐?’는 뜻. 마을 사람들은 말 뜻 그대로 사용하지만, 주로 상대의 면전에서 그 말을 사용해 상대의 속을 ‘본의 아니게’ 뒤집어 놓는다.

“근데 저 양반은 먼 부애가 저래 났어요?”(굳은 표정의 국군 현철을 보면서 마을 사람 달수가) “얼른 일루(평상 위로) 올라와. 이 사람들 부애가 마이 났아.”(마을 사람들이 벌통을 보고 온 용봉을 보고)

‘먹다’라는 단어는 ‘공동생산 공동분배’의 공산제 사회인 동막골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단어. 동막골 촌장이 사용하는 말의 80%는 ‘먹는 것’과 관련된다. ‘뭘 좀 먹이는 것’은 리더십의 원천이기 때문.

“뭐르 좀 묵었어요?”(국군인 현철과 상상을 처음 만난 촌장이 걱정하면서) “뭐르 그래 빤히 쳐다보나. 회 하이 가서 식솔들 좀 멕이야지.”(국군을 구경하며 웅성거리는 마을사람들에게 촌장이) “인제 그만하고…머르 좀 먹어야지?”(남북한 군인이 팽팽히 맞서자 촌장이 말리며) “뭐를 마이 메게이지 머.”(북한군 장교 수화가 ‘위대한 영도력’의 비결을 묻자 촌장이)

▽②‘미친년’의 ‘안 미친’화법▽

자타공인 ‘미친년’인 여일(강혜정)은 알고 보면 동막골에서 가장 논리적으로 말하는 주민이다. 그는 자신의 빨리 달리기 비결을 과학적 인과관계를 담아 섬세한 ‘메커니즘’으로 설명할 줄 안다.

“내 좀 빨라. 난 참 이상해. 숨도 안 멕히고…. 아래 이래 팔을 빨리 휘저으믄, 다리도 빨라지미. 다리가 빨라지믄 팔은 더 빨라지미. 땅이 뒤로 막 지나가미…. 난 참 빨라. 우터 이닷한지(어째서 이런지)….”

대부분의 광인(狂人)들은 자신의 정신상태를 인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여일은 다르다.

“으때…, 멋지나?”(헬멧을 쓴 아이 동구가) “수박 껍데기르 뒤집어 쓴 거 같다.”(여일) “미친년한테 물어본 기 잘못이지….”(동구) “동구 니가 말하는 미친년에 난(나)도 끼나?”(여일) “이래이(이것 보시요)…. 우리 마을에 미친년이 뭐 여러 개 있나? 니 머리에 꽃 꽂았제?”(동구) “(수긍하며) 내가 미친년인거 아는 사람 많나?”(여일)

여일은 알고 보면 인정과 수긍과 포용의 정신을 지닌 ‘대 자연의 어머니’인 것. “너나 잘 하세요”하면서 상대의 콧대부터 짓누르는 ‘친절한 금자씨’보다는 더 친절하다고 볼 수 있다.

▽③환상의 ‘한 발 빼기’▽

동막골 사람들은 ‘더불어 산다’는 것의 기본을 안다. 상대와 의견이 다르더라도 대놓고 충돌하는 법이 없다. 강하게 주장하다가도 상대가 반발하면 일단 고개를 숙이고 보는 삶의 지혜를 가졌다.

“내 보기엔 그만하면 사람들 싹 다 괜찮던데?”(군인들을 칭찬하면서 마을 사람 석용이) “형님요, 그리 사람 볼 줄을 몰라요.”(마을사람 응식이 화를 내며) “그리니? 내 말을 가슴에… 너무 이래 담지 마….”(석용)

이승재 기자

  • 좋아요 이미지좋아요
  • 슬퍼요 이미지슬퍼요
  • 화나요 이미지화나요
  • 후속기사 원해요 이미지후속기사 원해요

웰컴 투 동막골 사투리 - welkeom tu dongmaggol satuli

Copyright ⓒ 동아일보 & donga.com

"�û�ȸ ������� ����ȸ�� �غ� �ʾ�" `������ ������ - ���� ����` ���� ź��

웰컴 투 동막골 사투리 - welkeom tu dongmaggol satuli

��ȭ��� ������(23)�� ����ó�� �� ������ ���� ���� �� ����.
�� �������� ����ϴ� �ְ� �α⽺Ÿ ���¿츦 ��ģ���� '����'�ϰ� �ִ� ���� �⿬�ϴ� ��ǰ���� ����� ������ �־��.

���࿡���� �뼺���� �ŵ� ��ȭ '������ ����'���� �ٸ� �������� ���ε� �� �� ���� ���� ���⿬ ����� �����ϸ鼭 ������ ���� ���⸦ ���� ��� �μ��� �̹����� ���� ������, ���� 4�� �����Ǵ� ��ȭ '���� �� ������'(���� �ڱ���, ���� �ʸ��ּ� ��)������ ��� �Ǽ������� �������� ������ �ð� ó�� ���� ���� �þ� ������ ������� �����ߴ�.

�� �� ���� �ް��ڽ����� ���� ��нû�ȸ���� '���� �� ������'�� ������ �׳��� ǥ�� ���� ��а� ������ �����ߴ�.

"���� �û�ȸ �� ������ ��ȭ�� ������ ���� �ڸ��� ���� ����ȸ���� �غ�������, �̳��� �⿬�� ��ΰ� ���� ���� �����ڸ��� �ö� ������ ��ȭ�� ���ٰ� ����ȸ�� �غ� �ʾ��� ���������. �ʹ� ���ٰ� ��ٰ� �ٽ� ������� ������ �����µ�, '�ơ�, ���� ���� �̰� �����' �ʹ��󱸿�."

�������� ������ �ΰ��ΰ� ��޵� ���� �λ����� ��ġ�� ���⸦ ��������.

÷���ϰ� ��ġ�ϴ� ������ ���ѱ����� ���尨�� ������ �ൿ���� Ǯ���ָ鼭 ȭ���� �Ǹ����� �����ϰ�, �������� ������ ���� �������� ��¡�ϴ� ����μ�, ������ �� �� ���� ��ŭ Ƽ ���� ���� ������ ǥ���� ������ ������ �������� ����� ���߽��� �������� �������� ź���� �ھƳ� �����̴�. ������ ������� �ʿ�� �ϴ� ��ġ ������ ��� ���� ���⵵ ������, �������� ���� '24�ð� ���� ��̰� ����'�� �������� �Կ��� ���ߴٰ� �� ��.

"ó���� ���� ���� ���� ��� ��ƾ� �ұ� ���� �� ����. �׷��� �������� �� �����ð�, '�̰� ���� �غ��� ���� �� �� �غ���'�� ���ϰ� ������. �� ������ ��¥ �ų��� �̰� ���� ���̵� ���鼭 �Կ��� ����. �̷� �κ��� �������� ��ũ���� �巯���� �� ���ƿ�."

�׳�� "���� ���� ���ҿ� ���� ������ ���ϴ� �� ���� �ǰ��Ѵ�"�� ������ ������ ���ϰ� �� ��.

���� ������� ���Ƽ� �׷�������, ������ ū �׳��� �Ըſ� ������ �̼Ұ� �̳����� ���� �ÿ� ������鼭�� �η��� ���� ��Ӱ�(?) ��������.

/ ����������

추천자료

  • [영화감상문]웰컴 투 동막골의 줄거리와 감상평
  • 인문어학 환상서사이론을 적용한 영화분석 웰컴 투 동막골 반지의 제왕을 중심으로
  • 사투리 관련 영화 소개 및 구연된 사투리 알아보기 황산벌 웰컴 투 동막골
  • [영화] 영화 속의 강원도
  • 한국 분단영화 속의 언어
  • [영화분석] 영화 `웰컴투 동막골` 분석
  • 음성,음운과 영화
  • [언어학] 한영 언어 비교연구-영화 `웰컴투 동막골` 번역 전략
  • 공연예술의이해와감상4공통) 교재3쪽에 보면 제의와 놀이에서 발전해 온 연극은 원래부터 제의의 진지함과 놀이성 사이에서 존재하는 것 분석해 보시오0k
  • [여가와삶]영화감상문 [웰컴투동막골] 을 보고나서
  • 소개글 웰컴 투 동막골 영화 속 강원도 사투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웰컴투 동막골 -영화속
    강원도사투리-
    전라남도 말과 문화
    -선생김봉두-


    웰컴투 동막골 줄거리
    동막골 명대사
    영화 사투리 바람 tv 영향
    국어 기본법과 문화 다양성
    강원도 사투리와 표준어
    그 밖에 강원도 사투리가 들어간 영화
    1





    이 영화는 6.25 한국 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입니다.
    강원도 어느 산골마을 "동막골" 이 곳에 연합군 병사 스미스가 추락하게 됩니다. 동막골에 살고있는 여일은 이 광경을 목격하고 소식을 전달하러 가던 중 인민군 리수화일행을 만나게 되고 그들을 동막골로 데리고 옵니다.그 때,병력에서 이탈해 길을 잃은 국군 표현철(신하균)과 문상상 일행이 동막골 촌장의 집까지 찾아 오게 되면서 국군, 인민군, 연합군이 동막골에 모이게됩니다.이렇게 모이게 된 국군, 인민군, 연합군은전쟁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순수하게 살아가는 동막골 사람들에게 동화되어갑니다. 그러나 동막골에 추락한 미군기가 적군에 의해 폭격됐다고 오인한 국군이 마을을 집중 폭격하기로 합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국군, 인민군, 연합군은 동막골을 지키기 위한 연합 공동 작전을 펼치기로 합니다.국군, 인민군, 연합군은추락한 미군 수송선에서 무기들과 장비들을 꺼내서 동막골과는 다른 위치에 동막골처럼 위장을 한 채 그곳에서 폭격에 대항해 싸우다가 죽게 됩니다.

    #동막골#사투리#강원#국군#언어#강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