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료 없는 거래소 - susulyo eobsneun geolaeso

수수료 없는 거래소 - susulyo eobsneun geolaeso

수수료 없는 거래소 - susulyo eobsneun geolaeso
출처=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레벨(LVL)

미국의 신생 암호화폐 거래소 레벨(LVL)이 코인베이스, 제미니 등 대형 거래소와 경쟁하기 위해 모든 거래 수수료를 없애기로 했다.

레벨은 앞으로 고객들에게 모든 거래 서비스를 수수료 없이 제공할 계획이라고 1일 발표했다. 모건크릭 디지털(Morgan Creek Digital)의 앤서니 폼플리아노와 비트코인 지지자 지미 송, 윌리엄 우의 지원을 받는 레벨은 그동안 가입자들에게만 거래 수수료를 면제했다.

레벨은 또 내년 초 두개의 직불카드를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마스터카드와 협업하고 있다. 기본적인 플라스틱 직불카드는 10달러의 발행 수수료만 지불하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며, 금속 재질의 마스터카드를 발급받으면 레벨의 프리미엄 서비스를 3개월 동안 이용할 수 있다.

레벨의 이번 발표는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역대 최고가를 경신한 시점에 나왔다.

“지금까지는 레벨에 가입하는 경우에만 무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모든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될 예정이다. 누구나 비트코인을 사고팔거나, 플라스틱 직불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북미 지역에서 당국의 규제를 받는 거래소 중 모든 서비스를 100% 무료로 제공하는 곳은 레벨이 유일하다.” - 크리스 슬라더 레벨 CEO

레벨은 코인베이스나 제미니와 같은 대형 거래소가 상당히 비슷한 수수료 체계를 두고 있어, 미국 거래소 시장에 제대로 된 경쟁이 부족하다는 데 초점을 맞췄다. 크리스 슬라더 레벨 CEO는 지금까지 유치한 투자금이 250만달러밖에 되지 않는 보잘것 없는 회사지만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의 독점 체제를 무너뜨릴 수 있다면, 기꺼이 그 길을 가겠다고 주장했다.

“우리는 근본적으로 굉장히 하찮은 경쟁 상대다. 직원 수는 7명밖에 되지 않지만, 북미 지역에서 마스터카드와 손을 잡은 것은 우리가 처음이다. 레벨은 핀센(FinCEN, 금융범죄단속국)에 등록돼 있다. 일반 은행 계좌를 사용하고 있고, 심지어 그 계좌는 온전한 입출금 계좌다.”

슬라더는 은행 플랫폼 이볼브(Evolve)를 통해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의 예금보험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레벨의 수익모델

슬라더는 레벨에서 자금을 출금할 때 3달러가 청구되는데, 이는 주로 네트워크 비용을 충당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인베이스는 네트워크 비용으로 1~5달러를 청구한다) 아울러 당일 은행 계좌 송금 건에 대해서도 5달러가 청구되는데, 이는 레벨이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신용 리스크를 충당하기 위한 것으로 레벨의 수익원이기도 하다.

은행 담당자와 실시간 채팅 기능이 포함된 프리미엄 서비스는 매월 9달러의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비용은 레벨의 자동 거래 시스템인 오토파일럿(Autopilot)에 유동성을 공급한다. 오토파일럿은 업계의 표준 마켓메이킹 알고리듬을 접목한 것으로, 거래 유동성을 공급하고 이용자들에게 일정한 소득을 가져다줄 수 있다.

슬라더는 현재 프리미엄 서비스에 가입한 이용자 수와 이번 결정에 대한 발표 후 증가하게 될 유동성을 감안하면 “2020년 1월 내로 코인베이스 유동성을 2% 이내로 추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레벨은 미국 인구의 60%에 해당하는 28개 주와 영토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슬라더는 내년 말까지 94%의 미국인들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윌리엄 우와 지미 송은 워낙 일찍부터 레벨에 관여했기 때문에 창립자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폼플리아노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함께했고 우리와 일주일에 한번씩 만나 마케팅 관련 회의를 한다.”

지미 송은 이메일을 통해 부당한 수수료로 피해를 보는 이용자들에게 공평한 경쟁의 장을 만들어 주는 것이 이번 결정의 목표라고 밝혔다.

“레벨은 시장의 판도를 바꿀 혁신적인 거래소다. 제약 없는 거래 환경이 만들어지면 자동 마켓메이킹(AMA)이 이뤄지는 오토파일럿과 같은 매우 흥미로운 혁신이 가능해지며, 이를 통해 이용자들은 비트코인으로 투자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지미 송 레벨 공동창립자

· This story originally appeared on CoinDesk, the global leader in blockchain news and publisher of the Bitcoin Price Index. view BPI.
· Translated by NewsPeppermint.

제보, 보도자료는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입력2021-05-07 15:33:12 수정 2021.05.07 21:49:52 노윤주·김정우 기자 daisyroh@

거래소마다 수수료 기준 제각각

비트코인 최소금액 출금할 경우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황도 연출

원화로 정액 떼가는 은행과 달리

해당 암호화폐 일부 가져가는 방식

상승장선 투자자 부담 커져 불만

시세 연동 연동 적용 등 체계 개선 필요

수수료 없는 거래소 - susulyo eobsneun geolaeso
viewer

/출처=셔터스톡

암호화폐를 다른 거래소의 지갑으로 옮길 때 내는 출금 수수료가 거래소에 따라 여섯 배 이상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 거래소들은 출금 수수료를 해당 암호화폐 ‘개수’로 징수하고 있다. 하지만 거래소마다 수수료 명목으로 떼어가는 암호화폐의 개수를 ‘제멋대로’ 정하다 보니 고객들이 이를 꼼꼼히 따져보지 않으면 자신도 모르게 손해를 보면서 암호화폐를 이체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또 거래소 계좌에서 은행 계좌로 현금을 이체할 때 원화로 정액을 떼어가는 수수료(1,000원)와 달리 거래소 간 암호화폐 이체는 ‘개수’로 출금 수수료를 매겨 요즘 같은 상승장에서는 투자자들에게만 불리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은행 계좌 출금 수수료와 같이 암호화폐의 출금 수수료도 원화로 징수하거나 시세 변동에 따라 코인 개수를 유연하게 적용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수수료 없는 거래소 - susulyo eobsneun geolaeso
viewer

7일 암호화폐 업계에 따르면 국내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들 가운데 비트코인(BTC) 기준 출금 수수료가 가장 비싼 곳은 코인원이다. 암호화폐 출금 수수료는 거래소 지갑에 보관된 암호화폐를 타 거래소의 지갑으로 옮길 때 거래소가 징수하는 수수료다. 은행 계좌 이체 수수료와 비슷하다. 현재 국내 거래소들은 암호화폐 출금 시 수량과 관계 없이 내부 기준에 따라 암호화폐 일부를 수수료 명목으로 떼어간다. 코인원은 비트코인 출금 수수료로 0.0015개(약 10만 2,750원)를 책정하고 있다. 이어 빗썸 0.001개(약 6만 8,600원), 업비트 0.0009개(약 6만 2,000원) 등의 순이다. 비트코인을 타 거래소 지갑으로 이체할 때 코인원을 이용하는 고객은 업비트 이용 고객보다 출금 수수료로 비트코인 0.0006개를 더 내는 셈이다. 시세가 급등하면 고객의 수수료 부담은 더욱 커지는 구조다. 특히 코인원의 경우 비트코인의 최소 출금 금액은 0.0001개로 배(최소 출금금액)보다 배꼽(출금 수수료)이 더 큰 상황이다.

최근 뜨겁게 달아오른 이더리움 계열의 암호화폐 출금 수수료도 천차만별이다. 업비트는 개당 124원에 거래되고 있는 리니어파이낸스(LINA)의 출금 수수료로 LINA 200개(2만 4,800원)를 받고 있다. 빗썸에서는 110개(1만 3,640원), 코인원은 35개(4,340원)를 수수료로 떼어간다. 가장 비싼 업비트의 LINA 출금 수수료가 가장 저렴한 코인원보다 여섯 배가량 비싼 것이다.

나홀로 수수료를 받는 곳도 있다. 빗썸은 비트토렌트(BTT) 출금시 수수료로 BTT 100개를 받는다. 업비트와 코인원은 출금 수수료가 없다. BTT는 트론 계열 암호화폐로 이 계열 암호화폐는 전송 수수료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빗썸 관계자는 “트론 계열 암호화폐는 일정 금액을 스테이킹하면 그만큼의 대역폭이 생긴다”며 “이 대역폭만큼은 무료로 전송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만 이 대역폭을 초과하면 전송 수수료가 발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소량의 수수료를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투자자들은 암호화폐 거래소들의 출금 수수료 시스템이 개선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동일한 암호화폐를 이체하는데 이용하는 거래소가 다르다는 이유로 수수료가 최대 여섯 배 이상 차이나는 것은 문제라는 것이다. 똑같은 암호화폐임에도 출금 수수료 차이가 클 경우 거래소들이 자발적으로 조정하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다.

코인 ‘개수’로 정해져 있는 징수 체계도 바뀔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지금과 같은 방식을 유지하면 상승장에서는 출금 수수료 부담 증가로 투자자들의 불만이 커질 수밖에 없다. 출금 수수료 부담 증가는 투자자들의 자유로운 거래소 선택권을 제약한다는 점에서도 개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거래소 계좌에서 은행 계좌로 현금을 이체할 때 붙는 출금 수수료처럼 정액(1,000원)으로 걷거나 시세 변동에 따라 유연하게 코인 개수를 조절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실제 업비트는 자사 거래소에 상장된 페이코인(PCI)에 대해 최근 출금 수수료를 조정했다. PCI는 온·오프라인 암호화폐 결제가 주목적인 암호화폐다. PCI를 사용하려면 거래소 외부로 출금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최근 PCI 가격이 급등하면서 투자자들의 수수료 부담이 늘자 업비트는 PCI 출금 수수료를 10개에서 5개로 줄였다.

암호화폐 업계 관계자는 “거래소별로 수수료가 달라 특정 거래소를 이용하는 투자자만 피해보거나 일부 알트코인 가격 급등으로 거래소들이 과도하게 출금 수수료를 챙겨가는 행위는 지양해야 한다”면서 “거래소들이 나서서 공통된 기준의 수수료를 정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할 때”라고 조언했다.

/노윤주·김정우 기자 daisyroh@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