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복지 개념 - sahoe bogji gaenyeom

초록 열기/닫기 버튼

복지란 개념은 20세기 이래 활발히 사용되고 있지만, 이 개념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정의가 없는 실정이다. 복지는 Welfare의 번역어 인데, 이는 원래 행복을 뜻하는 용어였으며 1940년대 이후 사회구성원들이 좋은 상태의 유지를 위한 정책적 제도적 개입이라는 의미를 갖기 시작했다. 동양에서도 복지는 번역 초기, wellbeing의 의미로 사용이 되었다. 식민지시기 복지란 용어보다는 사회사업, 후생, 민생으로 지칭되어지고 제도화가 되었다. 해방이후, 초기에는 식민지기의 제도적 명칭을 이어받지만 사회보장과 사회복지의 개념이 수용되면서 정부의 제도와 기구가 변화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사회보장, 사회복지 개념의 수용에는 선성장 후복지가 복지의 확대를 막는 큰 요인으로 작동했다. 한국 사회의 복지 개념, 기구와 조직에 대한 역사적 분석과 논의 없이는 성장담론을 뛰어넘는 복지담론을 형성하기 어려울 것이다.

The concept of ‘welfare’ is widely used since the 20th century. However, it is not clear what this concept means among all different walks of life. ‘Bokji’, Korean translation of welfare, originally meant ‘well-being’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Since 1940’s with the influences of total in the Western countries, it started to gain the meaning of “the state or condition of doing or being well; good fortune, happiness, or well-being (of a person, community, or thing); thriving or successful progress in life, prosperity.” With the coming of Japanese colonialism, the concepts like social works, husaeng, minsaeng were employed and institutionalized. After liberation, the concepts from the colonial time persisted and were gradually replaced by social security and social welfare. The development of such concepts and institutions based on them were greatly hindered by the discourse of “First Growth and Later Welfare.” Without the historical analysis of the concepts and institutions relevant to welfare, it will not be possible to create welfare discourses overcoming development orientated discourses handicapping welfare.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

the social welfare, bokji, social work, social security, husaeng, minsaeng, conceptual history

피인용 횟수

  • KCI 16회

  • 1,326 회 열람
  • KCI 원문 미리보기
  • 원문 찾아보기
  • 논문 인용하기
  • 서지정보 내보내기

    • txt
    • RefWorks
    • Endnote
    • XML

  • 현재 페이지 인쇄

인용현황

사회복지학(社會福址學)

사회구조개념용어

 인간의 사회적 욕구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가 또는 민간이 제공하는 정책 및 서비스를 연구하는 학문.   

사회 복지 개념 - sahoe bogji gaenyeom
사회 복지 개념 - sahoe bogji gaenyeom
정의

인간의 사회적 욕구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가 또는 민간이 제공하는 정책 및 서비스를 연구하는 학문.

사회 복지 개념 - sahoe bogji gaenyeom
사회 복지 개념 - sahoe bogji gaenyeom
연원 및 변천

사회복지가 학문으로서 체계화된 지는 오래되지 않았다. 한동안 사회복지에 대해 올바로 이해하지 못한 채 사회사업, 특히 미국의 전문사회사업과 동일시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는 해방 이후 미군정과 6·25전쟁으로 인한 외원 사회사업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1977년 5월 한국사회사업대학협의회에서 기존의 사회사업학과를 사회복지학과로 변경하면서 기존 사회사업 개념이 사회복지 또는 사회복지학으로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명칭이 변경된 주요 이유는 사회사업의 개념이 주로 구호사업 또는 시설보호사업으로 인식되고, 또 미국식 전문사회사업이 우리 나라의 현실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회 복지 개념 - sahoe bogji gaenyeom
사회 복지 개념 - sahoe bogji gaenyeom
내용

사회복지는 개인과 사회전체의 복지를 증진시키려는 모든 형태의 사회적 노력을 포함하며, 사회문제의 치료와 예방, 인적 자원의 개발, 인간생활의 향상에 직접적 관련을 갖는 일체의 시책과 과정을 포함한다. 사회복지는 사회적 욕구와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 또는 민간이 제공하는 정책 및 서비스를 말한다.

사회복지는 운영 주체, 대상, 방법, 재원, 행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는 이념과 이론적 관점에 따라 그 내용이 다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회복지의 운영 주체는 국가에서 민간, 대상은 요보호자에서 전체 국민, 방법은 사회정책에서 사회복지서비스 또는 사회사업, 그리고 그 재원은 조세에서 헌금에 이르기까지 이념과 이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념과 이론에 따른 사회복지의 구성원리를 사회복지학이라 할 수 있다.

사회복지학은 본질적으로 인간과 사회문제에 대한 과학적 분석과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의 결과로 이루어진 지식체계로서, 사회과학의 한 분야이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현실에 개입하여 현실을 변화시키는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여느 학문과 다르다.

사회복지학의 이론적인 체계는 크게 사회사업(social work)학과 사회정책(social policy)학으로 구분된다. 사회사업학은 구체적인 문제해결의 실천방법을 중심으로 한 전문직으로 발전되어 온 반면, 사회정책학은 개인의 복지향상을 목적으로 국가가 제공하는 사회서비스와 관련된 제반 사회현상에 대한 연구를 대상으로 발전되어 왔다.

사회 복지 개념 - sahoe bogji gaenyeom
사회 복지 개념 - sahoe bogji gaenyeom
현황

2011년 현재 전국 일반대학 및 사이버대학에 있는 사회복지학과 및 유사학과(사회복지행정과, 가족사회복지, 노인사회복지, 사회복지재활과, 아동복지보육과, 케어사회복지 등)는 대략적으로 280여 곳에 다다른다. 그리고 1957년 창립한 ‘한국사회복지학회’는 약 1,000여명 회원을 가진 사회복지학 분야의 대표적인 학회이다.

사회 복지 개념 - sahoe bogji gaenyeom
사회 복지 개념 - sahoe bogji gaenyeom
의의와 평가

학문적 역사가 짧은 사회복지학은 같은 사회과학인 정치학·경제학·사회학·심리학 등에 비해 이론적 축적이나 성과가 상대적으로 빈약한 편이다. 저출산, 고령화, 가족 다양화 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와 대상에서 사회복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현시점에서 사회복지학은 보다 깊은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인 임상 기술의 축적이 요청된다.

사회 복지 개념 - sahoe bogji gaenyeom
사회 복지 개념 - sahoe bogji gaenyeom
집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