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포커스라이트 컨트롤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일종의 소프트웨어에요.

Focustire Control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은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2Pre, 4Pre, 8Pre, 8PreX (USB)!

이외에도 Red 4Pre, Red8Pre, Red 16Line도 원래는 Focusrite Control로 사용 가능했으나,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얘네들은 승진해서 RedNet Controller 이라는 소프트웨어로 승진~!

어쨌든 Focusrite Control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뜸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Mac이나 Win 버전 둘다 동일)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연결한 상태에서 켜면 이런식으로 인식한다.

위에서 사용한 제품은 클라렛 2Pre USB로 연결한 상태!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그리고 혹시나 처음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연결하신거라면 위에 떠있는 창의 오른쪽에 위치한

New Monitor mix를 크크킄킄클릭!!

New Monitor MixLoad from device의 다른점은?

New monitor mix를 선택하면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소프트웨어로 자신이 원하는 모니터 믹스를 새롭게 설정할 수 있음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물론 이건 예시지만 위 사진처럼 사용할 수 있어요.

※이 부분은 본인의 모니터 믹스를 만드는 방법인데 너무 길어질 것 같아서 추후에 다시 설명할게요!

무튼 개인믹스를 설정하면 기기에 저장이 되는데 이걸 불러올지 새로운 커스텀 믹스를 설정할지 알려주는 메뉴라고 보시면 되요.

기존 사용자들은 Load from device 처음사용하거나 새로운 믹스를 사용할 분들은 New monitor Mix를 누르시라!

자! 다음은

아래의 사진 상단에보면 있는

Device SettingOutput Routing

에 대해서 아라보자!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Device Setting부터 설명해드릴게요.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Sample Rate는 말 그대로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샘플레이트를 결정하는 탭이에요. 이 부분은 사용하는 컴퓨터와 환경에 맞게 조정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만약 ADAT으로 채널 확장을 했다면, 샘플 레이트도 매칭 해주는 부분은 절대 잊지마시구요

사용 가능한 샘플레이트는 44.1kHz, 48kHz, 88.2kHz, 96kHz, 176.4kHz, 192kHz 정도로 쓰시면되요.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클락 소스는 연결된 인터페이스가 어디서 부터 클럭 정보를 받아올지 설정해주는 탭.

단독으로 사용 중이라면 내부 클럭인 internal을 사용하면 되고,

외부 디지털 디바이스와 혼용해서 사용하는 경우 S/PDIF과 ADAT을 지정하여 사용하시면 되요.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모니터 컨트롤은 오디오 인터페이스 상의 전면 노브가 어디 채널에 영향을 미칠지 결정하는 노브에요.

1-2 로 설정이 되어 있으면, 1-2번 아웃풋에만 영향을 주고, All로 설정되어 있으면 인터페이스 상의 모든 아웃풋에 영향을 줘요

예를 들어 1-2번 뿐만 아니라 3-4번 아웃풋에도 스피커가 연결되어 있을 때, 모든 스피커의 볼륨을 한번에 조절하고 싶으면 All로 선택하시면 되요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위의 사진은 아날로그 인풋의 나타내주는 창이에요.

우리는 Clarett 2Pre, 즉 2개의 인풋이 있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 중이기 때문에 2개의 채널만 표시되요.

참고로 Clarett, Scarlett 제품은 하드웨어로 게인을 조정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에서 조절이 불가능 해요

이 화면에서 AIR는 끄고 킬 수 있는 기능인데, on으로 되었을 때는 포커스라이트 ISA 프리앰프와 같은 질감으로 바꿔줘요.

참고로 ISA 프리앰프는 트랜스포머 기반의 고가의 프리앰프로서, 세상에 10대 밖에 제작되지 않은 오리지널 포커스라이트 포르테 콘솔의 마이크 프리앰프를 복각한 제품.어쿠스틱 기타, 드럼 심벌, 아니면 여성 보컬 등의 소리를 레코딩 할 때 사용하면 좋은 옵션으로, 사용자가 여러 실험을 통해 어울리는 소리를 사용하면 좋을 듯.

또 많은 분들이 LINE/INST 의 차이를 몰라 해매는 경향이 있는데, 정리해드릴게요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Line Level은 모든 악기, 장비가 가장 잘 작동하는 볼륨 값이라고 생각하면 되요.

하지만 각종 악기의 출력은 낮기 때문에, 인터페이스가 잘 인식하기 위해서는 inst 레벨의 신호를 증폭하여 라인 레벨로 끌어올린다고 보시면 되요.

LINE

마이크, 프리앰프, 라인-레벨의 악기 입력, 이펙터 등등, Line-level 의 출력을 가진 장비를 연결하였을 때 사용

마이크를 연결한다면 그냥 Line으로 두고 사용하면 됨

INST

어쿠스틱 기타, 일렉기타, 베이스 기타 등 각종 악기에서 Inst 레벨의 출력의 악기를 연결할 때 사용

이번엔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왼쪽은 아웃풋을 설정하는 화면이에요

Monitor Outputs 1-2은 인터페이스의 전면 노브가 적용되는 출력이고, Line Outputs 3-4는 소프트웨어와 전면 노브 둘 다 적용되는 볼륨!

앞서 말했던 Monitor Controls 에서 All로 설정하면 노브로 1-2, 3-4 출력이 동시에 조절 되요.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커스텀 믹스 옵션을 사용하면 오른쪽의 화면을 통해 내가 듣고자 하는 인풋을 선택하여 나만의 믹스를 만들 수 있어요!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이런식으로 아날로그 인풋, S/PDIF, ADAT 마음대로 정하고, 볼륨값과 Pan 값을 정할 수 있음.

(물론 커스텀 믹스가 필요 없다면 주어진 옵션 중에서 고르면 됨)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일반적인 큐베이스나 로직 같은 DAW를 사용하라 예정이면, Playback (DAW) 에서 1-2 트랙은 선택하면 되요.

그리고 마지막 기능은 잘 이용하면 정말 편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기능이에요

포커스라이트 컨트롤을 아이폰/아이패드로 원격 제어가 가능해요

샘플레이트, 클럭 소스 같은 기능은 제외하고, 레코딩과 모니터링 때 필요한 대부분의 설정을 조작할 수 있는데 셋업도 굉장히 심플.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컴퓨터와 같은 와이파이존에만 있으면 자동으로 인식하지요!

포커스라이트 컨트롤 사용법 - pokeoseulaiteu keonteulol sayongbeob

맨 아래 보이는 Reject 버튼을 누르면 연결되어 있는 아이폰/아이패드 연결을 강퇴해서 엄한 연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음요.

마지막으로 Focusrite 제품을 테스트 해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지도의 사운드캣으로 오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