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 스 연봉 - peulogeulaemeo seu yeonbong

프로그래머 스 연봉 - peulogeulaemeo seu yeonbong
▲네이버(사진출처=연합뉴스)

[데일리굿뉴스] 박건도 수습기자 = 개발자 절반 이상이 실제로는 연봉 4천만원도 받지 못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개발자 커리어 플랫폼 '프로그래머스' 운영사 그렙은 5일 '2022 프로그래머스 개발자 설문조사 리포트'를 공개하고, 연소득 질문에 참여한 개발자의 43.5%만이 4천만원 이상을 받는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그렙은 프로그래머스를 이용하는 개발자 5362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3~31일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렙은 개발자 영입 전쟁이 치열해지면서 처우 개선과 보너스, 스톡옵션 제공이 화제가 됐지만, 모든 개발자가 고액의 연봉을 받지는 않는다고 분석했다. 개발자들은 회사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조건(중복 응답)으로 연소득·인센티브·스톡옵션 같은 금전적 보상(60.3%)을 꼽았다. 동료(55.1%)와 개발 스택·환경(47.7%)이 뒤를 이었다.

코로나19로 라인플러스, 직방 같은 많은 정보기술(IT) 기업이 연이어 재택근무 체제를 선언한 것과 달리 개발자의 49.5%는 회사로 출근한다고 응답했다. 재택근무와 출근을 병행하는 개발자는 38.3%, 재택근무만 하는 개발자는 12.2%였다.

가장 많은 개발자가 근무하는 '한국의 실리콘밸리'는 서울시 강남구(25.3%)로 나타났다. 네이버, 엔씨소프트 같은 IT 기업이 다수 들어선 경기도 성남시(14.5%)가 2위를 차지했다. 강남구 옆에 위치한 서초구(6%)가 뒤를 이었다.

개발자 커리어 플랫폼 프로그래머스 '2022 개발자 설문조사 리포트' 발행

프로그래머 스 연봉 - peulogeulaemeo seu yeonbong

[한경잡앤조이=강홍민 기자] ‘프로그래머스' 운영사 그렙이 국내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한 ‘2022 프로그래머스 개발자 설문조사 리포트’를 공개했다.

5일 프로그래머스 홈페이지에 공개된 리포트는 프로그래머스를 이용하는 개발자 5,362명을 대상으로 2021년 12월 3일부터 31일간 실시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발행됐다. 개발자 설문조사 리포트는 국내 개발자들의 생각을 공유하는 목적으로 매년 상반기에 발행한다. 이번 리포트에는 △ 근무 지역 및 형태 △ 평균 연소득 △ 자주 사용하는 툴 △ 배우고 싶은 프로그래밍 언어 △이직과 구직 시 중요한 점 △채용 정보와 개발 트렌드를 얻는 곳 등 총 35문항을 수록했다.

프로그래머스의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로 라인 플러스, 직방 등 많은 IT 기업들이 연이어 재택근무 체제를 선언한 것과 달리, 개발자의 49.5% 는 회사로 출근한다고 응답했다. 재택근무와 출근을 병행하는 개발자는 38.3%, 재택근무만 하는 개발자가 12.2%로 총 응답자 중 87.8%의 개발자는 회사로 출근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래머 스 연봉 - peulogeulaemeo seu yeonbong

가장 많은 개발자가 근무하는 한국의 실리콘밸리는 ‘서울시 강남구(25.3%)’로 나타났으며, 네이버, 엔씨소프트 등 IT 기업이 다수 포진되어 있는 ‘경기도 성남시(14.5%)’가 2위, 강남구 옆에 위치한 ‘서초구(6%)’가 3위를 기록했다. 프로그래머스는 몇몇 기업들이 개발자 채용을 위해 강남으로 소재지를 옮기는 것이 개발자 선호지역 특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분석했다.

연소득 관련 질문에서는 설문에 참여한 개발자의 43.5% 만이 4천만 원 이상을 받는다고 답했다. 개발자 영입 전쟁이 치열해지면서 처우개선과 사이닝 보너스, 스톡옵션 제공이 연일 화제가 되고 있으나 모든 개발자가 고액의 연봉을 받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발자들이 회사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중복응답)은 연소득/인센티브/스톡옵션 등의 금전적 보상(60.3%)이었으며, 이어 동료(55.1%)와 개발 스택/환경(47.7%)을 고려한다고 답했다. 개발자들이 선택한 회사를 선택하는 기준 TOP3는 매년 변하지 않는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개발자들이 가장 자주 사용하는 에디터(최대 2개 선택)는 Visual Studio Code(56.3%), IntelliJ(29.6%), Eclipse(17.7%) 순이었다. Visual Studio Code는 2020년 46.5%와 비교해 10% 가까이 사용량이 증가했다. 또한 새롭게 배우고 싶거나 배울 필요성을 느끼는 언어는 Kotlin(15.5%), Go(15.3%), TypeScript(12.5) 순이었다. 2020년 1위를 차지한 Python의 경우 4위로 하락했는데, 이미 많은 개발자들이 Python에 익숙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매일 밤샘 근무를 하는 개발자 이미지와 달리 34.7% 개발자는 야근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 또는 거의 매일 높은 강도로 야근하는 개발자는 13%로 응답자 중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했다.

개발자들이 채용 정보를 얻기 위해 가장 많이 방문하는 곳(중복응답)은 각 기업의 채용 페이지(44.0%)였다. 다음은 개발자 채용 정보만을 다루는 프로그래머스(42.1%)였으며, 일반 채용 플랫폼에서는 원티드(41.0%)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확영 그렙 대표는 “해외에도 다양한 개발자 설문조사 리포트가 발행되지만 국내와 근무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우리 주변의 개발자들의 생각을 보여주지는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라며, “프로그래머스는 설문조사 리포트를 통해 많은 개발자들이 궁금증을 해소하고 공감대를 얻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매년 상반기 설문조사 리포트를 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 개발 20년차 입니다. 님이 걸어왔던길을 과거에 수도 없이 반복되면서 걸어 왔네요.
    선배로써 조언을 드린다면 백엔드 개발은 중요한 부분이고 경쟁력있는 부분이니 계속하시고
    언어는 자바& 리엑트 잘 하신겁니다. 넓힐수 있다면 앵귤러나 뷰도 함께 공부해 주시고
    익스프레스 프레임워크도 공부, 자바의 스프링부분 여러부분도 함께 공부해 주셔서 자기 역량을 넓혀 주시기 바랍니다.
    연봉협상은 보통 악덕기업주들은 잘 안합니다. 내년에 해 주겠다고 말한하고 계속해서 같은 액수만 지급합니다.
    저도 4년째 통 소식이 없어 이직했습니다. 이직회사에 적응하는문제 , 텃세 문제도 있긴한데 좀더 넓혀
    개발자의 세상을 보시기 바랍니다.
    보통 연봉 3년차는 무엇을 개발했느냐에 따라 다르나 4500 내지 5000 정도는 갑니다. 3500은 학원에서 연습하고 바로 취업한 연습생들 연봉이구요.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귀하의 앞날에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021-04-29 수정

  • 커머스 개발자고 첫 연봉 3800, 2년차 협상때 4500 제안받았습니다.

    2022-08-16 작성

  • SI중소기업 2020년 7월에 입사해 3000으로 첫 개발자 커리어를 시작했고, 2022년 첫 연봉 인상을 3700에 했습니다. 상여로 월급 100 연 2회 나오고, 월 10만원씩 복지비 있고, 명절 떡값에 중간 중간 용돈(?)까지 포함하면 올해 영끌 4500~4600 될 것 같네요.

    2022-05-17 작성

  • 우리나라 개발자 진짜 개 많구나

    2021-11-19 작성

  • 기사 있으시다는 가정하에,성과금 다 포함해서 1년차 2700 박봉, 2년차 3700(이직), 3년차 곧 되는데 4300예상, 4년차는 먼저 시작한 친구들 보니 요즘 올랐다고 5천이하는 호구 짓 그후 년차는 연봉정체기.., 프리랜서 자리 넘침 초상 550 중급 650 ㄱㄱㄱ. 앞으로 IT는 요즘 세대들이 싫어하는 반복작업 노가다라 구인난 가속될거라 돈안주면 이직하면 된다고 하네요.

    2021-11-07 수정

  • 저는 이번 8월에 3년을 채우고 4년차가되었습니다.
    전문대 졸업 후 학점은행으로 4년제 학사취득하고
    6개월과정 학원다니며 정보처리기사를 땄습니다.
    첫해2800 로 시작하여3100 3500
    그리고 이번부터 4200 을 받고있습니다.
    대기업 협력사에서 일하고있습니다.
    좋은 중소기업을 만나고
    자기어필을 충분히 꾸준히 하신다면 연봉이 오르게되어있습니다.
    그게 아니면 무조건 공부틈틈히하며 이직추천드립니다.

    2021-08-17 수정

  • 솔직히 밑에 20년차분들은 걸러야된다고보고요
    시장의 흐름이 바뀌었고, 프리랜서 단가도 높아졌습니다.

    백앤드라면 해당 기술에 대해서 얼마나 딥하게 아는지에 따라서 4천까지도 기대 해볼 수 있는데,

    회사에서는 사실 주는데로 보통 받는회사가 대부분이죠..저희도 대기업인데 진급하지 않는이상 2~3퍼입니다.

    전 7년차 자바&풀스텍 개발자고 5천받고 있습니다 ㅎㅎㅎㅎ

    2021-08-15 작성

    여기까지 새 답변입니다.

  • 전 3년차가 안되었지만 참고하시라고 남깁니다
    첫직장 2700-3000-3100 (1년8개월)
    두번째직장 3600 (2달째)
    총경력은 2년안되구요

    이직 시 직전연봉에 비해 운이좋아 많이 올랐습니다
    자기역랑따라 받는건 물론 맞는 말인데
    원하는 만큼의 돈을 주는 회사를 가라는 말도 맞네요

    2021-05-23 작성

  • 중소SI기업의 경우 입사시 최초 연봉이 얼마냐 따라 3000~3200 사이로 갈릴듯 하네요 2800 초봉 시작이라고 치면 만으로 1년 3000 2년 3200 3년(주임) 3500 4년 3700 5년(대리) 4000이 무난한 테이블이고 초봉따라 -200정도까진 평균인데 이거보다 300~500정도 차이나면 2~3년차부턴 이직하는게 나을거에요 일단 어느회사든 초급(정처기 취득 후 5년 이내 미취득시 무한초급) 최대 연봉 테이블은 4천 이상 못줘요 한달만 로스나도 회사에서 떼가는게 거진 없거든요 참고로 SM은 기본 단가가 SI에 비해 50정도 낮기때문에 초봉은 높게시작하더라도 년차별 상승률이 개차반입니다.

    2021-05-09 수정

  • 저는 직원 채용 면접 및 계약에도 일부 관여해본 사람으로 주관적인 답변을 드립니다.
    1. 만2년을 넘기고 2번째 연봉협상이라 하셨으니 서울 중소기업 기준 3000~3600만원 사이정도 일거같습니다.(회사 규모가 괜찮다면 요즘 개발자 몸값이 튀는 분위기라 4000이상도 무난할 듯합니다.)
    지방은 -300~-600만원 정도 될거같구요.

    2. 사원일때는 회사에 따라 7~15% 정도 인상이었구요. 만3년 넘긴 대리로 올라갈 때 팍 튀어주더군요. 차/부장급이 되면 1~2% 정도 인상하는 회사도 많습니다.

    3. 추가적으로 랭기지를 공부하는 건 너무너무 바람직하고 칭찬해드리고 싶습니다. 틀림없이 차후에 큰 무기가 되어줄 것입니다.

    4. 원하는만큼 연봉 협상이 안되었을 경우엔 개인마다 의견이 다르겠지만 제가 지나온 시간을 돌이켜봤을 때 이직이 더 좋은 결과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직하겠다했을 때 회사에서 붙잡고 연봉을 20%이상 올려준적이 있습니다.
    지금은 한 회사를 10년 채웠지만 연봉때문에 먼저 이직한 동료들은 저랑 격차가 벌어지고 있네요.
    답은 없겠지만 한번쯤은 이직을 고려해보시는것도 추천드립니다.

    2021-05-07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