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nit 확인 - noteubug nit hwag-in

노트북 nit 확인 - noteubug nit hwag-in

노트북에 장착된 모니터 패널의 모델과 패널 정보 확인은 쉽지 않은데요.

이럴때는 노트북에 장착되어있는 패널 모델을 확인 후 모델을 검색하여 노트북 모니터 패널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번에는 노트북 모니터 패널 정보 확인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노트북 nit 확인 - noteubug nit hwag-in

▲ 우선 노트북 모니터 패널 모델명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AIDA64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하단에 있는 링크를 통하여 AIDA64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하신 후 AIDA64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후 실행합니다.

(무설치 버전인 ZIP 버전을 추천드립니다.)

AIDA64 다운로드 페이지 바로가기

노트북 nit 확인 - noteubug nit hwag-in

▲ AIDA64 실행 후 좌측 메뉴에서 [디스플레이 - 모니터] 탭을 선택 후 [모델]을 확인합니다.

노트북 nit 확인 - noteubug nit hwag-in

▲ 모니터 모델명 확인 후 하단에 있는 링크를 통하여 Panelook 사이트로 이동 후 AIDA64에서 확인한 모니터 모델명을 검색합니다.

패널정보 확인 사이트(Panelook) 바로가기

노트북 nit 확인 - noteubug nit hwag-in

▲ 검색된 패널 모델 정보를 상세하게 확인하기 위해서 검색결과를 클릭합니다.

노트북 nit 확인 - noteubug nit hwag-in

▲ 그럼 위와 같이 노트북 패널 정보를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모델의 패널의 제조사는 PANDA사 이며, 밝기는 250니트로 확인 됩니다.

이동이 잦은 노트북의 특성때문에 액정 파손에 대해 항상 대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가교체 및 사설업체 가격흥정을 목적으로 파손 전에 미리 액정 모델명을 알아내서 기록해 두면 좋은데

선구자 분들께서 인터넷에 정보를 올려 주셨다면 감사하게 받아 먹으면 되고, 인터넷에 정보가 없을 때는 모델명 하나 알아내기 위해 노트북 베젤을 뜯는 건 과한 행동이지 싶습니다.

AIDA64 프로그램을 동원하면 베젤 뜯는 것보다는 수월하게 힌트를 발견할 수 있더군요.

https://www.aida64.com/downloads

Everlast 라는 프로그램이 아이다로 바뀌었다고 하는데, 위 링크에서 트라이얼 포터블 버전으로 받으면 한두번 쓰기엔 무리 없을 겁니다.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 모니터”로 진입하니까 정보들이 나옵니다. 제조자 부분이 저한테는 쓸모가 있었습니다.

노트북 nit 확인 - noteubug nit hwag-in

구글에서 xcyh3 라고 쳐보니 흔적들이 나오더군요.

좀 더 기웃거려보니 Manufacturer는 LG, 파트넘버는 LP116WH7 SP B3 라고 나오네요. 아이다64에서 116WH7라고 나온 것과 대충 맞아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액정스펙의 성지 panelook.com 에서 확인해 봤더니 파생모델들까지 검색됩니다. 브라켓 위치, 패널스펙 등이 세세하게 다르니까 눈치껏 파악해서 본인 노트북 액정과 일치하는 패널 모델명을 기록해 두면 됩니다.

끝.

※ 참고할만한 글

 - 노트북 액정 자가교체 후기(Acer ES1-131, TN패널 → LG IPS)

노트북 구매하기 위해서 사양을 살펴보다 보면 익숙하지 않은 용어에 많이들 어려워 합니다. 생소한 컴퓨터 전문 용어 중에서, 노트북 구매 시 알아둬야 할, 니트(ni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화면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

Nit는 화면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단어 Nit는 '빛이난다'라는 뜻의 그리스어인 Nitere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하지만 Nit 단위는 사실 국제적으로 협의되고 인정된 공식적인 측정 단위가 아닙니다. 화면 밝기를 나타내는 공식적인 단위는 [cd/m2] 이며, 제곱미터 당 칸델라 라고 읽습니다. 참고로 1 nit = 1 cd/m2 입니다. 

1 nit 는 어느 정도의 빛의 밝기일까요? 

1 nit 는 1 cd/m2 이라고 했었죠. 이때 칸델라는 라틴어 촛불을 뜻하는 데요,  따라서 1 칸델라(1cd) 는 촛불 하나 만큼의 밝기이고 1 cd/m2는 1m x 1m 공간에 촛불하나가 비추는 빛의 양입니다. 즉, 1 nit 도 1m x 1m 공간에서 1개의 촛불이 비추는 빛의 양입니다. 

간단히 생각해서 1 nit 라고 하면, 1m 정사각형 방안에 촛불 하나가 켜져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200 nit 라고 하면 1m 정사각형 방안에 촛불 200개가 켜져 있을 때 나오는 빛의 양입니다. 

그럼 어느정도의 Nit 를 가진 디스플레이가 좋은가?

일반적으로 200-250 nit 사이의 디스플레이인 경우 실내에서 사용하기에 무리가 없습니다. 하지만 야외에서 사용하거나 조명 빛이 밝은 사무실에서 주로 노트북을 사용한다고 하면 300 nit 이상의 노트북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