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최대 램 - noteubug choedae laem

램 업그레이드 4, 8, 16, 32 기가 - 컴퓨터/노트북 메모리카드 램 부족 확인 추가

노트북 최대 램 - noteubug choedae laem
자유2020. 12. 13. 8:00

|서두

컴퓨터 메모리를 구매해서 장착하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첫째,어떤 메모리카드를 구매해야 하는지 둘째, 감으로 아닌 어디를 봐야 컴퓨터 메모리 부족한지 아니면 여전히 여유로운지 확실히 알아야 행동을 바로 옮길 수 있죠. 이 글을 끝까지 보시면 바로 행동으로 옮길 것입니다.

컴퓨터에서 중요한 부품 중 한가지인 메모리는

메모리(memory) = 램(ram) = 휘발성 메모리 = 주기억장치

이는 다 같은 말입니다.

메모리는 CPU와 저장장치(hdd, ssd) 사이에서 중간 다리 역활을 합니다.

cpu는 연산을 담당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직접 저장장치에게 요청하면 속도가 엄청 느려지게 됩니다. 빗대로 말하면 슈퍼맨(cpu)은 날아 가는데 헐크(저장장치)는 최대한 빨리 뛰어 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래서 중간 역할하는 메모리는 컴퓨터가 켜지면 사용자가 평소 자주 사용하는 자료를 저장장치에게 미리 자료를 요청해 준비해 놓으며, cpu가 램에게 필요한 자료를 요청하면 즉각적으로 자료를 보내줍니다.

노트북 최대 램 - noteubug choedae laem

단지 이해를 위해 cpu, 램, 저장장치 3개 부품의 속도 체감을 각각 캐릭터를 넣어봤어요. 속도로 보면 슈퍼맨 → 아이언 → 헐크로 말이죠 ^^

cpu가 저장장치(hdd, ssh)에게 직접 데이터를 요청하면 속도는 엄청 느리게 됩니다. 그래서 그나마 속도가 빠른 램이 중간 다리 역활로 미리 자료를 받아 놓아서 cpu가 일하는데 불편함 없게 해줍니다.

노트북 최대 램 - noteubug choedae laem

그런데 만약 컴퓨터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더 많이 사용하고, cpu도 더 많은 데이터를 램에게 자료를 요청합니다. 이때 램 공간이 70% 정도 이상 차지하면 그때부터 램은 저장장치(hdd, ssd)에게 일부 공간을 빌려서 사용합니다. 그때부터 컴퓨터 속도는 조금씩 느려지게 됩니다. 윈도우 작업과리자 창에서 메모리 정보를 보면 램 공간 현재 사용량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업그레이드 여부에 대해 알수 있답니다.

|메모리 사용량 상태 확인 후 램 구입결정 하기

먼저 내 컴퓨터 램 확인을 해야겠죠 ?

몇 기가바이트(GB) 가 설치되었는지 쉽게 알아보죠.

바탕화면에서 컴퓨터 아이코 오늘쪽 마우스 클릭 → 속성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새로운 창이 뜨는데, 여기서 컴퓨터 기본정보를 볼 수 있어요. 설치된 메모리가 4기가 바이트로 되어 있는 것을 본 컴퓨터 램 용량을 확인했어요.

이제는Ctrl + Shift + ESC 를 함께 누르면 윈도우 작업관리자가 아래처럼 뜹니다.

노트북 최대 램 - noteubug choedae laem

작업관리자 창 → 성능 탭 클릭하세요.

스마트폰으로 이 글을 본다면 위 화면이 작게 보이겠네요. 그럴 때는 이미지를 한번 더 터치해 크게 한번 본 후 글을 읽어 주세요.

위 화면은 컴퓨터를 켰을 때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①번은 현재 사용량을 나타탭니다. 현재 사용량은 1.98GB입니다.

②번은 내컴퓨터에 설치된 메모리는 4.00GB 바이트 이지만, 실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는 3.877GB 입니다.(나머지는 시스템에서 사용해요)

③번은 실제 메모리 52% 사용중이고,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70% 넘으면 램이 저정장치에게 공간을 빌린다고 했죠?

자~ 그러면 몇개 프로그램을 실행하겠습니다.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 탭 5개, 크롬 브라우저 탭 5개, 탐색기1개, 포토샵 사진 10장(40M) 이렇게 실행했습니다. 다음 화면을 보죠.

노트북 최대 램 - noteubug choedae laem

빨간 박스에 커밋을 먼저 봅니다.

(Committed, 커밋됨 - 윈도우10)

커밋 = 사용중인 메모리 사이즈 + 저장장치에게 빌린 사이즈

현재 커밋(MB) : 5396MB, 5.396GB 사용중입니다.

본 노트북에 설치된 메모리는 4GB 인데 현재 램으로 사용중인 메모리 사이즈는 5.396GB 입니다. 사용하는 메모리는 기존 설치한 메모리 보다 대략 1.396GB 넘어으니까 확실히 노트북 메모리 추가 해야겠다는 것을 알았네요. 그런데 하단에 실제 메모리는 74% 유지하고 있죠. 그렇지만 이것을 모르면 '메모리 74% 사용 중여서 여전히 26% 남았구나' 라고 착각할 수 있답니다. 반드시 커밋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 컴퓨터가 램 4기가를 사용중이니까 8기가 추가 하면 되고요. 만약 램 8기가 사용자는 램 16기가로 업그레이드 하면 됩니다.

노트북 최대 램 - noteubug choedae laem

노트북 최대 램 - noteubug choedae laem

일반 소비자가 사용하는 컴퓨터 메모리카드에서 데스크탑과 노트북 2종류로 나눌 수 있어요. 메모리 카드 사이즈에서 데스크탑이 노트북 보다 2배 차이 나는점을 참고하세요.

데스크탑 안에 메모리 슬롯이 보통 4개 혹은 2개 있습니다. 노트북 메모리 슬롯은 보통 1~2개 있죠. 메인보드 회사마다 최대 램 사용량이 있습니다. 그 이상 장착하게 되면 인식이 안되죠. 기존에 장착된 램 용량에서 한단계~세단계 위로까지는 대부분 업그레이드 가능한데요. 더 확실히 하기 위해서 컴퓨터를 사면 메인보드 메뉴얼에 정보가 있는데요. 모르면 샀던 곳에 문의해서 메인보드 슬롯 한개당 메모리카드 몇기가 까지 장착할 수 있는지 알아봐야 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램 전송 속도가 발전하여 램 모델이 DDR → DDR2 → DDR3 → DDR4 이렇게 개발되었습니다. 본인 컴퓨터에 장착한 램 버전은 DDR3 아니면 DDR4 일거에요. 최신은 DDR4 입니다.

마찬가지로 전송 속도가 올라가는 것 처럼 램 용량도 자연히 올라가서 4기가, 8기가, 16기가, 32기가 까지 있습니다.

| cpu-z 프로그램으로 내 컴퓨터 메모리 규격 보기

메모리카드가 어떤 모델인지 데스크탑은 뚜껑 열어 보면 바로 알수 있는데 노트북 램 확인은 쉽지 않죠. 그래서 뚜껑을 열지 않고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은 cpu-z 프로그램으로 알수 있답니다.

위에 가서 중간 페이지 정도에 cpu-z 다운로드, 설치, 보는방법이 있습니다.

노트북 최대 램 - noteubug choedae laem

cpu-z 프로그램 설치 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죠. Memory 탭 클릭해요.

- Type : DDR3

- Size : 4 GB

- Channel : Dual

; 채널(Channel) 이란 말은 통신 방식을 말하는데 보통 Dual을 사용합니다. 슬롯에 램을 2개 장착해서 듀얼로 통신하면 더 빠르게 램을 사용할 수 있다는 말이에요. 본 노트북은 2GB 2개 장착되어 있으니 듀얼(Dual) 이라고 뜹니다.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메모리는 대부분 듀얼 채널를 사용하며, 메모리 슬롯 1개로 사용하는 것보다 2개 짝을 이뤄 장착하는 것이 더 좋다는 것이죠. 예를 들어 램 16기가 사용을 원한다면 램 8기가 2개를 장착하는게 좋다는 것이죠.

본 노트북의 메인보드 램 슬롯 지원하는 용량을 확인해 보니 한 슬롯당 4기가 지원합니다. 그래서 슬롯이 2개이니 4기가 램 2개 넣어서 8기가 까지 올릴 수 있습니다.

슬롯마다 메모리 정보를 보죠.

노트북 최대 램 - noteubug choedae laem

왼쪽에 Slot 1, 2, 3, 4 이렇게 있는데요. 2번과 4번은 빈 공간으로 나올거에요. 하지만 모두 네개 슬롯에 다 램이 있다면 정보는 다 나오겠죠.

메모리 모델은 DDR3, PC3-12800 Samsung(삼성) 제품이네요.

여기서 PC3 의미는 DDR3을, 12800은 전송속도를 말합니다. 이 숫자가 높으면 더 빠르다는 의미입니다.

Slot 3번을 클릭해도

당연히 이것도 DDR3, PC3-12800 Samsung(삼성) 제품입니다.

만약 사용하는 노트북의 램 모델은 삼성 DDR3 버전이면 DDR4를 구매하면 안됩니다. DDR ~ DDR4는 서로 규격이 달라서 그 메인보드에 맞는 규격을 사용해야 합니다.

같은 DDR, 같은 전송속도, 같은 브랜드, 용량을 맞춰서 구매하면 됩니다.

|메모리카드 라벨에서 모델 보는 방법

노트북 최대 램 - noteubug choedae laem

위 메모리카드는 노트북용인데 좀 오래됐지만 보는 방법은 똑같고, 여러 숫자가 있지만 봐야할 곳은 간단합니다.

빨간박스 부분에 모델을 확인해 보죠.

삼성이고 2GB이네요.

PC3은 DDR3을 말합니다.

10600S에서 10600는 전송속도,

S는 노트북용을 말하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외 예를들어 10600U 처럼 U가 있으면 데스크탑용 입니다.

마지막으로 PC3에 또는 DDR3 뒤에 L이 있으면 전기를 적게 먹는 저전력 메모리라는 뜻이다.

예) PC3L, DDR3L.

초록색 부분은

1044는 2010년도 44주째에 만들어진 제품이라는 뜻입니다.

DDR 버전끼리 홈 위치가 다르니 본인 컴퓨터에 장착된 DDR버전과 회사도 같은 것으로 하면 됩니다.

자~ 다시한번 정리하자면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사용에서

많은 프로그램을 실행해 사용할 때 느려지는 경우,

1. 윈도우 작업관리자 창에서 커밋 용량 확인합니다.

커밋 용량이 장착한 용량보다 초과했고, 실제 메모리 사용량 70% 넘었다면 컴퓨터 메모리 부족 입니다.

2. 본인 컴퓨터 메모리카드 제조사, DDR버전, 전송속도를 확인합니다.

3. 컴퓨터 메이보드 메뉴얼에 확인해서 램 슬롯 한개당 지원하는 용량을 알아냅니다.

4. 메모리카드 구매합니다.

|메모리카드 구매처

노트북 최대 램 - noteubug choedae laem

데스트탑용 메모리 더 보기

- 대부분 사용하는 메모리는 삼성 DDR4, DDR3

- 찾는 방법 예) DDR4 8GB PC4-21300

노트북 최대 램 - noteubug choedae laem

노트북용 램카드 정보 더 보기

| 여담

데스크탑은 램 업드레이드 하기 간단합니다. 메모리만 잘 사면 되요.

그런데 노트북 램 확인할 때 직접 장착할려면 일단 앏은 드라이버가 있어야 해요. 뚜껑을 열어야 하니깐요. 자신이 없는 경우 가까운 수리센터에 가서 돈 주고 하는게 마음 편합니다. 물론 드라이버 비싸지 않으니 컴퓨터 까는(?) 재미로 시도해 보는 것도 좋지요.

윈도우 작업관리자 창에서 커밋 용량이 적고, 실제 메모리 사용량도 50~70% 정도 유지하고 있다면 메모리는 문제 없습니다. 만약 본인의 컴퓨터 저장장치가 하디디스크 드라이브(HDD)로 사용하고 있으면 오래된 컴퓨터 인데요. 그러면 저장장치 SDD로 바꾸세요. 그러면 속도 체감 장난 아닙니다.

저장장치 SSD와 HDD 차이점

|여담 2

2020년10월 초에 세계 최초로 SK하이닉스에서 DDR5 나왔고 DDR4 보다 2배 빠르고, 전력소모 20% 줄였다고 합니다. 저는 대기업 팬은 아니지만 한국이 이런 기술을 내 놓으면 기분이 짱 좋더라구요 ^^

대중화 대려면 2022년 정도로 보고 있어요. 앞에서 설명했지만 DDR마다 홈 위치가 달라서 메인보드 모델을 DDR5에 맞게 제품을 새로 만들어야 한다는 말이죠. CPU도 마찬가지입니다. 삼성도 내년 7월정도에 DDR5 모델을 양산할 계획이라도 하네요.

한국 언제나 화이팅 해요 !!

노트북 최대 램 - noteubug choedae laem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 받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