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별과제 팀원 평가 - jobyeolgwaje tim-won pyeong-ga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기능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연합인증

논문 상세정보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 for peer evaluation in group projects based on social interdependence theory. A mixed method involving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was used in this study. In the qualitative study, both the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ir cooperative learning experiences. Data from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analyzed based on 5 element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critical incidents' were extracted from students' own voices that would serve as specific rating criteria in the scale. Once the 'critical incident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scale, validation from 3 independent experts was conducted. In the quantitative study, correlations with relevant variabl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criteria-referenced validity. Findings suggest that the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 for peer evaluation in group projects can be used in various team-based learning contexts.

조별과제 팀원 평가 - jobyeolgwaje tim-won pyeong-ga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질적 연구를 시행한 후 해당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검사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양적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질적 연구의 장점인 깊이 있는 분석과 양적 연구의 장점인 결과의 일반화 모두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거두고자 하였다.

    협동학습과 관련된 소수의 질적 연구 또한 교실 상황에서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질적 연구를 시행한 후 해당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검사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양적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질적 연구의 장점인 깊이 있는 분석과 양적 연구의 장점인 결과의 일반화 모두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거두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조별 과제 동료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행동기준평정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별 과제 동료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행동기준평정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Johnson과 Johnson의 협동학습 5 가지 구성요소 모형을 기반으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조별 과제 상황에서 협동학습의 성공 및 실패에 관련 깊은 행동 또는 사건을 구체적으로 문항에 반영하여 동료평가를 실시하는 행동기준평정척도를 개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조별 과제 동료평가 평정척도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정리하여 문항개발에 사용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협동학습 평가 시 외국검사도구를 번안한 평가도구보다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별 과제 상황에서 협동학습의 성공 및 실패에 관련 깊은 행동 또는 사건을 구체적으로 문항에 반영하여 동료평가를 실시하는 행동기준평정척도를 개발하였다. 예컨대, 대학생들의 조별 과제수행 시 상당 부분이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질적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촉진적 상호작용범주를 온라인과 면대면으로 구분하여 문항을 개발하는 데 반영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질적 및 양적 연구 설계가 포함된 탐색적 혼합연구(exploratory mixed method design)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및 양적 연구 설계가 포함된 탐색적 혼합연구(exploratory mixed method design)를 진행하고자 한다. 탐색적 혼합연구에서는 연구주제에 대한 질적 연구를 먼저 수행하고 질적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Creswell, 2009).

  •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별 과제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무임승차, 사회적 태만 등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조별 과제 참여자 간의 동료평가를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별 과제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무임승차, 사회적 태만 등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조별 과제 참여자 간의 동료평가를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Johnson과 Johnson(2009)의 사회적 상호의존성 이론(social interdependence theory)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대학교육에 적합한 조별 과제 동료평가를 위한 행동기준평정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이론에 기반하여 조별 과제 동료평가를 위한 행동기준평정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이론에 기반하여 조별 과제 동료평가를 위한 행동기준평정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행동기준평정척도는 기존의 리커트 척도와 달리 조원평가 시 구체적인 사건 또는 행동을 기준으로 조원들의 역할 및 공헌도를 평가하기 때문에 보다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동료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hland et al.

제안 방법
  • 개발이 완료된 조별 과제 동료평가 행동기준평정척도는 3인의 교육심리학 교수를 대상으로 전문가협의회를 진행하여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면담 결과를 중심으로 하위 범주별로 ‘중요사건’을 도출하여 수준별로 제시한 결과가 Table 3에 제시되었다. 개발이 완료된 조별 과제 동료평가 행동기준평정척도는 3인의 교육심리학 교수를 대상으로 전문가협의회를 진행하여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전문가협의회 결과, 해당 척도의 하위 범주 및 범주 별 중요사건이 타당하게 구성되었음이 확인되었다.

  • 또한 일대일 면담이 종료된 후 면담내용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였다(Table 1, 2 참조).

    다양한 조별과제 경험이 면담에서 공유될 수 있도록 전공 및 성별을 고려하여 일대일 면담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또한 일대일 면담이 종료된 후 면담내용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였다(Table 1, 2 참조).

  • 또한 최종 선정된 문항을 사용하여 조별 과제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검사도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협동학습 전문가와 심리측정도구개발 전문가 3명을 대상으로 Focus Group Interview(FGI)를 실시한 후 하위영역의 조작적 정의와 세부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후 최종검사도구에 포함될 문항을 선정하였다. 또한 최종 선정된 문항을 사용하여 조별 과제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검사도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먼저 질적 연구에서는 조별 과제 경험이 다양한 대학생들을 표집하여 과거 조별 과제 경험과 관련하여 각각 1시간 정도에 걸쳐 일대일 및 집단 면담을 진행하였다.

    먼저 질적 연구에서는 조별 과제 경험이 다양한 대학생들을 표집하여 과거 조별 과제 경험과 관련하여 각각 1시간 정도에 걸쳐 일대일 및 집단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 때, 조별 과제 경험이 비교적 제한적인 1학년은 제외하였으며, 조별 과제 경험이 최소 10회 이상인 학생들을 모집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 면담을 통해 조별 과제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쳤던 요인들을 협동학습이론의 5요인을 중심으로 확인한 후 조별 과제 동료평가를 위한 행동기준평정척도의 하위영역을 설정하고 각 하위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을 개발하였다.

    면담 시 Johnson과 Johnson(2009)이 주장한 협동학습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에 기반한 반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하였다. 면담을 통해 조별 과제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쳤던 요인들을 협동학습이론의 5요인을 중심으로 확인한 후 조별 과제 동료평가를 위한 행동기준평정척도의 하위영역을 설정하고 각 하위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 때, 각 문항은 면담내용에서 묘사된 협동학습 성공 및 실패의 원인 중 구체적인 사건 또는 행동을 포함하도록 개발되었다.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조별 과제 동료평가 행동기준평정척도를 사용하여 범주별로 평정된 결과와 학생들이 지각한 조구성원의 과제 공헌도, 조별 과제 평가점수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조별 과제 동료평가 행동기준평정척도를 사용하여 범주별로 평정된 결과와 학생들이 지각한 조구성원의 과제 공헌도, 조별 과제 평가점수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54명 학생을 대상으로 조별과제 동료평가 행동기준평정척도를 적용한 후, 지각된 과제 공헌도, 조별 과제 평가점수 등을 수합하여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해당 강좌는 디자인 교양강좌로서 4주 간 학생들이 조를 구성하고 조별 과제를 자율적으로 수행한 후 결과물에 대해서 평가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54명 학생을 대상으로 조별과제 동료평가 행동기준평정척도를 적용한 후, 지각된 과제 공헌도, 조별 과제 평가점수 등을 수합하여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이 때, 조별 과제 경험이 비교적 제한적인 1학년은 제외하였으며, 조별 과제 경험이 최소 10회 이상인 학생들을 모집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먼저 질적 연구에서는 조별 과제 경험이 다양한 대학생들을 표집하여 과거 조별 과제 경험과 관련하여 각각 1시간 정도에 걸쳐 일대일 및 집단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 때, 조별 과제 경험이 비교적 제한적인 1학년은 제외하였으며, 조별 과제 경험이 최소 10회 이상인 학생들을 모집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시 Johnson과 Johnson(2009)이 주장한 협동학습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에 기반한 반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하였다.

  • 이를 바탕으로 협동학습 5요인에 기반한 척도의 하위범주를 구조화하였다.

    질적 연구에서는 1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인 및 집단 면담을 실시하여 행동기준평정척도에 사용한 ‘중요사건’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협동학습 5요인에 기반한 척도의 하위범주를 구조화하였다. 또한 개발된 범주 및 문항 내용은 교육심리학 교수 3인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 이를 위하여 Johnson과 Johnson(2009)의 사회적 상호의존성 이론(social interdependence theory)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대학교육에 적합한 조별 과제 동료평가를 위한 행동기준평정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

    이러한 연구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별 과제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무임승차, 사회적 태만 등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조별 과제 참여자 간의 동료평가를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Johnson과 Johnson(2009)의 사회적 상호의존성 이론(social interdependence theory)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대학교육에 적합한 조별 과제 동료평가를 위한 행동기준평정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

  • 이를 위하여 Johnson과 Johnson의 협동학습 5 가지 구성요소 모형을 기반으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별 과제 동료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행동기준평정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Johnson과 Johnson의 협동학습 5 가지 구성요소 모형을 기반으로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 이를 위해 먼저 협동학습 전문가와 심리측정도구개발 전문가 3명을 대상으로 Focus Group Interview(FGI)를 실시한 후 하위영역의 조작적 정의와 세부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후 최종검사도구에 포함될 문항을 선정하였다.

    이어서 진행된 양적연구에서는 질적연구과정을 통해 개발된 척도의 하위영역과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검사문항을 최종선정하는 절차를 거쳤다. 이를 위해 먼저 협동학습 전문가와 심리측정도구개발 전문가 3명을 대상으로 Focus Group Interview(FGI)를 실시한 후 하위영역의 조작적 정의와 세부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후 최종검사도구에 포함될 문항을 선정하였다. 또한 최종 선정된 문항을 사용하여 조별 과제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검사도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이를 위해 조별 과제를 수행하는 교양과목을 대상으로 행동기준평정척도를 적용하고 학생들이 지각한 과제 공헌도 및 조별 과제 평가점수를 활용한 준거관련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후 진행된 양적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타당도를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위해 조별 과제를 수행하는 교양과목을 대상으로 행동기준평정척도를 적용하고 학생들이 지각한 과제 공헌도 및 조별 과제 평가점수를 활용한 준거관련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행동기준평정척도 하위 범주 간 상관 분석 결과, 6개 하위 범주는 개인 책무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범주 간 중간 수준 이상의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 조별 과제 동료평가 행동기준평정척도 하위 범주별로 ‘중요사건’을 도출하기 위해 협동학습의 5가지 요인과 관련된 구체적인 조별 과제 경험을 정리하였다.

    조별 과제 동료평가 행동기준평정척도 하위 범주별로 ‘중요사건’을 도출하기 위해 협동학습의 5가지 요인과 관련된 구체적인 조별 과제 경험을 정리하였다.

  • 조별과제 동료평가 경험 관련 면담을 위해 면담자의 개인정보(예: 조별과제 경험 횟수), 5요인 중 가장 중요한 요인과 중요하지 않은 요인에 대한 의견, 성공 또는 실패한 조별 과제 경험 특성, 조별과제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 등에 관한 구조화된 면담 문항을 준비하였다.

    조별과제 동료평가 경험 관련 면담을 위해 면담자의 개인정보(예: 조별과제 경험 횟수), 5요인 중 가장 중요한 요인과 중요하지 않은 요인에 대한 의견, 성공 또는 실패한 조별 과제 경험 특성, 조별과제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 등에 관한 구조화된 면담 문항을 준비하였다.

  • 조별과제 동료평가 하위영역 확인 및 문항 개발을 위해 먼저 5회 이상의 조별과제 경험을 가진 학부생 1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을 진행하였다.

    조별과제 동료평가 하위영역 확인 및 문항 개발을 위해 먼저 5회 이상의 조별과제 경험을 가진 학부생 1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을 진행하였다. 다양한 조별과제 경험이 면담에서 공유될 수 있도록 전공 및 성별을 고려하여 일대일 면담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 조별과제 동료평가 행동기준평정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H 대학교 교양강좌 수강생 54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한 후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별과제 동료평가 행동기준평정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H 대학교 교양강좌 수강생 54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한 후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당 강좌는 디자인 교양강좌로서 4주 간 학생들이 조를 구성하고 조별 과제를 자율적으로 수행한 후 결과물에 대해서 평가받게 된다.

  • 질적 연구에서는 1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인 및 집단 면담을 실시하여 행동기준평정척도에 사용한 ‘중요사건’을 도출하였다.

    질적 연구에서는 1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인 및 집단 면담을 실시하여 행동기준평정척도에 사용한 ‘중요사건’을 도출하였다.

  • 촉진적 상호작용의 경우, 온라인 상호작용과 면대면 상호작용을 구분하여 조별 과제 경험을 살펴보았다.

    촉진적 상호작용의 경우, 온라인 상호작용과 면대면 상호작용을 구분하여 조별 과제 경험을 살펴보았다. 온라인 촉진적 상호작용의 경우, 성공적인 조별 과제 경험에서는 ‘오프라인 회의의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온라인을 적극 활용하였다’, ‘온라인 회의에서 의견 및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제시하였다’ 등의 경험이 공통적으로 보고되었다.

대상 데이터
  • 다양한 조별과제 경험이 면담에서 공유될 수 있도록 전공 및 성별을 고려하여 일대일 면담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조별과제 동료평가 하위영역 확인 및 문항 개발을 위해 먼저 5회 이상의 조별과제 경험을 가진 학부생 1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을 진행하였다. 다양한 조별과제 경험이 면담에서 공유될 수 있도록 전공 및 성별을 고려하여 일대일 면담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또한 일대일 면담이 종료된 후 면담내용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였다(Table 1, 2 참조).

  • 또한 개발된 범주 및 문항 내용은 교육심리학 교수 3인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협동학습 5요인에 기반한 척도의 하위범주를 구조화하였다. 또한 개발된 범주 및 문항 내용은 교육심리학 교수 3인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 조별 과제 결과물에 대한 담당교수의 조별 과제 평가점수(총점 100점)를 학기가 끝난 후 제공받아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별 과제 결과물에 대한 담당교수의 조별 과제 평가점수(총점 100점)를 학기가 끝난 후 제공받아 분석에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SPSS version 24.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SPSS version 24.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조구성원들의 과제 공헌도를 5점 척도로 평정한 후 조별 평균값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구성원들의 과제 공헌도를 5점 척도로 평정한 후 조별 평균값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면담 시 Johnson과 Johnson(2009)이 주장한 협동학습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에 기반한 반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하였다.

    이 때, 조별 과제 경험이 비교적 제한적인 1학년은 제외하였으며, 조별 과제 경험이 최소 10회 이상인 학생들을 모집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시 Johnson과 Johnson(2009)이 주장한 협동학습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에 기반한 반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하였다. 면담을 통해 조별 과제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쳤던 요인들을 협동학습이론의 5요인을 중심으로 확인한 후 조별 과제 동료평가를 위한 행동기준평정척도의 하위영역을 설정하고 각 하위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을 개발하였다.

성능/효과
  •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조별 과제 동료평가 평정척도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정리하여 문항개발에 사용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협동학습 평가 시 외국검사도구를 번안한 평가도구보다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조별 과제 동료평가 평정척도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정리하여 문항개발에 사용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협동학습 평가 시 외국검사도구를 번안한 평가도구보다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별 과제 상황에서 협동학습의 성공 및 실패에 관련 깊은 행동 또는 사건을 구체적으로 문항에 반영하여 동료평가를 실시하는 행동기준평정척도를 개발하였다.

  • 또한, 하위 범주와 조별 과제 평가점수 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개인책무성 범주가 조별 과제평가점수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행동기준평정척도가 조구성원의 조별 과제 공헌도를 잘 예측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하위 범주와 조별 과제 평가점수 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개인책무성 범주가 조별 과제평가점수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 또한 행동기준평정척도가 조별 과제 평가 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먼저 기술통계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행동기준평정척도 하위범주 중 개인책무성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M = 4.84),사회적 상호의존성(M = 4.80), 대인관계능력(M = 4.79), 면대면 촉진적 상호작용(M = 4.72), 온라인 촉진적 상호작용(M = 4.70),집단 문제해결과정(M = 4.67)순으로 나타났다(Table 4 참조).

    먼저 기술통계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행동기준평정척도 하위범주 중 개인책무성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M = 4.84),사회적 상호의존성(M = 4.80), 대인관계능력(M = 4.79), 면대면 촉진적 상호작용(M = 4.72), 온라인 촉진적 상호작용(M = 4.70),집단 문제해결과정(M = 4.67)순으로 나타났다(Table 4 참조).

  • 반면, 실패한 조별 과제 경험에서는 ‘조원들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여 가능한 혼자 해결하려고 했다’ 등과 같이 상호의존성에서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패한 조별 과제 경험에서는 ‘조원들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여 가능한 혼자 해결하려고 했다’ 등과 같이 상호의존성에서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 셋째, 개인이 속한 조와 개별 조구성원들의 책임에 대한 개인책무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둘째, 조 구성원들 간 적극적으로 서로를 돕고 지원하는 촉진적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셋째, 개인이 속한 조와 개별 조구성원들의 책임에 대한 개인책무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넷째, 조 구성원들과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대인기술을 갖추기 위한 대인관계능력이 필요하다.

  • 연구 결과, 성취 변인에서는 협동학습 조건이 경쟁학습 조건과 비교하여 0.43의 효과크기, 개인학습 조건과 비교하여 0.50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동기의 경우, 일반적인 동기와 함께 가치, 성공 기대, 관여, 내재 및 외재 동기,성취 유인가, 호기심, 지속 동기 등을 포함하였다. 연구 결과, 성취 변인에서는 협동학습 조건이 경쟁학습 조건과 비교하여 0.43의 효과크기, 개인학습 조건과 비교하여 0.50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한편, 동기 변인에서도 협동학습 조건이 경쟁학습 조건과 비교하여 0.

  • 한편, 하위 범주와 지각된 과제공헌도 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든 하위 범주와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행동기준평정척도 하위 범주 간 상관 분석 결과, 6개 하위 범주는 개인 책무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범주 간 중간 수준 이상의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한편, 하위 범주와 지각된 과제공헌도 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든 하위 범주와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행동기준평정척도가 조구성원의 조별 과제 공헌도를 잘 예측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후속연구
  • 넷째, 조 구성원들과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대인기술을 갖추기 위한 대인관계능력이 필요하다.

    셋째, 개인이 속한 조와 개별 조구성원들의 책임에 대한 개인책무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넷째, 조 구성원들과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대인기술을 갖추기 위한 대인관계능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조별 과제 수행 과정을 점검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집단 처리과정이 필요하다.

  • 마지막으로 실제 수행 결과인 조별 과제 평가점수와 낮은 상관을 보인 협동학습 구성요소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동료평가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통해 행동기준평정척도를 활용한 동료평가를 실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실제 수행 결과인 조별 과제 평가점수와 낮은 상관을 보인 협동학습 구성요소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셋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행동기준평정척도는 동료평가 이외에도 자기평가에도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조별 과제 평가 관련 연구의 확장이 가능하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행동기준평정척도는 동료평가 이외에도 자기평가에도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조별 과제 평가 관련 연구의 확장이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동료평가 방식은 기업에서 많이 활용되는 방식(예: 360도 평가)로서 대학교육에서 행동기준평정척도를 사용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첫째, 조별 과제 동료평가를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하게 할 수 있는 행동기준평정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함으로써 대학교육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보다 다양한 후속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을 간략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별 과제 동료평가를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하게 할 수 있는 행동기준평정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함으로써 대학교육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보다 다양한 후속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후속 연구에서는 동료평가 행동기준평정척도를 보다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하는 반복연구를 진행하여 타당도를 보다 높일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동료평가 행동기준평정척도를 보다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하는 반복연구를 진행하여 타당도를 보다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동료평가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통해 행동기준평정척도를 활용한 동료평가를 실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질문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별 과제

조별 과제의 장점은?

창의적 문제해결, 고차원적 사고 증진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Colbeck etal., 2000; Johnson & Johnson, 2009; Johnson, Johnson,Roseth, & Shin, 2014; Slavin, 1996)

선행연구에 따르면 조별 과제는 창의적 문제해결, 고차원적 사고 증진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Colbeck etal., 2000; Johnson & Johnson, 2009; Johnson, Johnson,Roseth, & Shin, 2014; Slavin, 1996). 하지만, 여러 사람이 한 조를 이루어 과제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무임승차(free riding), 사회적 태만(social loafing)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조원들의 동기, 작업능률, 생산성 등이 저하되기도 한다(Brooks& Ammons, 2003; Maiden & Perry, 2011; Shimazoe &Aldrich, 2010).

조별 과제

조별 과제의 부정적 측면은 무엇인가?

무임승차(free riding), 사회적 태만(social loafing)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조원들의 동기, 작업능률, 생산성 등이 저하되기도 한다(Brooks& Ammons, 2003; Maiden & Perry, 2011; Shimazoe &Aldrich, 2010)

, 2000; Johnson & Johnson, 2009; Johnson, Johnson,Roseth, & Shin, 2014; Slavin, 1996). 하지만, 여러 사람이 한 조를 이루어 과제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무임승차(free riding), 사회적 태만(social loafing)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조원들의 동기, 작업능률, 생산성 등이 저하되기도 한다(Brooks& Ammons, 2003; Maiden & Perry, 2011; Shimazoe &Aldrich, 2010). 실제로 우리나라 대학생 교육만족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조별 과제에 대한 불만이 많이 제기됨을 확인할 수 있다(문지윤, 신태섭, 2015).

동료평가

동료평가는 어떤 평가인가

조원들이 조별 과제와 관련하여 서로의 공헌도 정도를 평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교수자들이 조별 과제의 경우 조원들의 공헌도 및 책임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그 중 최근에는 조원들이 조별 과제와 관련하여 서로의 공헌도 정도를 평가하는 동료평가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당수의 동료평가가 리커트 척도에 반응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평가의 공정성 및 객관성에 대해서 비판을 받고 있다(Ohland et al.

참고문헌 (25)

  1. 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김상균 12 6 2543 
  2. 2. 교육심리연구 도승이 21 4 1047 
  3. 3. 교육심리연구 문지윤 29 1 41 http://dx.doi.org/10.17286/KJEP.2015.29.1.03 
  4. 4. 교육방법연구 이현우 24 1 171 10.17927/tkjems.2012.24.1.171 
  5. 5. 특수교육 정광조 15 4 181 http://dx.doi.org/10.18541/ser.2016.11.15.4.181 
  6. 6. 교육방법연구 최윤미 22 4 143 10.17927/tkjems.2010.22.4.143 
  7. 7. Journal of Education for Business Brooks, C. M. 78 268 10.1080/08832320309598613 
  8. 8.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Campbell, J. P. 57 15 10.1037/h0034185 
  9. 9. Educational Sciences : Theory and Practice Capar, G. 15 2 553 
  10. 10.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Colbeck, C. L. 71 60 10.2307/2649282 
  11. 11. Bilingual Research Journal Cole, M. W. 36 2 146 10.1080/15235882.2013.814609 
  12. 12. Human Relations Deutsch, M. 2 2 129 10.1177/001872674900200204 
  13. 13.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and Education Jassawalla, A. 8 42 10.5465/amle.2009.37012178 
  14. 14. Educational Researcher Johnson, D. W. 38 365 10.3102/0013189X09339057 
  15. 15. The Journal of Psychology Johnson, D. W. 114 1 135 10.1080/00223980.1983.9915406 
  16. 16.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Johnson, D. W. 434 622 
  17. 17.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Maiden, B. 36 451 10.1080/02602930903429302 
  18. 18. High Ability Studies Neber, H. 12 2 199 10.1080/13598130120084339 
  19. 19.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Ohland, M. W. 11 609 10.5465/amle.2010.0177 
  20. 20.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Saavedra, R. 78 450 10.1037/0021-9010.78.3.450 
  21. 21.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 Sharan, Y. 45 300 10.1111/j.1465-3435.2010.01430.x 
  22. 22. College Teaching Shimazoe, J. 58 52 10.1080/87567550903418594 
  23. 23.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Slavin, R. E. 21 43 10.1006/ceps.1996.0004 
  24. 24.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Smith, K. A. 1996 67 71 10.1002/tl.37219966709 
  25. 25.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Warfa, A. R. M. 93 2 248 10.1021/acs.jchemed.5b00608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