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성찰 글쓰기 예시 - jagiseongchal geulsseugi yesi

융복합 프론티어 글쓰기

 4. 자기 발견으로서의 글쓰기

자기성찰적 글쓰기의 개념 및 필요성

□ '자기 성찰 글쓰기' 개념

 - 자저실기(自著實紀)

  터럭 한 올이라도 똑같지 않다면 곧 그 사람의 모습 아니다.

  그림도 오히려 그러하거늘, 글을 써서 그 사람이 온전히 나타낼 수 있을까? 그러나 그림으로 그려내지 못한 모습을 더러 글로 얻기도 한다 .

 - 조선의 자서전 서술(문화적 현상)

  성리학적 자아에서 벗어나 개성적인 지식인 등장

  군자성현은 조선 정체성의 이상적 모습으로 자서전은 성리학에서 벗어나 개성취향기호 발견

  조선의 지식인은 나와 세계를 구별하고 그 안에서 나의 행위를 선택했던 자아를 가짐(나란 누구인가?)

  나를 성찰한다는 것은 나와 관계된 세계 안에서 ''의 위치가 무엇이고 나는 거기서 무엇을 할 수 있느지 질문하고 회의하는 능동적인 사유(나를 둘러싼 세계 속의 를 발견하는 과정)

 - 글을 쓰는 과정

  개인의 사고논리적으로 조직하고 언어로 표현

  글쓰기는 나의 경험지식을 명확히 하여 세계를 읽어내는 사유의 자양분을 만들고, 나의 지식사유심화시키고, 개인의 내적 성장도모

  → 자기 성찰에 있어 글쓰기의 작업은 매우 중요함

 - 자기소개서 vs 자기 성찰적 글쓰기

  〓 자기소개서

   타인에게 자신의 모습을 소개하는 글

   타인의 필요에 의해 나의 모습 재구성

  〓 자기 성찰적 글쓰기

   내가 겪었던 경험을 통합하여 이야기로 만들고 나를 반성하고 사유하는 것

   나의 사고행위변화시키는 역동적인 글쓰기

   인문학적 사유로서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는 내면을 치유하는 글쓰기 윤리적인 글쓰기구별

   나의 생각객관화하고 그 사유를 통해 사회적 관계의 모습 파악(세계의 가치 인식 → 세계속의 발견 → 나의 의미 찾기, 사회 속의 나는 어디에 있는지 성찰하는 것)

□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필요성

  우리의 삶은 이야기를 통해 재현되고, 직접적인 경험이나 간접적인 독서로 개인에서 사회ㆍ국가 등 소재의 범위넓어짐(나의 경험 이야기는 = 자기성찰적 글쓰기)

  나의 삶은 이야기가 되는 과정을 통해 자기의 정체성을 구성해서 자신을 성찰하고 미래를 그려볼 수 있음

  자아 성찰 과정 : 현상 사유 → 명확히 표현 → 정체성의 변화

  성장을 통해 세계를 보는 시각이 달라짐(사회적 존재로서 자기 발견세계적인 가치 인식 → 자기 성찰)

 - 생각의 좌표(홍세화)

  내 생각은 어떻게 내것이 되었을까? 사람이 '생각하는 동물'임을 모르는 이는 없지만, '지금 내가 생각하는 바'들이 어떻게 내 것이 되었는지 묻는 사람은 많지 않다.

  따라서 '지금 내가 생각하는 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물음은 자기성찰의 출발점이다.

  → 자신의 탐색성찰은 새로운 자기의식사유형성하면서 새로운 세계를 읽어내는 원동력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활용 및 실제

□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활용

 - 가을이 오는 소리(유병미)

  빨래를 하고 설거지를 하며 화분에 꽃이 피는 것은 일상에서 흔한 일이지만, 그것을 새롭게 발견하는 것이 바로 글쓰기

  유병미의 글을 보고 한 시인은 "새로운 세계를 향한 갈망이 시를 쓰게 한다"고 설명함

 - 자기 성찰적 글쓰기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으로 나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것

  내가 맞닿은 대상의미를 새롭게 사유 → 구체적으로 사건을 경험했을 때 문제를 구성해 내는 힘

  일상적인 생활에서 새로운 문제발견하는 것으로 경험 의미화 하는 것(인문학적 사유의 첫 단계)

 - 논제 찾기

  참신한 주제, 익숙한 주제로 나눠짐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기, 익숙히 알고 있는 것에 대해서 새롭게 이야기해 보기

  직접간접 경험논제 객관화새로운 이야기

  좋은 논제를 찾는 것은 가장 중요한 단계로 경험을 통해서 글쓰기 주제 객관화

□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실제

 - 유의사항

  ① 개인의 경험키워드 하라

   그럴싸한 말이나 좀 더 어려운 말로 꾸미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명확한 대상찾는 것에서 시작함

  ② 키워드의견넣어라

   다른 사람에게 말하기 힘들지만, 구체적이고 특별한 시간이가도 함(성찰의 대상존재감을 드러내는 시간)

  ③ 키워드한 논제배경지식을 통해 구체화

   간접경험 + 직접경험 → 논제 구체화글로 쓸 수 있는 논제로 변화

 - 기록의 시대 : 호모 스크립쿠스(SBS 다큐멘터리)

  기억 저장, 추억 공유역사를 만듦

  기록에 대한 문화사적 접근

 - 늑대를 타고 달리는 여자들과 함께(원미혜)

  개인의 경험사회화되는 과정

  성매매 여성 연구를 통해 사회구조의 폭력과 소수의 여성들과 공감 → 자기 사유를 통해 정체성 변화→ 글쓰기

논제찾기

□ 글쓰기의 일반적 과정

 좋은 논제찾는 것좋은 글을 쓰는 가장 중요한 방법

 글쓰기 준비(주제잡기) → 글쓰기(자료수집ㆍ개요짜기ㆍ검토ㆍ집필) → 다시쓰기(교정ㆍ완성)

□ 주제의 구성 요소

 - 주제

  글의 중심적인 내용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주장정보

  주제가 명확할수록 좋은 글

 - 독자

  독자에 대한 분석 필요

  독자와의 소통 노력 필요

 - 글감

  쓸거리

  글의 흐름주도하며 전체 내용을 이끌어가는 글의 소재내용

  창의성지구력 요구됨

□ 주제 선택할 때 유의할 점

 - 주제의 정의

  → 글에서 다루어지는 주된 문제

  주제 관련 자료를 읽거나, 분석적 검토를 통해 많은 정보를 모을 것

  주제를 다각도에서 검토한 뒤, 그 중 하나의 관점선택할 것

  다루고자 하는 주제가 과연 노고를 기울일만한 가치가 있는지 생각해볼 것

 - 주제의 요건

  ① 연구주제구체적이어야 함

   ex. 한국의 과학사, 괴테의 문학세계, 노동조합 연대조직의 건설과정

  ② 단어구절추가하여 주제의 범위 좁힘

   노동조합 연대조직 건설과정 → 1990년대 이후 한국노동운동상대적 침체가 노동조합 연대조직 건설과정에 미친 영향

  ③ 연구주제에서 필자의 핵심적 주장 드러냄

   1990년대 이후 한국노동운동의 상대적 침체가 노동조합 연대조직 건설과정에 미친 영향 → 1990년대 이후 한국노동운동의 상대적 침체는 노동조합 연대조직 건설과정에 영향을 미쳤다.

□ 주제를 잡는 2가지 과정

 ① 자료찾아 주제잡기

   많은 자료를 찾고 텍스트를 비판할 때 더 좋은 주제, 여러 가지 주제들이 나올 수 있음

  - 문화적 진화

   ⓐ '문화적 진화'의 정의

    리처드 도킨스(Clinton Richard Dawkins)의 '이기적인 유전자'에 나오는 유명한 개념

    인간의 유전대안적개념

    미미라는 기본단위를 통해 모방하고 있는 인간의 모습을 나타냄

    인간은 모방을 통해 생활양식, 지식을 뇌에서 뇌로 전달

   ⓑ '문화적 진화'에서 논제로 발전함

    동물도 인간과 같이 모방이라는 개념을 갖고 있다는 글을 읽으면 인간중심적인 문화비판

    과학기술발달현대기술문명문화적 진화가 더 증폭적으로 발전함

   ⇒ 현대과학에서 문화적 진화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얼마나 발전할 수 있는지(의미부여, 시간투자, 자료공부)

 ② 경험을 활용하여 주제 찾기

   성찰적 글쓰기 → 자신의 경험활용해서 주제를 만들기도 함

  - 자신이 과거에 한 경험을 이야기 한 글

    나는 고등학교 때 학원을 다니는 게 싫었음(학원을 다녀도 성적이 오르지 않아 시험을 보고나면 괴로웠음)

    가정 형편도 어려운데 부모님이 매달 많은 돈을 학원비로 지출하는 것도 부담스러웠음

   ① 주제 구체화(개인의 감정원인사회적 의미로 확대)

    시험 성적이 오르지 않는 문제(ex. 선행학습의 문제, 공교육의 문제, 입시문제)

    어려운 형편에서도 부모님이 학원비를 대줌(ex. 한국의 경제상황, 학벌주의)

   ② 키워드의견 넣기(비판적 주제가 되게끔 주장하는 문장을 만들기)

    선행학습금지법은 학교별ㆍ지역별 경쟁의식을 해결하지 못함

    현 입시제도는 공교육을 차별화시킴

   ③ 배경지식을 통해 주제 구체화하기

    선행학습 금지법은 학교별ㆍ지역별 경쟁의식을 해결하지 못함(새전북신문ㆍ2014.04.10)

    현 입시제도는 공교육을 차별화시킴(공교육정상화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