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 전망 2023 - jadongchasan-eob jeonmang 2023

자동차산업 전망 2023 - jadongchasan-eob jeonmang 2023

(철강산업 전망 세미나) "2023년 세계 자동차 판매 8,200~8,500만대 전망"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철강산업 전망 세미나) "2023년 세계 자동차 판매 8,200~8,500만대 전망"

  • 철강
  • 승인 2022.11.11 16:58
  • 댓글 0

기자명 손유진 기자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자동차산업 전망 2023 - jadongchasan-eob jeonmang 2023
한국자동차연구원 이항구 연구위원. (사진=철강금속신문)


내년도 세계 경제 성장률 하락과 반도체 공급차질로 세계 자동차 판매는 2022년과 유사한 8,200~8,500만대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연구원 이항구 연구위원은 11월 11일 오후 포스코타워 역삼 이벤트홀에서 개최한 '2023 철강산업 전망 세미나'에서 자동차산업 환경은 탈글로벌화(Deglobaization)와 저성장, 공급망 교란 등 낙관적이지 못한 상황에 처해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위원에 따르면 현재 자동차 업계는 2018~2020년의 장기 침체에서 벗어났지만, 2022년과 2023년의 수요가 부진한 이중 침체 국면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어 일시적인 인력 구조 조정도 대두되고 있다. 탈세계화 분위기가 강해지고 글로벌 주요국들이 스스로 공급망 확보에 신경을 쓰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차량용 반도체 공급 문제는 2024년 이후 해소될 것이나 희토류 광물과 처리시설 부족 문제가 부상하고 있다. 

이처럼 세계 경제의 성장 둔화와 각종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전망기관들은 2023년 세계 자동차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반도체 공급 문제가 완화하고 예약 수요가 뒷받침할 것이라 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이 연구위원은 생산과 내수, 수출 등이 감소가 있을 수 있지만 내년도 세계 자동차 수요는 신규 수요 혹은 대기수요냐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제언했다. 

국가별 자동차산업 현황을 살펴보면 미국에서 올해 1~9월 전기차 판매량은 57만8,402대를 기록했다. 이중 현대가 2만2,350대, 기아가 2만3,252대를 미국시장에 판매하면서 전체 시장 점유율의 7.88%를 차지했다. 현재 테슬라의 점유율은 지난 1분기 75%에서 현재 64%까지 하락했는데 이는 포드와 GM 등을 포함한 경쟁사에 따른 것이다. 

중국은 올해 1~9월 자동차 판매에서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한 1,947만대를 기록했다. 이는 중국 정부의 조세감면이 증가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2023년에도 지원 정책을 지속 확대하면서 판매는 떨어지지 않고 소폭 증가 또는 비슷한 추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기간 EU의 경우, HEV를 제외한 PHEV, 휘발유차, 디젤차 등에서 전년 동기 대비 최소 8%에서 24%까지의 감소폭을 보였다. 유럽은 현재 자동차 침체기로 빠져있는 상태라며 2023년에도 유럽 32개국의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 2023년 자동차 전망도 함께 제시됐다. 이 연구원은 "2022년 자동차 내수 판매가 3.2% 감소한 166만7,000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다만, 최근 현대자동차의 대기 수요가 100만대 정도로 파악되고 있는 것을 고려해 2023년 내수 판매는 0.5% 감소한 165만8,000만대로 다소 낙관적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자동차 제조사들의 완성차 수출에 대해서는 전년 대비 4.2% 감소할 것으로 관측했다.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미국의 IRA 시행령에 따른 결과 역시 불투명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위원은 IRA 리스크에 대해 대(對)미 전기차 수출이 중단된다면 전체 전기자동차 수출 비중에서 3%가 줄어드는 것이며, 해결이 가능할 경우에는 1~2%정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위원은 전기차 산업 현황과 전망에 대해서도 제언했다.

2022년 세계 경자동차시장의 전기자동차 점유율은 2017년 2%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13%로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면서 BYD, 테슬라, 폭스바겐, 도요타 등도 전동화를 가속화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기후 위기의 극복과 탄소 중립을 위한 주요국 정부의 환경 규제 강화 및 전기차 구매 보조 및 세액 공제가 연장되거나 모색되고 있다. 중국은 기존 2022년에서 2023년으로 1년 연장했고, 미국은 2032년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유럽도 미국과 중국과 유사한 산업 정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미국 정부 배터리 산업 육성과 R&D 투자 등 전문 인력 관련 현황을 소개했다. 미국 정부는 배터리 산업 육성을 위해 6개 분야에 28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그 중 16억달러는 11개 배터리 소재 분리와 처리 프로세스에 지원하고 있으며, 7,500만 달러를 배터리 리싸이클링 확대에 투자될 예정이다. 

이 연구위원은 "미국이 미래 자동차에 대한 배터리와 소재 등 연구개발을 위해 3조원 이상을 쏟아붇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그 절반도 안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미래차에 얼마나 투자할 수 있는가가 중요한 시기로 정부와 기업 차원의 투자와 노력, 역할 등이 중요시 되고 있다"고 말했다.

키워드

  • #2023자동차산업전망
  • #이항구
  • #자동차산업
  • #전기차산업
  • #현대
  • #기아차
  • #냉연

관련기사

  • 부곡스텐레스, STS 가공부품 사업 강화
  • 울산알루미늄, 新 리사이클 센터 착공..'세계 최고 저탄소 솔루션' 공급
  • 금속 대체하는 탄소섬유 기반 자동차 소재 개발
  • '산·학·연 대거 출동' 2022년 다이캐스팅 추계 학술대회 열려
  • (철강산업 전망 세미나) “살얼음판 국내외 철강 시황 유지될 듯”
  • [인터뷰] 사친 사푸테 노벨리스 아시아 사장, "저탄소 제품 확대로 자체 공급망·핵심 경쟁력 강화"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산업 전망 2023 - jadongchasan-eob jeonmang 2023
호서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부 조교수 이항구ⓒEBN

30년 가까이 자동차산업을 전망해 왔지만 금년보다 불확실성이 높은 해는 처음이다. 미국과 EU 경제가 침체 국면에 빠질 가능성이 큰 가운데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2023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지난 7월 전망보다 0.2%포인트 낮은 2.7%로 조정했다. 2022년 경제 성장률 예측치보다도 0.5%포인트가 낮은 수치다. 전망기관들은 중국 경제 성장률도 경쟁하듯이 낮추고 있는데 바클레이 은행은 중국경제가 2023년에 중국 정부의 목표치보다 1.7%포인트 낮은 3.8%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이처럼 세계 3대 자동차시장 경기가 좋지 않아 내년 세계 자동차 수요가 증가하기는 쉽지 않을 예상이다.

그런데 자동차산업 주요 예측 기관들은 2023년 세계 자동차 수요가 금년에 비해 4% 이상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반도체 공급 문제가 완화하고 사전 예약 물량이 수백만 대에 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동차 평균 판매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고 금리와 유가마저 상승하고 있어서 세계 자동차 수요가 2023년에 증가할지는 불투명하다. 일각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산업 침체로 인해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반도체업체들이 수익률이 낮은 차량용 반도체로 생산 물량을 전환할지는 미지수다.

지난 2017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세계 자동차 판매는 경기 순환적 요인에 의해 2018년에 감소한 후 2019년 하반기에 회복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세계 자동차 수요는 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사태와 2020년의 차량용 반도체 공급파동에 따라 3년 연속 감소했다. 자동차 수요가 이처럼 장기 침체에 빠진 시기는 1970년대 두 차례의 유가 파동 이후 물가가 급등하자 미국이 금리를 두 자릿수까지 인상했던 1980년대 초반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세계 자동차 수요가 전년 대비 5%가 증가했지만 금년에는 앞서 언급한 요인에 따라 주춤하고 있다.

국내 자동차 수요는 10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4.3%가 감소한 113만 6003대를 기록했다. 수출은 물량 기준으로 11%가 증가한 186만 6043대에 달했는데 금액 기준으로는 13.6%가 증가한 433억 달러를 기록했다. 자동차시장이 공급자시장으로 바뀌면서 가격 인상과 수익성이 높은 차종의 판매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국내 생산도 수출이 뒷받침함으로써 10월까지 6.4%가 증가한 302만 3,176대에 달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2022년 내수는 국산차가 3.6%, 수입차가 1.1% 각각 감소해 166만 대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2022년 자동차 수출은 전년 대비 7.7% 증가한 219만 대로 2년 연속 증가할 예상이다. 국내 자동차 생산은 2022년에 3.9% 증가한 360만 대로 2011년 이후 11년 만에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국내 자동차 생산이 감소했는데도 완성차와 부품 매출이 증가한 이유는 해외 생산이 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서고 고급 모델 판매가 증가한 데서 찾을 수 있다. 금년 국내 완성차업체의 해외 생산도 전년 대비 8%가 증가해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부품업계의 숨통을 틔워줄 예상이다.

해외시장 의존도가 높은 우리 자동차산업에는 세계 수요 변동이 수출과 생산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해외 전망기관들은 금년 세계 자동차 수요가 지난해와 비슷한 8150만 대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2023년 신규 수요는 금년과 비슷한 8170만 대에 그칠 수 있으나, 사전 예약 물량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4.6%가 증가한 8530만 대까지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동력원별로는 전기동력차 수요가 세계 자동차 수요 회복을 견인하겠지만 내연기관차 수요도 회복세를 보일 예상이다. 세계 전기차 수요는 금년에 900만 대를 넘어서고 2023년에는 1200만 대 수준으로 증가할 예상이다. 또한 내연기관차 수요는 금년에 7200만 대, 내년에는 7300만 대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처럼 2023년 자동차산업은 예측불허지만 두 가지 시나리오로 나누어 국내 자동차산업을 조망해 볼 수 있다. 우선 미국과 유럽 경제가 침체에 빠지고 중국의 성장률이 낮아지더라도 세계 경제가 금융위기와 코로나19로 인한 역성장 국면에 빠지지 않을 경우다. 이 경우 국내 완성차업체의 이월 주문 물량이 수십만 대에 달하고 있어서 내수, 수출, 생산 모두 큰 폭으로 감소하지 않을 전망이다.

다음으로는 내연기관차와 전기차 모두 평균 판매 가격이 사상 최고치에 달하고 있는 가운데 유가가 상승하고 금리가 치솟아 중산층 이하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급감하고 세계 자동차 수요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유럽, 미국과 중국경제가 예상보다 심각한 침체와 둔화 국면을 보일 경우다. 이 경우 국내 완성차업체가 사상 최고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미국과 유럽 시장 판매가 감소해 수출과 해외 현지 생산이 감소할 수 있다. 이는 내수 부진과 함께 국내 생산과 부품업체의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내외 수요의 양극화 현상에 따라 대형과 고급차의 생산은 유지하겠지만 중소형 이하 모델 생산이 급감해 국내 공장 가동률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2023년 자동차 내수는 0.5%가 감소한 166만 대가 예상되며, 국산차 내수가 0.3%, 수입차 내수가 1.3% 감소할 전망이다. 자동차 수출은 전기차의 대미 수출에 따라 실적이 갈릴 예상이다. 우리나라가 미국 IRA 적용 유예를 받지 못하면 자동차 수출이 4.2% 감소할 예상이나 유예를 받으면 수출 감소 폭이 축소될 전망이다. 내수와 수출 부진에 따라 국내 자동차 생산도 2023년에 전년 대비 3.0%가 감소할 전망이다.

2023년 세계 경제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세계 자동차 수요는 사전 예약 물량 공급이 뒷받침하면 증가할 전망이다. 하지만 국내 자동차산업 경기는 국내업체 해외판매 물량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과 유럽의 수요 부진과 내수 정체에 따라 다소 악화할 전망이다. 이미 자동차업체들은 2023년에도 공급망 문제가 지속될 것이며, 수익성도 악화할 것으로 판단하면서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2023년 자동차산업 경기가 상저하고 국면을 보일 전망이어서 정부의 전방위적인 지원은 당분간 불가피한 실정이다.

©(주) E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