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한글에서 매크로는 어떠한 반복적인 동작을 기록하고, 핫키를 이용하여 실행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Show

    저는 과거 (아래)한글의 초기 버전에서 기능이 신기하기도 해서 조금 사용을 했었는데, 최근에 문장을 작성하면서 매크로 기능을 사용할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었기에 매크로 기능이 있었는가 할 정도로 사용을 하지 않고 있었는데, 갑자기 생각이 나서 찾아보니 아직도 매크로 기능은 있네요.

    매크로는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키를 모두 하나로 저장을 하고, 핫키로 한 번에 작동시키는 것입니다.

    그림과 같이 '자'를 빨간색으로, 크게(18), 굵게 만들기 위해서 3개의 키를 눌러야 합니다.

    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매크로 정의

    '축'의 글씨를 크게, 굵게, 빨간색으로 만드는 것을 매크로에 저장을 하겠습니다.

    우선 커서를 '축' 앞에 두고, 아래와 같이 도구 -> 매크로 -> 매크로 정의를 실행하시면 됩니다.

    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매크로 정의' 창이 뜨면 아래와 같이 단축키를 정하고, '이름'을 넣습니다.

    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마우스 오른쪽 밑에 테이프 모양이 붙어 있을 것입니다. 지금부터 기록이 되고 있다는 뜻이며, 지금부터 사용하는 모든 키가 그대로 저장이 되는 것입니다.

    아래와 같이 '축' 글자를 드레그 하고, 글자 크기와 색상과 굵기를 변경합니다.

    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더 이상 변경할 것이 없다면, 다시 도구 -> 매크로 -> 매크로 중지를 클릭합니다.

    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이제 'Alt-8' 키에 매크로가 저장이 되었습니다.

    매크로 사용

    이것을 실행하기 위하여 '인' 글자 앞에 커서를 위치하고 'Alt-8'을 누르시면 아래 그림과 같이 '인' 글짜가 위의 '축'과 같은 크기, 굵기, 색상으로 변해 있습니다.

    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매크로는 어렵지 않으나, 개념이 생소하고,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어렵게 느끼고 있는 것입니다. 한 번 실행해 보면 절대 어렵지 않습니다.

    서론

    회사원이라면 아래아한글을 사용해 문서를 편집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특히 공무원 또는 공공기관 직원이라면 워드를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부분의 문서를 아래아한글로 작성할 것이다.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반복되는 작업이 많을 텐데, 아래아한글에도 매크로 기능이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다.

    본론

    아래아한글을 실행하고 상단의 "도구" 메뉴를 눌러보자.

    "스크립트 매크로" 버튼이 있을 것이다.

    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해당 버튼을 눌러보면, 매크로 정의, 매크로 보안 설정, 매크로 실행 등 세부 메뉴가 나온다.

    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한글매크로를 사용하려면 우선 보안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

    매크로 보안 설정을 누르고 "낮음(권장하지 않음)"으로 변경하자.

    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그런 다음 간단한 매크로를 하나 만들어보자.

    정말정말 간단하지만 필자가 실제로 애용하고 있는 매크로이다.

    문서를 작성하다보면 단어의 중간이 잘리면서 한두 글자가 다음 줄로 넘어가는 경우가 있다.

    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한 줄이 다음 줄로 넘어가 있다.

    그럴 때는 보통 자간을 조정하는데,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해당 줄을 블록 설정하고 자간 조정 단축키(alt + shift + n)를 세번 정도 누르면 한글자가 윗줄로 올라간다.

    간단하지만 성가신 작업인데, 매크로를 이용하면 세번 누를 것을 한번으로 줄일 수 있다.

    위에서 봤던 스크립트 매크로 버튼을 누르고 매크로 정의를 눌러보자.

    단축키 alt + shift + H 를 눌러도 된다.

    기본값으로 저장돼 있는 매크로 목록이 나올 텐데, 일반 회사원이라면 별로 쓸 일이 없어 보인다.

    각 매크로마다 단축키가 지정돼 있는데, 마음에 드는 것을 아무거나 선택한 뒤에 "정의"를 눌러보자.

    이름을 바꾸고 싶으면 밑에서 이름을 따로 정해도 된다.

    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마우스 커서의 모양이 바뀌고, 문서 하단에 아래와 같이 "매크로 기록 일시 중지"와 "매크로 기록 중지" 버튼이 생길 것이다. 스크립트 매크로 기록이 시작된 것이다.

    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이제부터 매크로 기록을 중지할 때까지 모든 작업이 기록된다.

    우리가 만들려는 자간 조정 매크로를 기록해보자.

    현재 커서가 있는 줄의 맨 앞으로 커서를 이동한 뒤, 줄의 맨 끝까지 블록을 설정하고, 자간 줄이기 단축키를 세 번 누른 뒤에 다시 커서를 줄의 맨 앞으로 되돌린다.

    다른 작업으로 기록하고 싶으면 아무 것이나 원하는 동작을 하면 된다.

    다 했으면 매크로 기록 중지 버튼을 누르고 나서, 매크로를 정의한 단축키를 눌러보자.

    조금 전에 했던 동작이 그대로 반복될 것이다.

    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기록된 매크로를 이용해 자간을 조정한 모습

    스크립트가 어떻게 기록돼 있는지 한번 확인해보자.

    상단의 스크립트 매크로 버튼을 다시 누르고 이번에는 매크로 실행 메뉴를 클릭한다.

    단축키는 alt + shift + L 이다.

    조금 전에 기록한 매크로를 선택하고 "코드 편집"을 눌러보자.

    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아래와 같이 화면 오른쪽으로 스크립트 편집 화면이 나타날 것이다.

    명령어에 대해 잘 몰라도 내가 기록한 것이니 각 명령어가 무슨 동작을 하는지는 짐작할 수 있을 것 같다.

    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스크립트 편집 화면에서 자간 조정을 세번이 아니라 여섯 번씩 해주게 바꿔보자.

    보아하니 HAction.Run("CharShapeSpacingDecrease"); 부분이 자간 조정을 한번 하는 것 같으니, 세줄을 더해준다.

    편집을 다 했으면 중간쯤 있는 버튼들 중에 오른쪽에서 세번째에 있는 "매크로 적용" 버튼을 눌러준다.

    편집한 매크로를 다시 실행해보자. 이번에는 자간이 6번 조정되어 두 글자가 윗줄로 올라갈 것이다.

    스크립트를 조금만 더 편집해보자.

    이번에는 자간을 세번 줄이고 다음 줄로 커서를 이동하는 버전이다.

    제일 마지막 줄을 HAction.Run("MoveDown");로 바꾸면 된다.

    그런다음 "매크로 반복 횟수"란에 5를 입력하고 매크로를 실행해보자.

    (매크로 반복 횟수는 위에서 본 "매크로 실행" 화면에서도 지정할 수 있다.)

    이번에는 다섯 줄을 이동하면서 자간을 줄여준다.

    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매크로 실행 전
    한글매크로 단축키 - hangeulmaekeulo danchugki
    매크로 실행 후

    마무리

    예제로 본 매크로는 너무 단순하여 우습게 생각할 수도 있다.(실제로는 매우 실용적이다.)

    그러나 반복 실행이 필요한 작업이라면 스크립트 매크로 기능을 사용하여 아무리 복잡한 작업이더라도 자동화할 수 있다.

    코드를 직접 쓸 필요도 없으니 이보다 편리할 수가 없다.

    각자 본인에게 필요한 스크립트를 나름대로 만들어 사용해보기 바란다.

    필자는 이제 스크립트 매크로를 알기 전으로는 돌아가고 싶지 않을만큼 만족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