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국민연금공단은 이달 중 최상위 의사결정기구인 기금운용위원회에서 장기 자산배분 목표를 심의·의결할 예정이다. 사진은 지난달 30일 열린 제5차 기금위 회의 모습. 연합뉴스

국민연금공단이 5년 단위로 짜던 중기 자산배분 계획(포트폴리오) 외에 10년 이상 장기 자산배분 전략인 ‘기준 포트폴리오’를 도입하기로 함에 따라 위험자산 비중을 어느 수준까지 높일지 투자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민연금은 국내외 주식과 대체투자를 ‘위험자산’으로, 국내외 채권은 ‘안전자산’으로 분류해 각각 65%, 35%를 투자하는 중기 자산배분 목표를 가지고 있다.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업계에서는 ‘10년+α’ 기간의 장기 자산배분 목표가 도입되면 위험자산 비중을 70% 이상으로 확대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41년부터 시작되는 기금 감소기를 대비해 향후 20년간은 위험자산 비중을 확대해 최대한 수익을 확보한다는 것이 국민연금의 방침이다.

1000조원 돌파 앞둔 국민연금의 고민

기준 포트폴리오는 연기금엔 10년 이상의 장기 기금운용전략을 의미한다. 기금의 장기적 재정 상태를 고려해 안정적인 기금 운용을 위한 목표 수익률과 적정 위험(리스크) 수준을 정하고, 거기에 맞춰 전체 운용 자산 중 얼마만큼을 위험자산으로 채울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기준 포트폴리오가 도입되면 국민연금은 장기(10년 이상)·중기(5년)·단기(1년)로 이어지는 체계적 자산배분 시스템을 구축할 전망이다. 기준 포트폴리오에서 포트폴리오 전체의 위험 수준을 결정하면, 이 수준에 맞춰 국내외 주식·국내외 채권, 대체투자 등 5개 자산군으로 구성된 5년 단위 중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연간 계획을 짜는 식이다.

투자업계가 국민연금의 기준 포트폴리오 도입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올해 2월 기준 860조원, 이르면 내년 1000조원을 돌파하는 초대형 연기금인 국민연금의 자산 배분 방향성을 결정하는 최상단 지침이기 때문이다. 국민연금이 위험자산 목표치를 얼마로 잡느냐에 따라 자산운용업계의 희비도 엇갈릴 수 있다.

국민연금이 작년 12월 기금운용위원회에 보고한 ‘국민연금기금 자산배분 개선(안)’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기준 포트폴리오 설정의 핵심인 위험자산 비중으로 60%, 65%(현행), 70%, 80% 등을 고려하고 있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수립한 중기자산배분안에서 2025년까지 당시 55% 수준이던 위험자산 비중을 65%까지 높인다고 밝힌 바 있다.

해외주식, 대체투자 확대 전망

국민연금 안팎에선 당장 올해 국민연금이 위험자산 목표 비중을 현행 65%에서 급격하게 높이진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위험자산 투자 규모도 아직 65%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올해 2월 기준 국민연금의 포트폴리오는 △국내주식 20.9% △해외주식 24% △대체투자 10.7% 등 위험자산 55.6%와 국내외 채권 및 단기자금 등 안전자산 44.4%로 구성돼 있다.

국민연금의 급격한 리밸런싱(포트폴리오 조정)이 시장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어 매년 점진적으로 비중을 조정할 전망이다. 국민연금 사정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기금이 늘어나는 2040년까지 최대한 수익을 확보하기 위해 위험자산 비중을 늘려나간다는 것이 현재 국민연금의 기본 방향”이라면서도 “시장 여파와 안정적 운용을 위한 리스크 관리를 위해 변화는 점진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위험자산 증가분의 대부분은 해외주식과 대체투자에 투입될 전망이다. 국민연금의 현재 중기자산배분안은 2025년까지 국내주식 비중을 15% 안팎으로 낮추고, 해외주식과 대체투자를 각각 35%와 15% 정도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국내주식의 경우 국내 300여 개 상장사 대주주인 국민연금이 기금 감소기를 맞아 매도세로 전환했을 때 미치는 시장 충격이 크다 보니 선제적인 규모 축소가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일단 장기 자산배분의 틀은 만들었지만 업계 안팎에선 국민연금 자산배분의 ‘시계’가 최소한 20년 이상의 초장기로 짜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018년 재정추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2030년 연간 연금 지급액이 기금운용수익을 제외한 보험료 수입을 넘어서는 변화에 직면한다. 2041년에는 기금운용수익을 합쳐도 기금 감소를 막지 못하는 ‘기금 감소기’가 도래한다. 이준행 서울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2030년 보험료 수지가 역전되면 매년 기금운용자산의 일부를 유동화해 연금 지급에 활용해야 하기에 자산배분 전략도 완전히 달라져야 한다”며 “국민연금의 생애주기 전반을 아우르는 20~30년 단위 자산배분 전략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국민연금(연기금) 주식 포트폴리오 ETF로 따라하기 - 노후준비

국민연금기금은 1988년 국민연금법에 따라 설치된 이래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21년 8월 말 현재 운용규모가 930조 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기금운용본부는 국민연금기금의 안정적인 성과 제고와 위험 분산을 위하여 국내채권의 비중을 축소하고, 국내외 주식과 대체투자를 확대하는 등 투자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국민연금 투자방식을 벤치마크해서 투자를 한다면 어느정도 노후를 보장할 수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국민연금 주식 포트폴리오를 살펴보고 미국 ETF를 활용해 백테스트를 진행해볼 예정입니다. 그리고 절세를 위한 연금저축계좌를 통해 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기금 포트폴리오 살펴보기

연기금 포트폴리오를 추종하기 위해선 연기금이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구성하고, 분산투자를 하고 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아래는 현재 연기금에서 가이드라인으로 잡은 자산별 포트폴리오 비중입니다.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2021년 8월 말 기준 연기금 포트폴리오 현황

현재 연기금 포트폴리오는 채권 비중이 굉장히 높게 잡혀있는데요. 중기 자산배분 계획에서 주식 비중을 약 50%, 채권 35%로 조정하려는 움직임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연기금 목표 포트폴리오 (2025년)

국내주식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연기금 포트폴리오 국내주식 투자 규모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연기금 국내주식 포트폴리오 구성 & Top 10 종목

해외주식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연기금 포트폴리오 해외주식 투자 규모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연기금 해외주식 포트폴리오 구성 & Top 10 종목

연기금에서 구성한 포트폴리오로 운용했을 때 과거에서 현재까지 운용성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연평균 수익률 약 6-7%정도로 아주 안정적인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개인투자자가 연평균 수익률 7%를 기록하면 상위 1%라고 봐도 됩니다.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연기금 포트폴리오 연평균 수익률

포트폴리오 구성

가치투자의 아버지 벤저민 그레이엄은 채권과 주식을 시장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하되 둘 다 25% 미만이 되면 안된다고 설명하고 있는데요. 저같은 경우 좀 더 공격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운용하기 위해 채권 비중을 20%로 맞추고 대체자산 비중을 5% 높였습니다.

  연기금 개인투자자
국내주식 20% 20%
해외주식 26% 35%
채권 44% 20%
대체투자
(인프라, 부동산 등)
10% 25%

테스트에 사용된 ETF

  • VTI: 미국 전체 주식 추종 ETF
  • EMY: 한국 시가총액 100 추종 ETF
  • TLT: 미국 장기채권
  • VNQ: 미국 부동산 ETF

백테스트

백테스트란 과거 주가 데이터를 기준으로 특정 투자전략을 사용했다면 어느 정도의 수익률을 낼 수 있는지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입니다. 백테스트 조건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기간: Jan 2005 - Oct 2021 (17년)
  • 초기 납입금: $30,000 (3,570만원)
  • 월 적립식 투자: $2,000 (238만원)
  • 배당금은 매번 재투자
  • 인플레이션 포함

포트폴리오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Portfolio 1은 개인투자자, Portfolio 2는 연기금입니다.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개인투자자 vs 연기금

결과

포트폴리오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최근 채권 수익률이 좋지 않아 채권 비중을 낮게 잡은 개인 투자자 포트폴리오 수익률이 좀 더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채권 수익률이 좋아지는 구간에선 오히려 연기금 포트폴리오 수익률이 더 좋게 나올 수 있습니다. 이처럼 장기투자할 때는 측정하는 구간에 어떤 자산군이 강세를 보여줄지 모르기 때문에 적절한 분산투자가 필요합니다.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포트폴리오 백테스트 결과

개인투자자는 $953,094(11억 3,418만원), 연기금은 $865,833(10억 3,034만원)의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노후에 이정도 자산이 형성되어 있다면 어느정도 풍족한 노후를 보낼 수 있지 않을까요? 이처럼 우리는 자산 증식을 위해 적절한 자산 배분을 통한 투자를 해야합니다.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포트폴리오 수익률 비교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포트폴리오 연간 수익률 비교

Drawdown

Drawdown 이란 특정 기간에 최대 하락폭(손실)이 발생했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글로벌 경제 위기 때 하락폭과 회복 기간을 판단할 때 참고할 수 있습니다. 개인투자자 포트폴리오의 경우 대체자산(인프라, 부동산)을 좀 더 높은 비중으로 담았기 때문에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부동산 위기)가 발생했을 대 낙폭이 컸던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구간에서 채권 비중이 높았던 연기금의 낙폭은 훨씬 적었습니다.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개인투자자 vs 연기금 Drawdown 지표

채권 비중이 높은 연기금 포트폴리오의 경우 코로나 바이러스 시기에도 주식 비중이 높았던 개인투자자 포트폴리오에 비해 낙폭이 작았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낙폭이 -5%로 굉장히 선방한 모습입니다. 적절한 자산 배분의 모범 사례입니다.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Rolling Returns

롤링리턴의 경우에도 거의 일치하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참고로 롤링리턴(Rolling Return)이란 n년 수익률 분포를 뜻합니다. 롤링리턴을 통해 가장 수익이 좋았던 n년과 가장 수익이 안좋았던 n년 투자 수익의 평균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36개월, 60개월 롤링리턴

좀 더 현명하게!

백테스트를 위해 미국 ETF를 활용해서 테스트를 진행했는데요. 실제 국내 투자자 분들이 이렇게 자산 배분을 할 때 굳이 미국 ETF를 매수할 필요는 없습니다. 물론 직투자의 장점도 있지만 연금저축계좌, IRP, ISA 계좌들을 적절하게 활용해서 자산증식에 활용하면 훨씬 빠르게 자산을 키워나갈 수 있습니다.

ISA

저는 대체투자(인프라, 부동산) 자산에 해당하는 맥쿼리인프라, 리츠 등과 같은 자산들은 ISA 계좌를 활용해서 배당세(15.4%)를 세제혜택을 받으며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ISA 계좌를 활용하면 배당 및 이자소득에 대해 20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죠. 초과분은 ISA 계좌 청산할 때 9.9% 분리과세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ISA 계좌 장단점 및 활용법 핵심만 정리 (2021년 개정안 반영)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일반 계좌 이외에 연금저축계좌, 개인형 퇴직연금 IRP 계좌 등 가입하고 기준에 맞춰서 납입하면 절세효과도 얻을 수 있는 계좌들이 있는데요. 오늘 소개해드릴 ISA

webruden.tistory.com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 gugmin-yeongeum poteupollio ttalahagi

개인연금계좌 & 퇴직연금(IRP)

개인연금계좌에 미국 지수 추종 ETF와 국내 지수 추종 ETF를 매수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제혜택을 받으며 자산을 키워나갈 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 국내주식은 KBSTAR 200과 같은 코스피 200 지수 추종 ETF를 매수하고 있고, 미국 지수 추종 ETF는 수수료가 저렴한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상품을 매수하시면 됩니다.

연금저축계좌의 경우 연간 납입금액의 최대 400만원, 최대 66만원 연말환급을 받을 수 있으며, IRP와 같이 활용하면 연 700만원 총 115.5만원(92.4만원) 절세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이렇게 간략하게 다뤄보고, 그냥 이정도 혜택이 있으니 혜택받으며 자금 굴릴 수 있구나라고 알고 지나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조정 포트폴리오

조정된 국내 ETF 상품은 언제나 다른 자산들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간단하게 설명드리기 위한 예시입니다. (KB 알바 아닙니다..ㅋㅋ 그냥 현재 기준 수수료가 가장 저렴하기 때문에 예시로..) 개인적으로 국내 리츠 시장은 아직 규모가 작기 때문에 좀 더 투자 다양성을 주기 위해 미국 직투로 리얼티인컴이나 VNQ를 포트폴리오에 추가로 넣어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리얼티인컴만 해도 시가총액 약 50조로 국내 모든 리츠를 합한 규모보다 큽니다.

  • VTI -> KBSTAR S&P 500 (수수료 0.021%)
  • EMY -> KBSTAR 200 (수수료 0.017%)
  • TLT: -> TIGER 미국채10년선물
  • VNQ -> 맥쿼리인프라(인프라) + 리츠(부동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