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페이스리프트 - hyeondae peiseulipeuteu

페이스리프트(facelift)는 자동차 모델을 변경할 때 외관을 개조해 신차에 가깝도록 바꾸는 행위를 말한다.[1] 차의 기본 모델에서 전면부의 라디에이터 그릴, 전조등의 모양을 바꾸고 후면부의 콤비네이션 램프를 개선하는 등 외관상의 간단한 변화가 이루어진다.[2]

목차

  • 1 개요
  • 2 분류
    • 2.1 다른 자동차 변경 모델과의 차이
    • 2.2 일반적인 페이스리프트
    • 2.3 특별한 페이스리프트
    • 2.4 풀체인지를 가장한 페이스리프트
    • 2.5 풀체인지에 가까운 페이스리프트
    • 2.6 마이너체인지
  • 3 모델 라이프 사이클
  • 4 현황
    • 4.1 짧아지는 페이스리프트 주기
    • 4.2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변화
  • 5 각주
  • 6 참고자료
  • 7 같이 보기

개요[편집]

페이스리프트는 자동차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새롭게 보이도록 바꾸는 것이다. 본래 페이스리프트는 얼굴의 피부를 당겨서 주름살을 제거하는 주름살 제거 수술을 의미하는 말이었다. 이것이 자동차 업계로 넘어가서 자동차의 외관을 변형하여 새로운 모델처럼 만드는 파생 모델이 나오는 것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약자인 F/L로 부르기도 한다.[3] 자동차 모델을 완전히 바꾸는 풀 모델 체인지(Full model change)와 전체적인 틀은 그대로 하고 외관을 조금 바꾸고 간단한 편의사양을 추가하는 연식변경 모델의 중간 정도에 해당한다.[4] 대체로 페이스리프트는 풀체인지(Full change) 후 3~4년 정도 지난 뒤 자동차 내부 골격인 모듈과 엔진은 유지한 채 신차로 보이도록 겉모습과 인테리어만을 변경하여 진행된다. 또는 자동차의 길이와 폭 등을 변형하고 새로운 기술 옵션을 추가하여 기술적으로 변화를 주기도 한다.[1] 드물기는 하지만 기아자동차㈜(KIA Motors Corporation) 오피러스(Opirus)나 기아 쏘렌토(Sorento)처럼 차량의 기본 플랫폼을 아예 바꾸는 경우도 있다.[3]

분류[편집]

페이스리프트를 한정하는 기준은 명확하지 않다. 페이스리프트라고 할지라도 작은 요소만 개선되는 경우도 있고 풀체인지에 가깝게 개조되기도 한다. 페이스리프트를 한정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보니 다른 자동차 변경 모델인 부분변경 모델과 풀체인지 모델과 분류하는 데 있어서 중첩되고 혼재되는 부분이 있다.[3]

다른 자동차 변경 모델과의 차이[편집]

풀 모델 체인지는 모델을 완전히 변경하거나 제조사에서 새로 개발한 신차다. 현대자동차㈜(Hyundai Motor Company) 싼타페(Santa Fe) DM이 싼타페 TM으로, 현대 YF쏘나타(Sonata) 6세대가 LF쏘나타 7세대를 거쳐서 DN8으로 출시되는 것처럼 일반적으로 플랫폼이나 파워트레인, 디자인 등 모든 것이 새롭게 바뀐다. 다만 간혹 전통성을 강조하는 일부 모델의 경우 부분 변경에 그치기도 한다. 풀 모델 체인지의 주기는 통상 7년 정도이지만 최근 플랫폼과 제조기술이 발달하면서 주기가 단축되고 있다. 페이스리프트는 풀 모델 체인지의 주기가 돌아오는 과정에서 보통 신차 출시 이후 3년 정도 지났을 때 이루어진다. 풀 모델 체인지까지는 5년에서 7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이 기간 동안 해당 차량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때 소비자들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서 개조하여 출시되는 모델이 페이스리프트 모델이다. 페이스리프트에서는 작게는 범퍼부터 크게는 풀 모델 체인지에 버금갈 정도로 외관이 크게 변하기도 한다. 외부 디자인뿐만 아니라 실내 디자인까지 변경되는 경우도 있으며, 새로운 엔진이나 변속기가 있을 경우 이 시기에 적용되기도 한다. 연식 변경 모델은 해가 바뀌면서 이루어지는 부분적인 개선을 뜻한다. 상품성 개선 차원의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부분적으로 그릴이나 램프류의 변화를 주기도 하지만, 주로 편의 장치의 기능적 향상, 문제 요소 개선에 주력하는 편이다.[5] 마이너체인지 모델은 자동차 모델을 부분적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페이스리프트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실제 용례는 외관에 변화가 있으면 페이스리프트라 부르고 후미등 패턴이 바뀌는 정도의 소소한 변화만 있으면 마이너체인지라고 지칭한다.[6]

일반적인 페이스리프트[편집]

현대 페이스리프트 - hyeondae peiseulipeuteu

현대 페이스리프트 - hyeondae peiseulipeuteu

현대 페이스리프트 - hyeondae peiseulipeuteu

현대 페이스리프트 - hyeondae peiseulipeuteu

일반적인 페이스리프트는 차량의 디자인이 많이 바뀌지 않아 비슷해 보일 수도 있고, 아예 디자인을 수정해서 인상이 달리 보이는 경우도 있다. 다만 수정시키는 경우, 보통은 프런트와 리어 부분, 실내 디자인만 살짝 변형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는 앞과 뒤는 새롭게 변화됐지만, 옆모습은 똑같다. 이에 해당하는 차량은 제네시스 쿠페(Hyundai Genesis Coupe) 후기형 모델, 모하비(Mohave), K3, K5 1세대, GM대우(GM Daewoo) 크루즈(Chevrolet Cruze), 캡티바(Chevrolet Captiva) 등이다. 제네시스 쿠페는 트윈 스크롤을 장착해 엔진 출력을 높이고 8단 자동변속기와 헥사고날(Hexagonal) 라디에이터 그릴을 적용했다. 모하비는 범퍼와 범퍼 가드로 나뉘던 앞범퍼를 일체형으로 바꾸고 LED 주간 주행등을 새로 적용하였다. 이외에도 후측방 경보 시스템,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전방 추돌 경보 시스템, 어라운드뷰 모니터링 시스템 등 운전 편의성을 향상하는 기능을 추가했다. 더 뉴 K3는 스포티한 디자인을 한 층 더 업그레이드했고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과 스마트 트렁크, 후측방 경보 시스템 등의 신기술을 적용하는 등 변화를 가졌다.[3]

특별한 페이스리프트[편집]

현대 페이스리프트 - hyeondae peiseulipeuteu

현대 페이스리프트 - hyeondae peiseulipeuteu

특별한 페이스리프트는 단순히 차량의 외장 디자인이나 옵션 구성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넘어서 플랫폼까지 다른 종류로 변경하는 경우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쏘렌토 R이 처음 출시된 무렵에는 싼타페 CM과 같은 플랫폼을 공유하다가 페이스리프트 되면서 싼타페 DM과 같은 플랫폼으로 변환했다. 또한, 서브 프레임 부분과 서스펜션 세팅도 변경하여 페이스리프트와 풀체인지의 중간 성격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기아 오피러스(Opirus)도 초기에는 EF 쏘나타나 그랜저(Grandeur) XG 플랫폼을 썼다가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NF 쏘나타와 그랜저 TG의 플랫폼으로 변환하였다. 싼타페 TM도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LF 쏘나타 기반이었던 플랫폼을 쏘나타 DN8의 플랫폼으로 교체했다. 오피러스는 이외에도 새로 개발된 V6 2.7ℓ 뮤 엔진, V6 3.3ℓ 람다 엔진을 적용하고,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해 공차 중량을 줄이고 DVD 내비게이션에 위험 지역 알림 기능 추가, 보조 매트 후면부 재질 개선 등의 편의 기능이 추가되었다.[3]

풀체인지를 가장한 페이스리프트[편집]

현대 페이스리프트 - hyeondae peiseulipeuteu

현대 페이스리프트 - hyeondae peiseulipeuteu

현대 페이스리프트 - hyeondae peiseulipeuteu

현대 페이스리프트 - hyeondae peiseulipeuteu

최근에는 페이스리프트로 보일 정도로 작은 변화를 내세워 신차를 출시하는 일이 거의 없지만, 과거에는 페이스리프트에 불과한 정도의 변화로도 신차를 출시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쏘나타 Ⅲ와 쏘나타 Ⅱ와 코드명 Y3로 같은 모델이면서 전자가 페이스리프트 모델이다. 마티즈(Matiz)는 초창기 마티즈 M100의 페이스리프트 모델 M150을 마티즈 Ⅱ로 이름을 붙여 신차로 출시했다. 현재는 자동차 소비자들의 판단 기준이 높아져서 약간의 변화를 더한 정도는 신차로 인지하지 않는다. 이러한 사례는 외국에서도 볼 수 있는데, 폭스바겐(Volkswagen) 파사트(Passat) 4세대와 유럽형 7세대 모델은 각각 3세대와 6세대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이다. 마찬가지로 포드(FORD) 몬데오 Mk2는 Mk1의 페이스리프트 버전이고, 미쓰비시자동차(Mitsubishi Motors) 랜서 에볼루션은 10세대로 구분하지만 실제로는 1~3세대, 4~6세대, 7~9세대, 10세대로 4세대로 구성된다. 이러한 사례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다른 세대로 분류한 경우다.[3]

풀체인지에 가까운 페이스리프트[편집]

현대 페이스리프트 - hyeondae peiseulipeuteu

LF쏘나타(LF Sonata)

현대 페이스리프트 - hyeondae peiseulipeuteu

LF쏘나타 뉴 라이즈(LF Sonata New Rise)

풀체인지로 보일 정도로 많은 요소가 변화된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말한다. 이 상황에 해당하는 차종으로는 쏘나타 뉴 라이즈, 현대 더 뉴 그랜저, 제네시스 G90(GENESIS G90) 후기형, 현대 더 뉴 아반떼(Avante), 포르쉐(Porsche) 718 박스터 3.5세대, 기아 모하비 2차 페이스리프트 등이 있다. 박스터는 엔진 기통 수가 늘어났고, 그랜저는 전폭과 휠베이스가 대폭 증가하는 큰 변화가 있었다. 제네시스 G90은 페이스리프트를 계기로 차명을 해외 시장과 동일한 G90으로 일원화하고 패밀리 룩을 강화한 디자인, 컨트롤러 디스플레이 설치 등 IT 편의 사양이 적용되어 많은 부분에서 변화를 맞았다. 쏘나타 뉴 라이즈는 현대자동차의 패밀리 룩인 대형 캐스케이딩 라디에이터 그릴을 적용하고 공력 성능 향상을 위해 에어커튼을 세로로 배치했다. 또한, 주행 조향 보조 시스템, 부주의 운전 경보 시스템, 다이나믹 벤딩 라이트,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 등을 하나로 묶은 현대 스마트 센스를 제공하여 운전 편의성이 상당히 향상되었다. 그 외에 차종도 디자인 언어를 변경하고 컨트롤러나 디스플레이 등 내부 시스템을 개선하는 등 성능 면에서 크게 업그레이드되었다.[3]

마이너체인지[편집]

현대 페이스리프트 - hyeondae peiseulipeuteu

자일대우상용자동차 BS110CN 로얄 논스텝

현대 페이스리프트 - hyeondae peiseulipeuteu

자일대우상용자동차 BS110CN New BS110 뉴로얄논스텝

마이너체인지는 약간의 변형이라는 의미로 차량을 부분적으로 수정하는 것을 말한다. 간혹 풀체인지에 가깝게 하는 경우도 있다. 부분 변경 모델이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부분 변경 모델과 페이스리프트를 구분해 부르지 않고 명칭이 일원화되기도 했는데, 이는 현재는 마이너체인지처럼 일부가 바뀌는 경우가 드물고 보통 외관 변경이 되면서 옵션이 바뀌기 때문이다. 보통 연식 변경 시에 진행된다. 일반적인 페이스리프트와 마이너체인지의 공통점은 대체로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의 개량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차이점은 페이스리프트는 램프나 범퍼, 내장재 등 여러 부분의 디자인이 많이 변경되는 반면에, 마이너체인지는 램프 패턴을 바꾸고 기능을 개선하는 등의 미세한 변화만 가진다는 점이다. 마이너체인지의 대표적인 예는 현대자동차의 싼타페, 기아의 K7, 모하비에서 찾을 수 있다. 싼타페는 후미등 형상이 바뀌었고, K7은 1세대 모델 중 그릴과 엔진 라인업이 변경되었고 휠 디자인에도 변화가 있었다. 이후의 1세대 페이스리프트 모델에서 많은 부분이 수정되었다. 모하비는 유로6 이전에서 그릴이나 엔진을 한 번 업그레이드하고 유로6으로 넘어오면서 페이스리프트를 진행했다. 상용차도 마이너체인지 과정이 있었다. 자일대우상용차㈜(Zyle Daewoo Commercial Vehicle Co., Ltd.)의 BS 시리즈, BH 시리즈, FX시리즈 등이 마이너체인지를 했다. 엔진이나 기어 배치를 변경하는 등 성능 개선 수준의 변화가 있었다. 이렇게 마이너체인지는 보통 소폭 또는 대폭 변경하는 쪽으로 행해진다.[3]

모델 라이프 사이클[편집]

모델 라이프는 차종의 수명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새 모델이 시판되면서부터 풀 체인지를 하여 새로운 자동차가 시판되기 시작할 때까지 기간을 말한다.[7] 자동차 회사는 이 모델 라이프 주기에 따라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출시한다. 자동차 회사에서 모델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해서 연식 변경과 페이스리프트, 완전 변경 세 가지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브랜드 각인, 기존 수요량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현대자동차 아반떼는 2000년부터 2006년, 2010년, 2015년에 완전 변경이 이루어졌다. 페이스리프트는 2003년, 2009년, 2013년, 2018년 행해져 모두 풀체인지 출시 3년 후에 시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을 판매량 추이와 비교해보면 모델 변경 방식이 확실히 판매량과 모델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판매량이 서서히 떨어질 때쯤 페이스리프트가 출시되면 판매량이 하락 추세였다가 어느 정도 유지된다. 이후 더 떨어질 때는 완전 변경을 하여 해당 모델에 대한 관심과 판매량을 반등시키는 것이다. 아반떼의 모델 라이프 사이클은 풀체인지는 약 5~6년 주기로, 페이스리프트는 완전변경 4년 차에 이루어진다. 이렇듯이 페이스리프트는 각 모델의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판매량이 저조한 시점에 매출 반등의 전략으로 사용된다.[8]

현황[편집]

짧아지는 페이스리프트 주기[편집]

통상적으로 풀체인지 모델은 7~8년 주기로 출시되었으며, 페이스리프트는 3~4년 주기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최근 자동차 업체들은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풀체인지 주기는 4~5년으로, 페이스리프트 모델은 3년을 채 넘기지 않고 출시되는 경우가 많다. 모델 라이프 사이클이 점차 단축되고 있다. 특히 현대자동차의 페이스리프트 주기는 점점 가속화되고 있다. 이는 트렌드를 반영함과 동시에 신차효과를 얻어 해당 차량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기 위함으로 추측할 수 있다.[9] 문제는 짧아지는 페이스리프트 주기에 따라 소비자 입장에서는 거금을 들여 구매한 신차가 금방 구형차가 되어버린다는 것이다. 보통 자동차 회사측에서는 페이스리프트나 신차 출시를 앞두고 기존 모델에 대한 판매량이 하락하는 것을 만회하기 위해 대폭 할인을 제공한다. 곧 출시될 새로운 버전을 모르고 할인에 혹해서 신차를 구매하다가는 낭패를 볼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중고차 시장에서 차량을 구매할 때도 모델 라이프 사이클을 알아두면 유리한 것이 자동차의 시세는 결국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3년 또는 6년 주기의 신차 할부 프로그램이 유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차량의 잔존가치가 형성되어 있는데, 신차 가격을 기준으로 3년 뒤 잔존가치는 50% 수준이다. 결국 여기서 3년을 타고도 차 가격이 신차의 50%를 넘는다면 인기차, 반대로 50% 이하로 떨어지면 비인기차로 추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차량을 구매결정하는 것이 좋다.[10]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변화[편집]

현대자동차의 페이스리프트는 현대 룩(Hyundai Look)을 지향하며 모델의 개성을 살리면서 통일된 디자인 언어를 보여주겠다는 포부를 밝히며 과감한 디자인을 선보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너무나도 파격적인 디자인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논란의 첫 시작은 '삼각떼'라는 혹평으로 유명세를 얻은 페이스리프트 모델 더 뉴 아반떼 AD였다.[9] 더 뉴 아반떼 AD는 헤드램프(headlamp)에서부터 앞범퍼와 후미등까지 다양한 요소에 삼각형을 구현한 혁신적인 디자인을 선보였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낯설고 파격적인 디자인에 난색을 보였으며 더 뉴 아반떼 AD의 디자인은 대중에게 외면받았다.[11] 이후 현대는 싼타페에서 그랜저까지 전 모델에서 파격적인 디자인의 모델을 출시했다. 그중에서도 그랜저는 중후한 멋이 강조되어야 하는 프리미엄 중형 세단답지 않은 파격적인 페이스리프트를 감행했다. 그물망 형태의 그릴을 적용하고 그릴 곳곳에 마름모 장식이 되어 있고 헤드램프 또한 마름모 형태다. 그리하여 더 뉴 아반떼 AD의 삼각떼, G90 후기형의 오각시스에 이어 더 뉴 그랜저는 마름저라는 별명이 생기며 디자인 면에서 혹평을 받게 되었다.[12] 그러나 결과적으로 더 뉴 그랜저는 사전계약 첫날부터 1만 7294대로 그랜저 역사상 최대 첫날 사전계약 대수를 기록했다.[13] 큰 관점에서 본다면 파격적인 시도는 매출 증대와 이어졌으므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겠으나 불만 섞이니 여론은 꾸준히 나오고 있다. 비슷한 시기 출시된 비엠더블유(BMW) 5시리즈와 르노삼성자동차㈜(Renault Samsung Motors SM6의 페이스리프트 모델과 비교하면 현대가 페이스리프트에서 얼마나 파격적인 디자인을 시도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BM5 시리즈의 페이스리프트는 전면부 헤드라이트와 그릴을 기점으로 아웃라인이 강해지고 날카로운 디자인으로 변화된 것을 제외하면 기존 모델의 이미지를 유지하여 기존의 것을 유지하되 트렌드를 적절히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SM6의 페이스리프트는 기존 모델에서 범퍼에 얇은 크롬 라인을 추가하고 주간주행등 각도를 변경하는 등 약간의 변화만 주었다. 기존 모델과의 통일성을 지키면서 개선에 충실한 페이스리프트의 정석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받는다. 대부분의 자동차 업체가 페이스리프트 모델에서 기존 모델의 개선과 변화에 집중하는 반면, 현대자동차의 페이스리프트는 기존 모델과 확연히 구분되는 파격적인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평가가 극과 극으로 갈리고 있는 상황이다.[9]

각주[편집]

  1. ↑ 1.0 1.1 〈페이스리프트〉,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2. 〈페이스 리프트〉, 《네이버 자동차용어사전》, 2012-05-25
  3. ↑ 3.0 3.1 3.2 3.3 3.4 3.5 3.6 3.7 〈페이스리프트〉, 《나무위키》
  4. 〈페이스 리프트〉, 《네이버 한경 경제용어사전》, 2004-12-28
  5. 마이클, 〈풀체인지, 페이스리프트, 연식변경.. 자동차 출시의 종류와 의미는?〉, 《카카오 콘텐츠 뷰》, 2019-02-24
  6. 바이카, 〈같은 듯 다른 페이스리프트와 풀체인지 차이는?〉, 《티스토리》, 2019-09-06
  7. 〈모델 라이프〉, 《네이버 자동차용어사전》, 2012-05-25
  8. 〈완전변경? 페이스리프트? 왜 하는 것일까?〉, 《영현대》, 2019-06-03
  9. ↑ 9.0 9.1 9.2 〈요즘 차 사려는 아빠들이 유독 현대차가 출시하는 신차를 싫어하는 결정적인 이유〉, 《오토포스트》, 2020-07-24
  10. 김준형 기자, 〈(김준형의 오토 인사이드) 우리가 '신차 출시주기'를 알아야 하는 이유〉, 《이투데이》, 2020-11-02
  11. 〈현대 아반떼/6세대〉, 《나무위키》
  12. 〈현대 그랜저/6세대〉, 《나무위키》
  13. 이지완 기자, 〈"누가 마름저라 비웃었지?"… 더 뉴 그랜저, 사전계약 첫날 1만7294대〉, 《머니S》, 2019-11-05

참고자료[편집]

  • 〈페이스리프트〉, 《네이버 시사상식사전》
  • 〈페이스 리프트〉, 《네이버 자동차용어사전》, 2012-05-25
  • 〈페이스리프트〉, 《나무위키》
  • 〈페이스 리프트〉, 《네이버 한경 경제용어사전》, 2004-12-28
  • 마이클, 〈풀체인지, 페이스리프트, 연식변경.. 자동차 출시의 종류와 의미는?〉, 《카카오 콘텐츠 뷰》, 2019-02-24
  • 바이카, 〈같은 듯 다른 페이스리프트와 풀체인지 차이는?〉, 《티스토리》, 2019-09-06
  • 〈모델 라이프〉, 《네이버 자동차용어사전》, 2012-05-25
  • 〈완전변경? 페이스리프트? 왜 하는 것일까?〉, 《영현대》, 2019-06-03
  • 〈요즘 차 사려는 아빠들이 유독 현대차가 출시하는 신차를 싫어하는 결정적인 이유〉, 《오토포스트》, 2020-07-24
  • 김준형 기자, 〈(김준형의 오토 인사이드) 우리가 '신차 출시주기'를 알아야 하는 이유〉, 《이투데이》, 2020-11-02
  • 〈현대 아반떼/6세대〉, 《나무위키》
  • 〈현대 그랜저/6세대〉, 《나무위키》
  • 이지완 기자, 〈"누가 마름저라 비웃었지?"… 더 뉴 그랜저, 사전계약 첫날 1만7294대〉, 《머니S》, 2019-11-05

같이 보기[편집]

  • 모델체인지
  • 연식변경
  • 마이너체인지
  • 풀체인지

 

현대 페이스리프트 - hyeondae peiseulipeuteu
현대 페이스리프트 - hyeondae peiseulipeuteu
이 페이스리프트 문서는 자동차 외장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자동차 : 자동차 분류, 자동차 회사, 자동차 종류, 전기자동차, 자동차 제조, 자동차 부품, 자동차 외장, 자동차 내장, 자동차 전장, 자동차 부품 회사, 배터리, 배터리 회사, 충전, 에너지, 소재, 자동차 판매, 자동차 판매 회사, 운전, 운송, 자동차 역사, 자동차 인물
자동차 외장 단차 • 뒷범퍼 • 뒷패널 • 듀얼머플러 • 듀얼트윈머플러 • 리어오버행 • 리프트 ​• 마이너체인지 • 머플러(배기구, 소음기) • 모델체인지 • 몰딩 • 바디 • 범퍼 • 보행자 에어백 • 사이드패널 • 사이렌 • 스키드 플레이트 • 실외 • 안전판 • 안테나 • 앞범퍼 • 앞패널 • 언더바디 • 언더패널 • 연식변경 • 오버행 • 외관 • 외부 • 외장 • 위장막 • 유선형 • 자동차 반사경 • 전고 • 전장 • 전폭 • 주유구 • 차체 • 차체바닥 • 키 • 트윈머플러 • 패널 • 페이스리프트 • 풀체인지 • 프런트오버행 • 화물칸
색상 갤럭틱 그레이 메탈릭 • 그래비티 골드 매트 • 그래비티 블루 • 글래시어 • 녹턴 그레이 메탈릭 • 디지털 그린 매트 • 디지털 그린 펄 • 디지털 틸그린 펄 • 딥 포레스트 그린 • 런웨이 레드 • 레피스 블루 • 로얄 블루 • 루시드 블루 펄 • 마칼루 그레이 • 마테호른 화이트 • 마티라 블루 • 매트 • 멜버른 그레이 • 문스케이프 매트 그레이 • 미스틱 올리브 그린 펄 • 민트 • 바이오 필릭 블루 펄 • 베르비에 화이트 • 블레이징 레드 • 비크 블랙 • 사이버 그레이 메탈릭 • 상파울로 라임 • 세레니티 화이트 펄 • 세빌 실버 • 슈팅스타 그레이 매트 • 스노우 화이트 펄 • 아타카마 코퍼 • 아틀라스 화이트 • 어비스 블랙 펄 • 얼티메이트 레드 메탈릭 • 오로라 블랙 펄 • 요트 블루 • 우유니 화이트 • 인터스텔라 그레이 • 카본 메탈 • 태즈먼 블루 • 트랜스미션 블루 펄 • 틸그린 • 팬텀 블랙 펄 • 펄 • 하나우마 민트
도색 광택 • 덮개(커버) • 도금 • 도색 • 도장 • 도장면 • 래핑(랩핑) ​• 무광 • 무광크롬 • 박리 • 반광 • 백화현상 • 변색 • 보호필름 • 스월마크 • 스크래치(흠집, 기스) • 언더코팅 • 워터스팟 • 유광 • 유리막 • 유리막 코팅 • 윤기 • 자동차 커버 • 차량보호필름 • 천막 • 칠 • 카스킨 • 코팅 • 크롬도금 • 클리어코트 • 투명필름 • 틴팅(썬팅) • 페인트 • 폴리싱 • 표면 • 표면처리 • 피막 • 필름 • 하이그로시 • 호로(호루)
도어 VLS 도어 • 걸 윙 도어 • 경첩 • 도어 • 도어래치 • 도어 레귤레이터 • 도어바이저 • 도어패널 • 도어핸들 • 두짝문 • 뒷문 • 뒷문손잡이 • 디스어피어링 도어 • 레귤러 도어 • 문 • 문손잡이 • 문짝 • 문콕 • 문틀(도어프레임) • 문틈 • 발판(스텝) • 버터플라이 도어 • 사이드도어빔 • 사이드스텝 • 사이드실(로커패널) • 소프트클로징(고스트도어) • 스마트 파워 슬라이딩 도어 • 스완 윙 도어 • 슬라이딩 • 슬라이딩 도어 • 시저 도어 • 아웃사이드 도어핸들 • 앞문 • 앞문손잡이 • 양문 • 에포트리스 도어 • 인사이드 도어핸들 • 전면 도어(프런트 힌지 도어) • 차문 • 캐노피 도어 • 코치도어(수어사이드 도어) • 파워 슬라이딩 도어 • 파워윈도우 • 팝업식 도어핸들 • 프레임리스 도어 • 헬릭스 도어
유리필러 A필러 • B필러 • C필러 • D필러 • 강화유리 • 그린하우스 • 뒷문유리 • 뒷유리 • 리어필러 • 벤트글래스 • 부분강화유리 • 사이드미러 • 색유리 • 선셰이드 • 앞문유리 • 앞유리 • 열선유리 • 오페라글래스 • 와이드미러 • 와이퍼 • 와이퍼 블레이드 • 윈도우 • 윈드쉴드 • 유리 • 유리창 • 유리파편 • 이중접합유리(라미네이트 글라스) • 일반유리 • 자외선 차단 유리 • 쪽창 • 차창 • 창문 • 창틀 • 쿼터글래스 • 통유리 • 투명유리 • 파편 • 펜더미러 • 필러 • 필러리스
타이어 16인치휠 • 17인치휠 • 18인치휠 • 19인치휠 • 20인치휠 • OE타이어 • PSI • RE타이어 • UHP 타이어 • UTQG • 겨울용 타이어(윈터타이어) • 고무 • 고무타이어 • 공기압 • 공기입 타이어 • 공기타이어 • 공력휠 • 그루브 • 녹용휠 • 뒷바퀴(후륜) • 뒷펜더 • 런플랫 타이어 • 레이디얼 타이어 • 롱휠베이스 • 리브 • 머드가드 ​• 무늬 ​• 무한궤도 • 바퀴 • 불판휠 • 브레이커 • 비드 • 비드 와이어 • 사계절 타이어(올시즌타이어) • 사륜 • 사이드월 • 사이프(커프) • 사일런트 타이어 • 솔리드타이어 • 스터드 • 스터드리스 타이어 • 스틸휠 • 스파이크 타이어(스터드 타이어) • 스페어타이어 • 스포츠타이어 • 슬릭타이어 • 알로이휠 • 앞바퀴(전륜) • 앞펜더 • 에어로휠 • 에어리스 타이어 • 여름용 타이어(썸머타이어) • 오버펜더 • 올웨더 타이어 • 윤거 • 윤거전 • 윤거후 • 재생타이어 • 차륜 • 카커스 • 컴포트타이어 • 타이어 • 타이어 무늬 • 타이어 블록 • 타이어 코팅 • 타이어 홈 • 튜브 • 튜브리스 타이어 • 튜브 타이어 • 트레드 • 트레드웨어 • 펜더(휀더, 흙받이) • 편평비 • 플라이레이팅(PR) • 홈 • 휠 • 휠디스크 • 휠림 • 휠베이스(축거) • 휠스포크 • 휠에어커튼 • 휠커버 • 휠하우스 • 휠하우스 커버 • 휠허브 • 흡음타이어
루프 T바 루프 • 글라스루프 • 랙 • 롤바 • 롤블라인드 • 루프 • 루프도어 • 루프라인 • 루프랙 • 루프레일 • 루프박스 • 루프백 • 루프스킨 • 루프 스포일러 • 루프캐리어 • 루프텐트 • 루프패널 • 비전루프 • 소프트탑 • 소프트탑 루프텐트 • 솔라루프 • 슬라이드 썬루프 • 썬루프 • 자전거 캐리어 • 지붕 • 캔버스탑 • 토너커버 • 틸트업 썬루프 • 파노라마루프 • 피크포인트 • 하드탑 • 하이루프 • 하드탑 루프텐트
트렁크 데크 • 리어스텝 • 보닛(본네트, 후드) • 수동식 테일게이트 • 스마트 테일게이트 • 적재공간 • 적재함 • 전동식 테일게이트 • 클램쉘 후드 • 테일게이트 • 트렁크 • 트렁크 네트 • 트렁크라인 • 트렁크 리드 • 트렁크 바닥매트 • 트렁크 보드 • 트렁크 쓰루 • 트렁크 언더트레이 • 트렁크 인 트렁크 • 트렁크 플로어 • 프렁크 • 플립업 글래스 • 해치
에어로파츠 GT 타입 스포일러 • 거니 플랩 • 공기흡입구 • 그릴가드 • 디퓨저 • 라디에이터 그릴 • 리어 스포일러 • 리어윙 • 립 스포일러 • 사이드스커트 • 스포일러 • 스플리터 • 슬랜트 노우즈 • 액티브 리어 스포일러 • 에어댐 • 에어덕트 • 에어로파츠 • 역슬랜트(샤크노즈) • 웨일테일 스포일러 • 윈드디플렉터 • 윙 • 카나드 • 캡루프페어링 • 키드니 그릴 • 통풍구 • 프런트 스포일러 • 프런트 스플리터 • 프런트윙 • 호랑이코 그릴 • 환기 • 환기구
가니쉬 LED 가니쉬 • 가니쉬 • 도어가니쉬 • 로고 • 로어가니쉬 • 로커패널라인 • 마크 • 바디라인 • 반사필름 • 뱃지 • 번호판 • 번호판가니쉬 • 범퍼가니쉬 • 벨트라인 • 브랜드 • 사이드가니쉬 • 사이드몰딩 • 상표 • 스티커 • 심볼 • 엠블럼 • 오너먼트 • 웨이스트라인 • 자동차 액세서리 • 장식 • 캐릭터라인 • 콤비네이션 마크 • 테일게이트 가니쉬 • 펜더가니쉬 • 프런트가니쉬 • 필러가니쉬
위키 :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개발, 자동차, 교통, 지역, 산업, 인물, 기업, 단체, 행사,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