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 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K
  • L
  • N
  • M
  • O
  • P
  • Q
  • R
  • S
  • T
  • U
  • V
  • W
  • X
  • Y
  • Z
  •  
  •  

Crest Factor

, ()

주어진 시간 간격내 신호의 피크(peak)값과 rms값의 비로 정의된다.

Critical Damping Ratio

진동계가 주기적으로 진동하며 감쇠되는 상태(underdamped state)와 진동없이 감쇠되는 상태(overdamped state) 사이의 경계를 임계 감쇠라 하며, 이 때의 감쇠비(damping ratio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는 1이다. 1자유도계의 경우, 감쇠비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는 흔히 임계 감쇠값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여기서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는 계의 스프링 상수,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은 계의 질량 그리고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는 계의 감쇠 계수를 각각 의미한다.

Critical Frequency

임계 주파수란 일반적으로 가진 주파수의 입장에서 계의 고유 주파수와 일치하는 가진 주파수를 의미하며, 진동, 음향에서는 다음의 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1) 진동계에서의 임계 주파수 계의 고유 진동 주파수와 일치하는 가진 주파수로, 흔히 1차 진동 모드의 고유 주파수만을 의 미하기도 한다. 예) 회전체의 1차 고유 주파수와 일치하는 회전 주파수 (2) 음향계에서의 임계 주파수 계의 고유 음향 주파수와 일치하는 가진 주파수로, 예를 들면 도파관(waveguide)의 경우 차단 주파수(cut-off frequency)라고도 일컫는다. (3) 진동계와 음향계가 연성된 경우 유연한 격벽(예; 커텐)에 음파가 입사되었을 때, 격벽 내에는 그 표면을 따라 전파하는 굴곡파(flexural wave)가 발생하게 되며, 입사되는 음파의 파장과 글곡파의 파장이 같아지는 주파수를 임계 주파수라고 한다. 임계 주파수로 입사되는 음파는 격벽 내 굴곡파와 에너지 전달이 잘 이루어지게 되어 입사된 음파를 효과적으로 방출하게 된다. 즉 소음 방지의 입장에서 보면, 임계 주파수 성분은 격벽으로 차단하기 어렵다고 볼 수 있다.

Critical Speed

터빈, 발전기 등 회전체에서 회전자가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는 속도로 회전하면 공진 현상이 유발되어 회전체가 상당히 위험한 상황에 달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위험 속도라 하며 회전체 운전시 위험 속도보다 낮은 영역에서 운전하든가 아니면 가능한 한 빨리 위험속도 영역을 탈출하여 위험 속도 이상에서 운전하도록 하여야 한다.

Cross Talk

, ()

다채널 신호 측정시 임의의 측정 채널이 다른 채널에 미치는 영향을 말하며, 측정시에는 누화 현상을 최소로 할 필요가 있다.

Cross-Spectral

Cross-Spectral Density Function

Cross-Spectral Density Function

유한 푸리에 변환에 의해 두 신호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사이의 상호 스펙트럼 밀도 함수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는 양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여기서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는 앙상블(ensemble)평균,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는 유한시간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에 대한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의 후리에 변환,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는 복소 공액을 나타낸다.

정상 랜덤 신호(stationary random signal)의 경우, 상호 스펙트럼 밀도 함수는 상호 상관 함수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의 후리에 변환 관계를 갖는다.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여기서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는 후리에 변환을 의미한다.

Cut-off Frequency

관심 주파수 대역의 상한 주파수를 차단주파수라 하며, 관 음향학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특수한 의미를 지닌다.
임의의 단면을 갖는 도파관(waveguide) 내에 음파가 전파될 때, 단면 방향으로의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번째 음파 모드가 발생되는 주파수를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번째 모드의 차단주파수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이라 하며, 가진 주파수가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보다 클 경우 그 모드는 주축을 따라서 전파하며, 작을 경우 그 모드는 주축을 따라서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참고) 임계 주파수(critical frequency)

D/A Converter

D/A

A/D(analog to digital) 변환기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이산 신호 처리를 끝낸 이산 신호를 연속 신호로 만드는 변환기이다.

Damped Natural Frequency

감쇠가 있는 계의 고유 진동수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계의 감쇠비(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 즉 임계 감쇠 계수에 대한 감쇠 계수의 비로 표현할 경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여기서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는 감쇠 고유 진동수,
공진주파수 고유주파수 감쇠비 - gongjinjupasu goyujupasu gamsoebi
은 감쇠가 없을 때의 고유 진동수, 즉 비감쇠 고유 진동수를 각각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