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 판 - badag pan

λ=장변 길이 / 단변 길이

λ>2면 1방향 slab, λ<2면 2방향 slab를 사용한다.

- 1방향 슬래브 : 주근은 한 방향으로만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온도철근만 배치된다. void slab(중공 슬래브), ribbed slab(장선슬래브, Joist slab)등이 있다.

- 2방향 슬래브 : 주근과 배력근이 교차하여 배치됨. 단변방향 주근은 20cm 이하, 장변 방향 배력근(부근)은 30cm 이하 간격으로 배치한다. flat slab(무량판구조), waffle slab등이 있다.

그 외에도 3방향 슬래브, 4방향 슬래브, 원형식 슬래브 등이 있으며 2, 4, 3, 원형식순으로 많이 쓰인다.

 *배력근의 역할 : 주근의 위치 고정, 응력 분산, 바닥 콘크리트 균열 방지.

평바닥판(flat slab, 무량판구조)

1) 정의와 용도

- 정의 : 보를 사용하지 않는 바닥판.

- 용도 : 층고를 낮출 수 있는 공장, 학교, 백화점, APT, 사무소 등.

2) 종류, 장단점.

주두(capital)가 있는 경우를 블랫 슬랩, 주두가 없는 경우를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라 한다.

3) 구조제한

4) 철근배근방식 : 2방향, 3방향, 4방향

5) 시공시 유의사항

- 기둥을 보로 보고 설계

- 주열대 상부 : 주간대*1.75, 주열대 하부 : 주간대 *1.6

장선바닥판 : 장선을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바닥판과 일체로 양단부를 보 또는 벽으로 지지하게한 일방향 구조 시스템. 바닥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구조제한

와플바닥판 : 격자형의 비교적 작은 리브를 가진 바닥판. 리브가 격자보의 역할을 함으로써 큰 바닥판을 보를 쓰지 않고 만들 수 있다.

제목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교량 바닥판 적용검토 작성자한국도로공사 작성일 공사명 공사비 공사기간 사업개요

4. 결론


4.1
검토결론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LB-DECK)을 이용한 거더교 바닥판 시공법이 시공성, 안전성, 경제성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기존공법에 비해 그 적용성이 유리하므로,

(2) 고소교량과 같이 시공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거나 하부통행량이 많아 본 방침적용이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교량에 대하여 적용

(3) 적용방안

(3.1) 2005년 하반기 실시설계 준공노선부터 적용

(3.2) 공사중인 노선은 해당 주관부서에서 판단 적용

발주처 시공회사 설계회사 감리회사 기관별분류 공사 > 한국도로공사 공종별분류 기타 업무내용분류 건설일반 통합건설정보분류 시설물분류>운송 교통시설>교량시설>도로교;공종분류>토목공종>교량공사 현황 및 문제점

2. 현황 및 문제점


2.1
현 적용현황 및 문제점

바닥 판 - badag pan

2.2 Precast concrte pannel

(1) 개념

바닥 판 - badag pan

(2)

국내외 설계기준 및 적용현황

(2.1) 설계기준

바닥 판 - badag pan

(2.2)

적용현황
바닥 판 - badag pan
 

개선내용

3. 개선내용


3.1
국내적용 공법

3.1.1 개요

(1) Lattice Bar가 부착된 프리캐스트 판넬로서 현장치기 콘크리트와 일체화되어 완전합성 작용에 의해 외력에 저항하는 거푸집 겸용 프리캐스트 바닥판

바닥 판 - badag pan

 

3.1.2 시공방법

(1) 1.2m, 두께 6cm의 고강도(=400kgf/) 프리캐스트 판넬에 미리 삼각형 형태의 Lattice Bar와 인장주철근의 일부를 배치하고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대차를 이용, 거더와 거더사이에 설치한 다음 나머지 필요한 인장 주철근과 배력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바닥판을 완성

바닥 판 - badag pan
 


3.1.3
주요특징

바닥 판 - badag pan

3.1.4 합성바닥판으로서의 적정성 검토

(1) 도로교설계기준의 적합성

바닥 판 - badag pan

(2)

합성 전, 후 구조적 안정성

(2.1) 합성 전후의 바닥판 성능실험결과

(2.1.1) LB-DECK 교량바닥판의 합성전후 내하력 평가연구보고서(전남대 및 호남대)

바닥 판 - badag pan

(2.2)

합성작용 여부에 대한 검토

(2.2.1) LB-DECK 교량바닥판의 합성전후 내하력 평가연구보고서(전남대 및 호남대)

바닥 판 - badag pan

(2.3)

피로안정성 검토

(2.3.1) LB-DECK 교량바닥판의 합성전후 내하력 평가연구보고서(전남대 및 호남대)

바닥 판 - badag pan

3.1.5 공법별 비교

(1) 장단점 비교

바닥 판 - badag pan

(2)

경제성 비교
바닥 판 - badag pan

(2.1)

경제성은 비교조건에 의거 단순 비교한 것으로서 현장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결론

4. 결론


4.1
검토결론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LB-DECK)을 이용한 거더교 바닥판 시공법이 시공성, 안전성, 경제성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기존공법에 비해 그 적용성이 유리하므로,

(2) 고소교량과 같이 시공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거나 하부통행량이 많아 본 방침적용이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교량에 대하여 적용

(3) 적용방안

(3.1) 2005년 하반기 실시설계 준공노선부터 적용

(3.2) 공사중인 노선은 해당 주관부서에서 판단 적용

붙임파일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