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Data 폴더 없음 - AppData poldeo eobs-eum

윈도우 10 appdata 폴더 위치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윈도우 10을 이용하실 겁니다. 윈도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나 설정에 대한 내용이 윈도우 appdata 폴더에 저장됩니다. 하지만 이 폴더는 숨김 상태로 되어 있으며 구조가 복잡하여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면 전혀 이용방법을 모를 겁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 10 appdata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윈도우 appdata이란?

appdata는 윈도우 계정마다 있으며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와 설정이 저장됩니다. 숨김 파일 표시를 적용해야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Appdata는 Application Data라는 뜻을 줄인 말이며 윈도우 비스타부터 존재했으며 현재에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AppData 폴더 없음 - AppData poldeo eobs-eum

저의 경우 숨김 표시가 되어 있지 않도록 숨김 해제를 해서 그냥 보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숨긴 항목]에 체크를 하셔야 보일 겁니다. 

appdata 폴더의 경로 : C:\Users\사용자명\AppData

위의 경로를 그대로 주소표시줄에 입력을 하면 한 번에 이동이 가능합니다.

AppData 하위 폴더

AppData 폴더 안에는 Local, LocalLow, Roaming이 있습니다. 이 폴더별로 각각 의미가 있습니다.

Local 폴더

이 폴더는 단일 컴퓨터의 특정 데이터가 들어갑니다. 계정 간 로그인을 하더라도 컴퓨터 간에 동기화가 되지 않으며 데이터나 캐시 파일이나 기타 대용량 파일이 있습니다.

LocalLow 폴더

이 폴더는 Local의 폴더와 의미는 비슷합니다. 제한된 보안 설정으로 실행되는 'low intergrity' 응용 프로그램을 위해 설계되었고 보호 모드로 실행되는 익스플로러만 이 폴더에 접근됩니다.

Roaming 폴더

이 폴더는 폴더의 이름처럼 로밍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사용자 계정 로밍할 수 있는 데이터가 존재하며 구글이나 다른 웹브라우저 계정에 연결하여 설정이나 북마크, 검색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AppData 삭제

C:\Users\사용자명\AppData\Local과 C:\Users\사용자명\AppData\LocalLow의 경로를 통해서 다양한 파일과 폴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자신에게 필요 없는 파일을 모두 삭제할 수 있습니다. Temp는 임시 파일이나 캐시를 저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삭제를 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C드라이브의 용량이 부족한 경우 이 폴더의 파일을 삭제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입니다.

AppData 백업

윈도우 사용자라면 AppData 폴더의 위치를 모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폴더를 백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해당 폴더를 통째로 백업해야 합니다.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설정을 이용하려면 해당 폴더의 위치를 새 컴퓨터에 복사하면 됩니다. 그렇게 하면 이전에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동일한 설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신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의 설정이 있다면 폴더를 백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글 2020 정품 다운로드 정품인증 하는 방법

오토캐드(Autocad 2021) 무료 다운로드 설치 정품인증 한글패치 방법

윈도우10 드래그 드롭 안됨 해결 방법

윈도우를 계속 사용하다 보면 자꾸만 윈도우 하드나 ssd의 용량이 부족해 지네요. 저도 노트북을 한 6년동안 사용하다 보니 점차 하드의 용량이 부족해 지는게 눈에 보일 정도네요.

그래서 오늘은 윈도우 appdata 폴더 위치 및 삭제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텐데요. appdata의 경우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을 설치할 경우 자동으로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폴더 경로라고 생각해 주시면 될 거 같습니다.

저는 이 appdata 경로에 용량이 한 30GB 이상 되서 한번 정리를 하니까 용량이 많이 확보되었는데요. 지금부터 어떻게 appdata의 위치를 확인하고 불필요한 파일을 제거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윈도우 appdata 위치 및 삭제 방법 알아보기

AppData 폴더 없음 - AppData poldeo eobs-eum

먼저 윈도우에 appdata 폴더로 들어간 후 파일들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화면으로 들어가야 하는데요. 윈도우 바탕화면에 컴퓨터라고 되어 있는 것을 선택해 주시길 바랍니다.

윈도우10에서 제공하는 내 pc 화면이 나타나면 상단에 보기 메뉴가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보기 메뉴에서 숨김파일이나 폴더를 볼 수 있도록 숨긴 항목 설정을 체크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 후 이제 appdata 폴더로 들어가 볼텐데요. 내 PC 창에서 운영체제가 설치된 디스크 드라이브로 들어가 주시길 바랍니다. 대부분 c 드라이브를 선택해 주시면 될 거 같습니다.

c드라이브에 들어갔다면 사용자 또는 users 라고 되어 있는 폴더가 있을텐데요. 해당 폴더로 들어가세요.

사용자 폴더로 들어가면 내 운영체제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목록들이 보이게 될 텐데요. 여기서 내가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로 들어가 주시길 바랍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 명이 JHN으로 되어 있네요.

로그인 한 사용자 폴더로 들어가면 중간에 숨김파일도 AppData 폴더가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ppData 폴더에 들어가면 현재 컴퓨터에 설치된 각종 프로그램의 데이터가 있는걸 볼 수 있습니다.

또한 appdata의 경우 상당히 용량을 많이 차지하고 있을텐데요. 이러한 경우 temp 폴더에 들어가서 해당 폴더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를 모두 삭제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temp 폴더는 [appdata -> local -> temp] 폴더에 있는것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AppData -> LocalLow -> Temp] 폴더에도 임시파일들이 있는걸 볼 수 있는데요. 해당 폴더에도 임시적으로 생성된 파일과 폴더가 있으니 불 필요한 경우 삭제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appdata 안에 임시폴더와 파일들을 삭제한 후에 다시 확인해 보시면 c 드라이브의 용량이 줄어들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윈도우 appdata 위치 및 삭제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