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연세대 논술 기출 - 2023 yeonsedae nonsul gichul

2023 연세대 논술 기출 - 2023 yeonsedae nonsul gichul

연세대학교는 진리와 자유의 정신을 갖춘 글로벌 리더를 선발합니다.

연세대학교는 진리와 자유의 정신을 갖춘 글로벌 리더로서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우수인재 선발, 고등교육의 비전을 선도하는 입학정책과 제도의 마련, 사회공헌과 통합에 기여라는 정책적 목표 하에 다양한 입학전형을 도입하여 우수인재들을 선발하고 있습니다.

대학 입학


공지사항

  • 수시모집 2023학년도 수시모집 학생부교과전형[추천형] 1단계 합격자 발표 2022.10.07
  • 수시모집 [2023 수시모집] 논술시험 응시 장애학생 편의제공 신청 안내 2022.09.23
  • 수시모집 2023학년도 수시모집 우편물 도착 확인 2022.09.13
  • 수시모집 2023학년도 신입학 수시모집 온라인 원서접수 안내 2022.09.12

전형안내

  • 수시모집
  • 정시모집
  • 편입학
  • 재외국민
  • 외국인
  • 약학대학
  • 의과대학 학사편입학
  • 치과대학 학사편입학

대학원 입학

일반 대학원

  • 일반 대학원

    공지사항

    • 공지 아산사회복지재단 2023년 의생명과학분야 대학원 장학생 선발 안내 2022.10.04
    • 공지 아산사회복지재단 2023년 보건의료정책분야 대학원 장학생 선발 안내 2022.10.04
    • 공지 2022학년도 2학기 대학원 대면수업 방역지침 안내 2022.10.04
    • 공지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 국비유학(연수)생 모집 공고 2022.09.29

    전체 원서접수 일정

    • 일반 전형

      [19년 후기입학] 2019.4.26.~5.3.

      [20년 전기입학] 2019년 10월

    • 외국인 전형

      [19년 후기입학] 2019.4.26.~5.3.

      [20년 전기입학] 2019년 10월

    • 조기입학 전형

      [20년 전기입학] 2019.4.26~5.3.

    • 학부.대학원 연계과정

  • 전문 대학원

    • 연합신학대학원 신학관02-2123-3243 연합신학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 국제대학원새천년관 510호02-2123-3293 국제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 정보대학원새천년관 410호02-2123-4187 정보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 커뮤니케이션대학원성암관 201호02-2123-3443 커뮤니케이션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 사회복지대학원아펜젤러관 102호02-2123-6203 사회복지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 경영전문대학원경영관02-2123-8639 경영전문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 법학전문대학원광복관02-2123-3803 법학전문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 특수 대학원

    • 교육대학원교육과학관02-2123-3262 교육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 행정대학원 연희관 219호02-2123-3272~3273 행정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 공학대학원제1공학관 3층 316호02-2123-3282~4 공학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 보건대학원연세의료원 종합관 308호02-2228-1506~8 보건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 언론홍보대학원빌링슬리관 205호02-2123-3298~9 언론홍보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 법무대학원광복관 205호02-2123-3803~4 법무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 생활환경대학원삼성관 110호02-2123-3912~5 생활환경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 경제대학원신상경관02-2123-4173~4 경제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 간호대학원간호대학, 대학원02-2228-3234~7 간호대학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2023 연세대 논술 기출 - 2023 yeonsedae nonsul gichul

2023학년도 논술고사는 10월 1일부터 시작된다. 논술 전형 시행 대학 중 대다수가 수능 이후에 논술고사를 치르지만 가톨릭대, 경기대, 서경대, 서울시립대, 성신여대, 연세대, 홍익대는 수능 전인 10월에 논술고사를 시행한다.

곧 다가올 수능 전 논술고사,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수능 전 대학별 논술고사 일정 및 출제 경향 
가톨릭대·경기대·서경대·서울시립대·성신여대·연세대·홍익대 

가톨릭대는 10월 9일 논술고사를 시행한다. (단 약학과와 의예과는 수능 후 11월 20일에 시행), 수능 전 시험이 시행되는 모집단위 중 간호학과만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적용되고, 다른 모집단위는 수능 최저를 적용하지 않는다.

인문계는 언어논술(지문∙자료제시형), 자연계는 수리논술을 시행한다. 다만 자연계 중 공간디자인, 소비자학, 의류학, 아동학의 경우 언어논술을 보게 된다.

타 대학도 마찬가지겠지만 가톨릭대의 경우 교과서에서 제시문이 출제돼 사교육이 없이도 문제 해결이 가능한 수준이고, 교과의 실질반영비율은 11%대로(2022학년도 최종등록자 평균은 4등급 중후반에서 5등급 초중반 정도) 논술에 따라 당락이 결정됨을 알고 준비해 보도록 하자.

경기대는 10월 29일에 논술고사를 시행한다. 언어영역과 사회영역에서 각 1문항씩 출제되고, 문항별 30점을 만점으로 복수의 제시문에 하나의 논제로 구성된다. 수리논술은 출제하지 않으나, 통계자료 해석, 응용, 평가해 논제를 해결하는 형식으로는 출제되기도 한다. 올해는 경쟁률이 전년도에 비해 감소해 다소 부담이 줄었다고 볼 수 있다.

올해 논술이 신설된 서경대는 가천대, 수원대 등과 유사한 약술형 논술고사로 10월 30일에 시행한다. 학생부 60%와 논술 40%가 반영되고, 논술 배점은 400점 만점에 기본점수 250점과 국어 90점+수학 60점으로 평가한다. 국어는 국어, 문학, 독서에서만 9문항 내외가 출제되고, 수학은 수학 I, II에서 6문항 내외가 출제된다. 올해는 220명 모집에 2,137명이 지원해 9.71의 경쟁률을 보였다.

자연계열에서만 논술을 시행하는 서울시립대는 10월 8일 논술고사를 치른다. 올해는 경쟁률이 33.96:1로 전년도보다 크게 낮아졌다. 수리논술로만 출제되며 모두 4문항이 출제되고, 수학, 수학 I, II, 확통, 미적, 기하 교육과정 내에서 출제된다.

모집단위에 따라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서 시험을 치르는데, 모의논술 문항은 범위 전반에 걸쳐 고르게 출제됐으므로 전 단원에 걸쳐 주요 내용들을 정리하며 대비해야 한다.

성신여대 자연계열은 10월 1일, 인문계열은 10월 2일에 논술고사를 시행한다. 인문계열 논술은 4~5개의 지문∙자료를 제시하는 통합교과형 논술로 2개 문항 이내로 출제된다. 고등학교 교육과정 수준의 문제해결 능력을 바탕으로 제시자료를 활용해 자신의 견해를 설득력 있게 표현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자연계열은 제시된 문제에 대한 답안과 그 풀이과정을 요구하는 수리논술 문제가 4문항 이내(문항별로 2~4개의 하위 문제 포함)로 출제된다.

연세대는 10월 1일 논술고사를 치른다. 올해 경쟁률은 38.97:1로 전년도보다 지원자가 3,000명 이상 감소해, 경쟁률이 다소 완화됐다.

자연계열 논술은 수학 60점, 과학 40점으로 구성되며, 수학 과목의 범위는 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 등을 모두 아우르고 과학 과목은 모집단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과목이 지정돼 있다. 전년도에는 수학논술이 계산 위주에서 증명 위주로 변경되고 과학논술도 심화내용 등이 다수 출제되는 등 매우 까다롭게 출제됐다.

인문계열 논술은 인문∙사회 교과목의 통합형 문제가 출제된다. 수리∙통계 자료 또는 과학 관련 제시문과 영어 제시문도 포함될 수 있으니 이에 대한 준비 또한 필요하다. 전년도에는 수학적 개념을 응용하는 문제가 특히 어렵게 출제됐다.

홍익대 자연계열은 10월 8일에, 인문계열은 10월 9일에 논술고사를 치른다.

인문계열 논술은 하나의 논쟁적 이슈나 현상에 대한 2~4개의 제시문으로 이루어진 문항으로 구성된다.

자연계열 논술은 논리적∙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측정을 위한 문제가 출제되며, 각 문제는 제시문과 2~4개의 소문항으로 구성된다. 시험범위에 ‘기하’가 포함되므로, 해당 교과목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점검해야 한다.

■ 2023 수능 전 논술고사 시행 대학   

대학

논술 일정

전형 방법

경쟁률

수능 최저학력기준

가톨릭대

10월 9일

논술 70%

학생부 30%

52.72

(의대 약학 포함)

간호: 국,영,수,탐(1) 중 3개 합 6 이내

경기대

10월 29일

논술 60%

학생부 40%

14.98

X

서경대

10월 30일

논술 40%

학생부 60%

9.71

X

서울시립대

10월 8일

논술 70% 

학생부 30%

33.96

X

성신여대

(자)10월 1일

(인)10월 2일

논술 70% 

학생부 30%

24.55

(인문)국,영,수,탐(1) 중 2개 합 6 이내
(자연)국,영,수,탐(1) 중 2개 합 7 이내

연세대

10월 1일

논술 100%

38.97

X

홍익대

(자)10월 8일
(인)10월 9일

논술 90% 

학생부 10%

25.98

(인문)국,영,수,탐(1) 중 3개 합 7 이내

(자연)국,영,수(미/기),과(1) 중 3개 합 8 이내

*공통 한국사 4등급 이내

하루에 하나씩, 실전 연습 
논술고사를 앞두고 필요한 것은 실전과 같은 연습이다. 논술 또한 시간 내에 답안을 제출해야 하는 시험이기 때문에 시간 연습 없이는 시험장에서 내가 생각하는 것들을 다 보여주기 어려울 수 있다.

본인이 지원한 대학의 기출 문제나 모의논술 문제를 하루에 하나씩, 시간을 재며 답안을 쓰는 연습을 해 보자. 꾸준한 연습은 시험 당일의 긴장감을 낮춰, 평소의 실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이렇게 시간을 재며 서술하는 연습은 한 가지 논제에 빠져 시간을 허비하는 것을 막아준다. 시간 내에 서술하지 못한 것들이 있다면 서술을 중지하고 우수답안 사례 등을 참고한 후 다시 시간을 재며 새로 작성해 보거나, 그것들을 읽으며 따라 써 보는 것도 효율적인 시간 활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인문논술은 학교에 따라 도표 및 통계 자료 해석/분석이 포함된 유형인지 미리 살펴봐야 하며 올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됐던 사건들에 대해서도 자신의 논점을 미리 정리해 완성된 문단을 써보는 연습을 할 필요가 있다.

수리논술의 경우 수능 대비 문제를 풀며 답이 나오기까지 과정을 세세하게 정리하는 연습을 충분히 해야 한다. 또한 그 문제가 요구하는 개념과 정의를 정확히 이해하고 그 정의들을 증명하는 과정을 함께 훈련한다면 수리논술과 수능 수학영역을 동시에 대비할 수 있다.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소장은 “수능 전 논술은 준비 시간이 짧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기출 문제와 모의논술을 꼼꼼히 살펴보며 대학별 출제 경향을 파악하는 것을 가장 우선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에듀진 기사 URL: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152
기사 이동 시 본 기사 URL을 반드시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3 연세대 논술 기출 - 2023 yeonsedae nonsul gichul
* 2023 고1·2·3 생존 대입전략 '1%만 아는 대입 성공법칙' 자세히 보기 [배너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