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학종 자소서 - 2022 hagjong jasoseo

사회

2022 학종 자소서 - 2022 hagjong jasoseo
이덕영

2024학년도 대입부터 학종 자소서 폐지

입력 2022-02-22 11:09 | 수정 2022-02-22 11:10

2022 학종 자소서 - 2022 hagjong jasoseo

[사진 제공: 연합뉴스]

교육부는 올해 고등학교 2학년이 대학에 입학하는 2024학년도부터 대입 학생부 종합전형에서 자기소개서를 폐지한다고 밝혔습니다.

교육부는 오늘 국무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고등교육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을 심의·의결했습니다.

개정안에 따르면 2024학년도 대입부터 일반대학들은 신입생 모집인원 중 10% 이상을 장애인이나 저소득층 등사회적 배려 대상자로 선발해야 합니다.

또, 비수도권의 일반대학과 산업대학, 기술대학에 입학하는 30세 이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원 외 전형을 신설하고 첨단 신기술 분야 석·박사급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원 정원 요건을 완화하도록 했습니다.

인기 키워드

취재플러스

    Chapter 1 한 눈에 보는 2022 대입 트렌드 
    지금은 학생부종합전형 시대, 싹 바뀐 자소서가 판을 뒤집는다. 10

     Chapter 2 입학사정관이 원하는 자소서의 비밀 
    Prologue 입학사정관은 어떤 학생을 선발하고 싶을까? 16 
    Part 01 뽑히는 자소서의 법칙 
    1. 떡잎부터 남다른 전공적합성을 보여라. 17 
    2. 학습경험과 전공적합성은 숫자가 아니다. 21 
    3. 봉사활동은 양보다 질! 25 
    4. 창의적 체험 활동에 매력을 더하라! 29 
    5. 독서활동도 스펙이 된다! 33 
    Part 02 입학사정관이 말하는 불합격 자소서의 오류 
    1. 기재 금지사항을 기재하는 오류 39 
    2. 핵심 없이 나열하기에만 그치는 오류 43 
    3. 자신의 약점을 강조하는 오류 47 
    4. 분량의 딜레마에 빠지는 오류 51 
    5. 자소서에 ‘내’가 없는 주객전도의 오류 56

     Chapter 3 대입 전문 코치가 말하는 자소서 작성법 
    Prologue 막막한 자소서, 어떻게 쓸까? 62 
    Part 01 대입 자소서 처음 쓸 때 누구나 걱정하는 3가지 
    1. 나만의 소설을 작성할 것인가? 입학사정관의 위한 글을 작성할 것인가? 63 
    2. 글자 수만 채울 것인가? 내용을 평가 받게 할 것인가? 68 
    3. 곧바로 글이 작성되지 않는 이유 74 
    Part 02 진학 코치가 추천하는 자소서 작성 7대 비법 
    1. 대입 자소서 작성 준비 스텝 80 
    2. 다양한 경험소재를 스스로 선택하는 방법 85 
    3. 문항 별 작성 패턴을 잡아라. 91 
    4. 입학사정관의 시야를 사로잡아라. 95 
    5. 식상한 경험을 레벨 UP 시키는 방법 99 
    6. 누구나 읽을 수 있는 글로 변화시켜라. 106 
    7. 타인의 시각에서 한번이상 검토 받아라. 110

     Chapter 4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문항별 실전컨설팅 
    116 Prologue 합격 자소서를 완성하는 고품격 실전 컨설팅 
    Part 01 문항별 작성법 팩트 체크 
    1번 문항: 지원학과에 관련된 학업 노력과 활동 경험을 보여라. 117 
    2번 문항: 지원학과에서 잘 어울릴 수 있는 공동체적 인성을 보여라. 124 
    3번 문항: 대학별 자율 문항: 학교별 인재상, 가이드라인을 확인해라. 130 
    Part 02 문항별 실전첨삭 디스패치 
    1번 문항 : #진로탐색 노력, #학업성취도, #전공 적합성, #자기주도적 활동 140 
    2번 문항 : #공동체정신, #인성, #사회성, #협력, #희생 144 
    3번 문항 : #전공 관심, #학교관심, #전공관련 활동, #발전가능성, #계획성 147

     Chapter 5 에필로그 
    대학별 3번 자율문항 152 
    자소서 워크북& 시트지 156 
    학과별 진출분야 162

    2022 학종 자소서 - 2022 hagjong jasoseo

    - 학생부에 기록되지 않은 자신의 성장 과정을 담아야!! -

    2022학년도 대입 수시 모집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을 실시하는 133개 대학 가운데 학생들이 선호하는 53개 대학은 자기소개서 제출을 요구하고, 이 중 34개 대학은 대학 자율 문항을 추가로 작성해 제출해야 한다.

    자소서는 학교생활기록부와 함께 중요한 평가자료다. 학생부가 고교 3학년 1학기까지의 교사에 의한 객관적인 평가 결과라면, 자소서는 지원자가 자신을 스스로 평가하여 제출하는 서류로서 대학의 평가자(입학사정관, 교수)가 지원자 개개인의 특성을 파악하고 학생부에서 파악하지 못한 점을 더욱더 깊이 이해하고 평가하는 자료로 활용된다. 따라서 자소서에서 모집단위와의 연결고리를 중점으로 학생부에 기록된 강점을 부각할 수 있다면 2022학년도 대입 수시 성공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원 대학이 자소서 제출을 요구한다면, 지원자들은 현재 한창 자소서 작성 중이거나 마무리 단계에 있을 것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지정한 자소서 공통문항을 언뜻 보면 어렵게 느껴지지 않는데도 막상 작성하려면 쓸 말이 없어 막히기 일쑤고 수시 원서접수 마감일까지 자소서가 머릿속을 떠나지 않아 수능 공부에 집중하지 못하겠다고 많은 학생이 어려움을 호소한다. 자소서 작성에 대한 걱정과 고민을 떨쳐버리고 다시 수능준비에 전념할 수 있도록 총 5회에 걸쳐 2022학년도 자소서 작성법을 자세히 알아본다.

    평가자의 관심을 끄는 자소서

    평가자의 관심을 사로잡는 자소서를 짧은 시간 내에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 자소서 작성 시간을 줄이려면 평가자의 관심이 어디에 있는지를 명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달리 말하자면, 고교 생활 동안 본인이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고, 무엇을 잘하는지, 자신의 미래에 대해 어떤 고민을 해왔는지를 드러내지 못한다면 이러한 활동은 다른 지원자의 것과 구별되지 않는다. 따라서 자신의 활동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려면 친구들과 비슷한 활동을 했더라도 나름대로 다른 의미를 찾아서 자신만의 이야기로 엮어낼 필요가 있다.

    고등학교 과정 동안 화려한 실적이나 우수한 활동 경험이 없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다. 다른 사람에게 평범하게 보일지라도 자신에게 큰 의미를 주었던 활동 경험을 솔직하게 기술해서 평가자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활동 목적, 동기' → '자신의 역할, 활동과정' → '활동 후 변화된 자신의 모습'을 상세히 서술해야 한다. 그리고 이 활동이 또 다른 활동이나 자신의 진로로 발전되는 일련의 과정까지를 보여 준다면 훨씬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어떤 영역에 관심을 두었으며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을 통해 성장해왔는지, 그 과정에서 어려웠던 점은 무엇이었으며, 어려움은 어떻게 극복했는지, 그 활동 후에 자신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 학생 자신은 잘 알고 있지만, 평가자는 이런 내용을 자세히 알지 못하므로 평가자가 궁금해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자.

    학생부와 연계된 자소서

    학생부는 자소서 작성에 좋은 소재 거리를 제공하므로 자소서 작성에 앞서 먼저 자신의 학생부를 내용 중심이 아니라 역량 중심으로 분석하자. 역량이란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데, 예를 들면, 지원자의 '의사소통역량', '문제해결역량' 등이다. 각 역량은 다양한 능력을 종합하여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를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자소서는 지원자 스스로 작성하는 유일한 서류인 만큼, 자신의 학생부에 기재된 내용 중 장점을 강조하면서도 약점을 보완하고, 학생부에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은 내용을 중심으로 기술해야 한다. 또한, 자소서는 지원자에게는 지원자 개인의 특성과 체험을 직접 알리면서 자신의 내면에서 성장하고 있는 꿈과 열정을 보여 주는 역할을 하며, 대학의 평가자에게는 학생부와 함께 학생을 이해하고 역량을 파악하는데 활용하는 보조 자료가 된다. 따라서 학생부에 기재된 내용을 간추려 옮겨 적거나 단순한 사실이나 연대기적 나열식 서술을 피해야 한다. 화려한 실적이나 근거 없는 자랑거리를 나열하거나 글솜씨만을 뽐낸 자소서는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한다.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서술하는 것도 지양해야 한다.

    2022 학종 자소서 - 2022 hagjong jasoseo

    고교활동 '결과'보다는 '과정'에 초점

    활동의 동기, 과정, 결과 등을 구체적으로 서술한 '나'의 이야기가 중요하다. 고교 교육과정 속에서 자신의 진로 목표 달성을 위해 했던 노력 그리고 지원 계열(전공)과 관련해 발전하는 모습을 각 문항에 맞게 진솔하고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한다. 지원자 본인의 경험이나 일화를 중심으로 객관적인 '사실' 전달에 중점을 둘수록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특히 평가자는 자소서에서 지원자의 활동 자체보다 그 활동에 담긴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므로 자신의 역할과 무엇을, 어떻게 했는지를 구체적으로 드러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이 지원자 본인에게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를 기술해야 진정성을 보여 줄 수 있고 평가자의 마음도 사로잡을 수 있다. 평가자는 '어떤 결과를 얻었는가'보다는 '어떻게 이러한 결과를 얻게 됐는가'를 살피면서 좋은 결과를 얻지 못했더라도 최선을 다해본 경험이 있었는지, 어려움이 닥쳤을 때 어떤 태도와 마음가짐으로 극복했는지, 이런 경험을 통해 무엇을 느끼고 배웠는지에 주목하기 때문이다. '결과'보다는 '과정'에서의 우수성이 더 중요하다.

    특히, 상위권 대학이 요구하는 자소서는 학생부에 담기지 않은, 지원자의 개인별 고교활동을 깊이 이해하고 평가하기 위한 자료이므로 교사가 기재한 학생부를 보완할 수 있는 서류가 되어야 한다. 학생부가 고교 생활 5학기 동안의 '결과'를 보여 주는 것이라면, 자소서는 학생부에 기재된 '결과'에 대한 '과정'을 드러내야만 한다. 지원자는 자소서를 통해 고교 교육과정 속에서 자신의 진로를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왔는지, 그리고 지원 대학과 지원 계열(학과)에 적합한 자질을 충분히 갖추었다는 점을 부각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다른 지원자들의 자소서보다 비교우위를 잘 드러내야만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반드시 고등학교 활동 경험을 기술해야 한다. 초등학교, 중학교 때 이야기는 안 된다. N수생의 경우도 고교 졸업 이후의 활동을 기술해서는 안 된다. 한두 단어라도 학생부에 기록된 교내활동을 기술해야 하기 때문이다.

    요컨대, 평가자가 자소서에서 지원자의 학습 태도와 잠재력을 단박에 알아차릴 수 있도록 작성해야 좋은 점수를 받고 면접으로 직행할 수 있다. 각 문항의 출제 의도를 잘 생각하며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앞으로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를 효과적으로 녹여 내어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집약적으로 기술하자!!

    2022 학종 자소서 - 2022 hagjong jasoseo

    내일, '변경된 자소서 문항 양식'이 이어집니다. ^L^

    공통문항 1 공통문항 2 대학별 자율문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