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0 x 720 비율 - 1280 x 720 biyul

동영상 해상도 및 가로 세로 비율

YouTube는 각 플랫폼 및 동영상 형식에 적합한 가로 세로 비율의 동영상을 표시합니다. YouTube 동영상 플레이어는 각 동영상의 크기에 맞춰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동영상이 표시되는 방식

컴퓨터에서 YouTube의 표준 가로세로 비율은 16:9입니다. 동영상의 가로 세로 비율이 다를 경우 동영상 및 시청자 기기에 맞는 이상적인 크기로 플레이어가 자동 변경됩니다. 

컴퓨터 브라우저에서의 9:16 세로형 동영상과 같은 일부 동영상 및 기기 가로 세로 비율의 경우 YouTube에서 최적의 시청 환경을 위해 패딩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패딩은 기본적으로 흰색이며 어두운 테마가 사용 설정된 경우에는 진한 회색입니다.

최상의 결과를 위해서는 동영상에 직접 패딩이나 검은색 띠를 추가하지 마세요. 패딩은 YouTube에서 동영상 크기 및 시청자 기기에 맞춰 동적으로 플레이어를 변경하는 데 방해가 됩니다.

권장 해상도 및 가로세로 비율

기본 16:9 가로세로 비율의 경우 다음 해상도로 인코딩합니다.

  • 7680p(8K): 7680x4320
  • 2160p(4K): 3840x2160
  • 1440p: 2560x1440
  • 1080p: 1920x1080
  • 720p: 1280x720
  • 480p: 854x480
  • 360p: 640x360
  • 240p: 426x240

참고: 2022년부터 4K와 8K 사이 해상도에 대한 재생 지원을 중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5K 해상도로의 재생은 더 이상 지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해상도는 1920 x 1080

보통 웹 화면 기획을 할 때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해상도*를 기준으로 만듭니다. 2021년 10월 기준 지난 1년 간의 전세계 데스크탑 해상도의 비율을 보면 1920 x 1080 의 비율이 1/4정도를 차지합니다.

[해상도]
해상도는 쉽게 말하면 한 화면에 몇 개의 점이 찍히는가입니다. 1픽셀 x 1픽셀 크기를 하나의 점으로 보고, 그런 픽셀이 가로 1920개, 세로 1080개 들어가 총 207만 3천 6백 개의 점이 찍혀있는 것입니다.

같은 해상도라도 모니터의 크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32인치의 점과 13인치의 점이 크기만 다를 뿐이겠죠. 그러니 같은 그림을 모니터 크기에 따라 늘렸다 줄였다 해서 보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저희 서비스는 한국인 사용자가 90% 이상이므로 한국 사용자만 한 번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280 x 720 비율 - 1280 x 720 biyul
한국은 1920 * 1080이 과반수를 차지합니다.

그럼 1920을 기준으로 잡으면 될까요?

보통은 그보다 작은 화면으로 잡습니다. 1920에 최적화하면 1280 사용자들에겐 다닥다닥 붙어보이거나 불필요한 줄바꿈이 보일테니까요.

그렇다면, 어디까지 고려해야 할까요?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해상도 TOP5가 어떤 환경에서 돌아가는지 살펴봅시다.

1. 1920 x 1080

일명 FHD(Full High Definition)라고 불리는 해상도입니다. MS에서는 24인치 정도일 때 가장 적당하게 보여지는 해상도(권장 해상도)라고 보고 있습니다. 24인치 모니터 정도면 데스크탑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는 모니터 크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2. 2560 x 1440

일명 QHD(Quad HD)라고 불립니다. 대체로 30인치 이상의 큰 모니터 사양에 속합니다. 이 정도 모니터를 쓰는 경우는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이라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이건 제 생각)

3. 1536 x 864

간단히 말하면, FHD 노트북의 해상도입니다.
풀어 설명하면, 1920 x 1080에 125% 배율을 적용한 해상도입니다. 요즘 좀 괜찮다 싶은 노트북은 대체로 FHD로 나오는데, 노트북에서 24인치에 맞던 화면들을 보게되면 텍스트랑 아이콘들이 (너무) 작게 보입니다. 그래서 윈도우에서는 해상도는 유지하면서 일부 부분만 확대해서 보여주는 ‘배율’을 설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 기본 세팅이 125%로 되어 있어 대부분의 사용자가 이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합니다.

1280 x 720 비율 - 1280 x 720 biyul
디스플레이 해상도와 배율 설정은 윈도우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1366 x 768

대부분 보급형 노트북의 해상도입니다. 1366 해상도의 경우 지난 3년 간 꾸준히 그 수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1280 x 720 비율 - 1280 x 720 biyul
1366 x 768 해상도는 지난 3년 간 꾸준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5. 1280 x 720

HD(High Definition) 입니다. 옛날 사양의 모니터, 노트북 등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2.3%밖에 사용하지 않지만 전세계에서는 5.8% 가량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무시할 수 없는 해상도입니다.

일반적으로 1, 2위는 데스크탑 모니터 수준, 3~5위는 노트북 수준이라고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1920이 대세이기는 하지만 지난 3년 간 노트북 판매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노트북 해상도를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1920의 노트북을 기준으로!

그래서 저는 3번, 1536 x 864 정도를 기준으로 잡으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해상도이기도 하고, 노트북 화면을 놓치면 안되기도 하니까요. 1536을 기준으로 화면을 기획하고 1920에서는 조금 여유있게 보여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