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 황제 스킬트리 - 125 hwangje seukilteuli

125 황제 스킬트리 - 125 hwangje seukilteuli

안녕하세요. 로스트아크 아르카나에 대한 이야기를 해드리고자합니다. 자, 그럼 오늘 포스팅도 바로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에 앞서 댓글과 공감은 블로거에 큰 힘이 됩니다.

아르카나는 두 가지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 대부분 유저가 알고 있는 카드. 아덴 게이지를 꽉 채우거나, 퀵 드로 트라이포드를 사용해서 카드를 뽑고 카드를 사용해 버프를 얻습니다.

두 번째로 스택트와 루인 시스템. 스택트 스킬로 보스한테 스택을 쌓고 루인 스킬로 쌓아놓은 스택을 터트리는 겁니다.

125 황제 스킬트리 - 125 hwangje seukilteuli

보면 보스 가디언 위에 카드 4장이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스택트 스킬을 사용해서 스택트 4중첩을 쌓은 거고 이 상태로 루인기를 사용해서 큰 데미지를 주는 게 황후 아르카나의 주딜입니다. (125 황제도 루인기 비중이 꽤 되긴 합니다.)

125? 314? 422? 332? 이게 뭐죠?

아르카나의 스킬은 3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로 스택트 스킬

위에서 설명했듯이 스택트를 보스에게 누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스킬입니다.

두 번째로 루인 스킬

위에서 설명했듯이 보스에게 누적된 스택트를 터트리기 위해서 사용하는 스킬입니다.

세 번째로 일반 스킬

스택트 스킬, 루인 스킬 빼고 나머지 스킬들입니다.

이렇게 세 종류의 스킬이 있고, 위에 숫자들은 세 가지 스킬들을 각각 몇 개씩 채용했는지 숫자로 표현하는 겁니다. 순서대로 스택트/루인/일반 순서대로 입니다.

예를 들어 125는 스택트 1개, 루인 2개, 일반 5개를 채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겠죠.

로스트아크 아르카나의 핵심 스킬들 설명및 아르카나 스킬트리

125 황제 스킬트리 - 125 hwangje seukilteuli

아르카나의 핵심 자버프 스킬입니다. 1번 트라이포드에서 치적 10% 시너지를 챙길 수 있고, 3번 트라이포드에서 77.5%의 치피증을 가져옵니다. 리턴을 채용하지 않는 아르카나는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125 황제 스킬트리 - 125 hwangje seukilteuli

운부라고 많이 부릅니다. 아르카나의 핵심 아이덴티티 수급 스킬입니다. 2번 트라이포드에서 퀵 드로로 많은 양의 카드를 수급할 수 있습니다. 리턴만큼 중요한 스킬입니다.

125 황제 스킬트리 - 125 hwangje seukilteuli

스트림이라고 많이 부릅니다. 리턴으로 인해 치피증이 높은 아르카나에게 궁합이 잘 맞는 치적버프이나, 332에 경우에는 여러 요인이 겹쳐 거의 채용하지 않습니다. 332 단락에서 왜 채용하지 않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이제 기본 설명은 끝났고 각각의 스킬트리와 그 바리에이션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이하 황후 스킬트리입니다.

125 황제 스킬트리 - 125 hwangje seukilteuli

스택트 3개, 루인 3개, 일반 2개를 채용한 스킬트리입니다. 황후 아르카나의 스탠다드 스킬트리입니다.

422에 비해 장점은 높은 무력화, 높은 카드 효율(심판, 삼두사, 균형), 높은 고점이 있고, 단점은 낮은 스택트 안정성, 낮은 딜 안정성이 있습니다.

핵심 스킬은 세렌디피티입니다.

125 황제 스킬트리 - 125 hwangje seukilteuli

332의 장단점은 세렌디피티에서 옵니다. 세렌디피티는 두 번 공격하기 때문에 스택트를 두 번까지 소모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첫 번째 공격에서 스택트가 사라지므로 사용할 수 없지만, 심판 카드를 활용하면 두 번의 루인 데미지로 폭딜을 꽂아넣을 수 있게 됩니다.

무력화 중, 카운터도 훌륭한 유틸입니다.

하지만 루인기 1개를 더 채용하며 스택트 스킬을 하나 빼기 때문에 스택트 스킬이 빗나가면 복구하기 어려워지고 초심자라면 세렌을 언제 사용해야 할지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초심자에게 추천하는 스킬트리는 아닙니다.

설명했듯이 스택트 안정성이 떨어지는 게 단점인데 스트림의 경우 쿨도 길고 스택트가 바로바로 쌓이지 않아서 채용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치적은 세렌디피티의 높은 치피증과 잘 맞긴해서 간혹 채용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 경우 쿼드라가 빠집니다.

유물 세트 : 악몽

유물 단계 각인 : 원저바타아2황1, 원아바타황, 원저바타황

고대 단계 각인 : 원저바타아황1, 원저바타아2황2, 원저바타황3아1

125 황제 스킬트리 - 125 hwangje seukilteuli

332에서 세렌이 빠지고 스트림이 들어간 스킬트리입니다.

332에 비해 장단점은 스택 안정성, 딜 안정성이 좋고, 무력, 카운터, 고점, 카드 효율에서는 약점을 보입니다.

보통 422를 채용하면 스트림으로 치적을 보충할 수 있기 때문에 특신 목걸이에 돌격대장 각인을 채용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초심자에게 추천하는 스킬트리입니다.

유물 세트 : 악몽

유물 단계 각인 : 원돌바저아2황1, 원돌바타아2황1, 원돌바아황, 원돌바저황

고대 단계 각인 : 원돌바저아황1, 원돌바타아3황1, 원돌바저아2황2

특신으로 가면 악세값이 싸지기 때문에 아2황2로 타협하지 않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25 황제 스킬트리 - 125 hwangje seukilteuli

지금은 거의 사장된 스킬트리입니다. 예전에는 삼두사 카드가 개똥카드여서 삼두사를 집고 있으면 삼두사를 제외한 다른 카드만 선택할 수 있었기 때문에 메리트가 있었으나 삼두사 개편도 있었고 악몽 세트를 채용하며 끝없는 마나 상태에서 쿨이 줄어든 운부를 난사할 수 있게 되서 메리트가 많이 떨어졌습니다.

못 알아들으시겠다면 그냥 옛날 세팅, 도태된 세팅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로스트아크 아르카나 스킬트리 엣지 치피 채용 431

125 황제 스킬트리 - 125 hwangje seukilteuli

125 황제 스킬트리 - 125 hwangje seukilteuli

스파이럴 엣지의 급소 포착 트포를 사용하는 빌드가 있긴 합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많이 안 쓰는데는 이유가 있어보입니다. 안 그래도 5초 리턴도 부족한데 두 번이라도 3초간 스택이 비지 않게 딜을 하는 건 실전에서 거의 불가능하다고 필자는 생각합니다.

125 황제 스킬트리 - 125 hwangje seukilteuli

체크메이트를 주딜기로 사용하는 황제 세팅입니다. 사실 반 황제 세팅에 가깝습니다. 유물 단계에서는 황제를 채용하지 않는 것이 더 강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르카나 스킬 중 단일 스킬로 가장 강력한 체크메이트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체크메이트가 홀딩기이기 때문에 2~3초 동안 무방비하게 홀딩을 땡겨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체크메이트를 중심으로 한 사이클 딜러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유물 세트 : 6지배 or 2악몽 4지배

유물 단계 각인 : 원돌질속아2황1 or 원돌질속아

고대 단계 각인 : 원돌질속아황1

질량 증가 빼고 저주받은 인형 가도 됩니다. 공속 10% 패널티와 체력 회복 25% 패널티를 잘 가늠해 보세요.

125 황제 스킬트리 - 125 hwangje seukilteuli

사실 이쪽이 진짜 황제 트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 스킬을 5개 채용하며 리턴이 상시로 돌아가기 때문에 일반 스킬을 무지성 난사하면 되는 스킬트리입니다. 어떻게 보면 황제의 단점 (카드가 무한으로 나와 운용이 힘듦) , 황후의 단점 (카드에 맞춰 사이클을 유연하게 바꿔야 함) 이 합쳐진 스킬트리라고도 볼 수 있으나, 대신 그 둘의 장점을 합친 스킬트리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큰 장점은 '재미'입니다. 모든 스킬트리 중에서 재미 하나는 원탑입니다. (물론 개인차는 있습니다.)

일반 스킬을 중심으로 한 무지성 난사 딜러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유물 세트 : 6지배 or 2악몽 4지배

유물 단계 각인 : 원돌질아황

고대 단계 각인 : 원돌질아황제3황후1

사실상 각인이 거의 고정되어 있습니다. 질증 빼고 저받 넣어도 됩니다.

125 황제 스킬트리 - 125 hwangje seukilteuli

사실 딱 이렇다한 정리된 스킬트리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있는 스킬트리이므로 알려는 드립니다.

125의 변형 스킬트리이며 일반 스킬 중 가장 딜 포텐과 유틸성이 낮은 신비한 쇄도를 빼고 이동기이며 공이속 버프를 챙겨올 수 있는 스크래치 딜러, 가장 딜이 쎈 스킬인 체크메이트를 가져오는 스킬트리인데

스크래치 딜러 채용의 경우, 딜포텐은 좀 떨어지는 편이나, 이동기, 공이속을 통해 유틸성을 챙기는 스킬트리라 볼 수 있습니다. 스크래치 딜러의 2스택으로 레인의 가동률이 더 올라갑니다.

스파이럴 엣지 채용의 경우, 마찬가지로 딜포텐이 떨어지는 대신, 2번 사용할 수 있는 이동기, 강인함 채용으로 피면기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체크메이트 채용의 경우, 딜포텐은 더 올라가는 편이나, 314에 비해 장점이 세렌디피티 채용으로 무력, 카운터 챙기는 거 빼고 장점이 없다시피하고 스크래치 딜러에 안전장치가 없으면 풀공속이 아니기 때문에 질량 증가 채용에도 애로사항이 생기고 체크메이트 홀딩 시간이 너무 길어져서 개인적으로 비추천합니다.

224보다 125나 314를 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이상 네이버 게임인플루언서 곰석이였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