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경을 극복한 인물 - yeoggyeong-eul geugboghan inmul

휠체어를 탄 제2의 아인슈타인 스티븐 호킹

스티븐 호킹하면 생각나는 것은 휠체어와 금속성 목소리다. '빅뱅이론'이니 '아기우주'니 하는 학문적 업적보다 고개조차 스스로 가눌 수 없는 그의 루게릭병을 먼저 떠올린다.

"루게릭병이 아니었더라도 지금 같은 물리학자가 되었을까?" 라는 질문에 호킹은 "병에 걸리지 않았다면 읽고 쓰는 일에 지금같이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았을 것이다. 그 대신 강연하고 시험점수 매기느라 연구를 제대로 못했을 것이므로 결국 루게릭병이 나를 이론 물리학자로 만든 셈이다" 라고 답한다.

휠체어에 앉은 호킹이 움직일 수 있는 것이라고는 왼손의 손가락 두 개와 얼굴 근육 일부분, 폐렴으로 기관지 제거수술을 받은 후 목소리마저 완전히 잃었다. 처음 목소리를 잃고 나서의 의사소통 방법은 비서가 옆에서 알파벳을 적은 카드를 들어 보이면 그 중 원하는 카드에 눈썹을 들어올리는 것이었다. 현재는 휠체어 앞에 달린 컴퓨터를 이용한다. 커서가 2,600단어 위를 빠르게 움직이다 원하는 단어 위에 갔을 때 스위치를 누른다. 이렇게 겨우 한 문장을 만들면 음성합성기가 미국식 엑센트로 소리를 만들어낸다. 1분에 10개 단어가 고작이다.

옥스퍼드를 3년만에 마치고 스무살에 케임브리지대학 박사과정에 갈 때만 해도 그는 건강한 청년이었다. 조정선수로도 활약했다. 그러나 케임브리지에 갔을 때 그는 별다른 이유 없이 자꾸 넘어졌다. 퐁토병을 연구하는 학자였던 아버지는 그를 전문의에게 데려갔고, 마침내 근육이 점점 수축되어 심장근육에까지 이르면 사망하는 루게릭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육체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잃고 언제 죽을지도 모르는 그에게 어떤 희망이 있을까. 그는 놀랍게도 전보다 행복해졌다며, "내가 사형선고를 받았고 지금은 집행유예 기간이라면 하고 싶은 일이 너무 많다. "라고 말한다.

그의 몸이 악화되어 갈수록 밖에서 더 큰 명성을 얻었다.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예견했던 우주 '특이점'의 존재를 스물세살 때 박사학위 논문에서 증명해냈다. 서른 두 살 때는 영국 학술원의 최연소 회원이 되면서 '2의 아인슈타인'이라는 수식어까지 얻었다. 77년에는 케임브리지대학의 중력물리학 정교수로 임명됐다. 기관지 제거수술을 한지 3년후인 88'시간의 역사'를 펴내 세계적인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20개국에서 1천만권 이상 팔렸으며 미국 베스트셀러 차트에 55주 머물렀다고 한다. 또한 과학분야에서 수십 개의 상을 받았다. 루게릭병을 앓고 있으면 어떤 기분인가 하는 질문을 받을 때마다 스티븐 호킹을 별다른 기분을 느끼지 않는다고 대답한다. "가능한 한 정상적으로 살려하고 내 상태에 대해 생각하지 않으려 한다. 내가 할 수 없는 일에는 신경 쓰지 않는다. 실제로는 못하는 일도 별로 없다."

그는 육체적으로는 최악의 상황이지만 유머감각과 여유를 잃지 않고 살아가고 있다.

성공한 수많은 인물이 살아온 삶의 궤적을 추적해보면, 크게 성공하는 사람들에게는 반드시 크나큰 역경과 고난, 불가능에 가까운 어려움이 닥쳐왔다.

그리고 그런 어려움을 극복하고 완성을 이루어냈을 때, 그들 앞에 찬란한 성공의 꽃이 피었다.

때문에 한 사람이 겪어온, 혹은 현재 겪고 있는 고난의 크기가 바로 그 사람의 성공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척도가 된다.

만일 별 역경 없이 지내왔다면 그 사람은 아직까지 완성이 주는 혜택을 크게 받지 못한 사람이며, 또 성공에도 이르지 못한 사람일 것이다.

물론, 고난에 직면한 사람의 입장에서는 죽을 것과도 같은 고통이겠지만.

만일 성공을 주재하는 신이 있어 그 신의 입장에서 고난에 직면한 사람을 본다면, 복이 넝쿨째 굴러 들어갔다고 여길 것이다. 지금부터 복이 넝쿨째 굴러들어온 몇몇 사람을 만나보자. 우선, 역경을 딛고 완성에 이른 사람을 이야기할 때 항상 기억해야 할 사람이 있다.

전구를 발명하기 위해서 수없는 실패를 기꺼이 받아들인 에디슨, 공장을 날리고 동생의 죽음까지 겪으면서도 결국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해낸 노벨, 계속된 실패와 패배 끝에 드디어 대통령이 된 링컨 등이 그들이다.

하지만, 그들의 이야기는 너무나 유명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새로운 인물을 한 명 소개할까 한다. 오늘날 전국 어디에서든지 손쉽게 만날 수 있는 할아버지 한 분을 소개하겠다. 먼저, 인상착의를 말하면, 사람 좋은 인상에 안경을 쓰고 있고, 잘 정돈된 하얀 수염이 멋스럽다.

나비 넥타이에 흰 정장을 한 그는 지팡이를 팔에 걸고는 항상 즐겁게 웃고 있다. 바로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 가게 앞에서 항상 손님을 맞는 할아버지로, KFC의 창업자이다. 커넬 샌더슨이라 불리는 이 할아버지만큼 많은 역경에 직면했던 사람도 드물 것이다.

그는 22세 때 램프 제조 판매업을 하다 전 재산을 탕진해 버렸다. 여기에 실망하지 않고 주유소 경영에 뛰어들었지만, 39세 때 대공황으로 또 한 번 전 재산을 날려버렸다.

40세 때 다시 오뚝이처럼 일어섰으며, 주유소를 경영하다가 후에 식당과 모텔을 운영했다. 이때 아들이 죽는 슬픔을 겪었다. 그리고 49세 때는 화재로 식당과 모텔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그러나 다시 재기하여 레스토랑을 시작했으나, 66세 때 새 고속도로 건설 계획으로 레스토랑이 문을 닫았으며, 또다시 전 재산을 탕진했다. 이때도 그는 실망하지 않고 노구를 이끌고 프라이드 치킨 조리법의 노하우를 프랜차이즈화하기 위해 미국 전역을 순회했다.

결국, 프랜차이즈는 크게 성공했다. 그가 70살이 되었을 무렵에는 프랜차이즈가 미국에만 200점포를 넘었고, 캐나다에도 여섯 점포가 늘어났다.

그는 죽기 바로 직전까지 전국 프라이드 치킨점을 돌아다니며 직접 요리강습을 했다. 9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는 전 세계 48개국에 6천점포라는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했다.

그는 역경이 있을 때마다 그것을 극복하고 오히려 더 크게 성장했다. 그는 이런 말을 남겼다. “훌륭한 생각, 멋진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은 무수히 많습니다.

그러나 행동으로 옮기는 사람은 드뭅니다. 저는 남들이 포기할 만한 일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포기하는 대신, 무언가 해내려고 애썼습니다.

실패와 좌절의 경험도 인생을 살아가면서 겪는 공부의 하나랍니다. 현실이 슬픈 그림으로 다가올 때면, 그 현실을 보지 말고 멋진 미래를 꿈꾸세요. 그리고 그 꿈이 이루어질 때까지, 앞만 보고 달려가세요. 인생 최대의 난관 뒤에는 인생 최대의 성공이 숨어 있답니다.”

현재의 금융위기가 언제쯤 해소될 것인지에 대해 그 누구도 단언할 수 없다. 그러나 지금의 역경이 우리를 더욱 단련시켜줄 것임에는 틀림없다.

세계 각국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관용문들.txt

다른 세계에서도 이런 독특한 이야기 시작/끝을 알리는 관용문이 있나 찾아봤습니다. 시적이고 재밌는 표현이 정말 많더라고요. 1. 게르만어 (독일) “In den alten Zeiten, als das Wünschen noch geholfen hat..” 오래전, 아직 사람들이 무언가를 위해 소원을 빌 적에. 2. 이라크어 (이라크) “Kar aníng te-‘ée’ to-ká a inhláw ar aakó doo-rén ni alki’-a i tí” 난 나의 아버지가 들려준 이 이야기를 기억한다. 3. 카자흐어 (카자흐스탄/중앙아시아) "Ерте ерте ертеде, ешкі жүні бөртеде" 아주 오래전, 염소가 깃털을 가졌을 적에. 4. 러시안(러시안어) "В тридевятом царстве, в тридесятом государстве Жил, был..." 39번째의 왕국의 39번째의 연방에서, 그들은 살았노라. 특이하게도, 북유렵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관용문이 있었습니다. 바로 "n개의 바다와 n개의 산" 하는 말들이 여기서 나왔더군요. 5-1.폴리시(폴란드어) "(Dawno, dawno temu,) za siedmioma górami, za siedmioma lasami..." 아주 오래 전, 일곱 개의 산과 일곱 개의 숲을 지나... 지형에 따라 여러 각색도 들어갑니다. 5-2. 헝가리안(헝가리) "Hetedhétországon is túl, az Óperenciás tengeren is túl, az üveghegyeken is túl, hol a kurtafarkú malac túr" 일곱 개의 나라와 오르펜시아의 바다를 건너, 꼬리가 말린 돼지들이 자리잡은 유리의 산맥 너머에... 5-3. 리투아니안(리투아니아) "Už devynių jūrų, už devynių marių..." 아홉 개의 바다와 아홉개의 산호를 건너... 실제로 리투아니아엔 멋진 산호가 있답니다. 6. 모로칸 아라빅(알제리) "Hajitek ma jitek (حجيتك ما جيتك)" 무슨 일이 펼쳐질지 내가 말한 적이 있을것이다. 여기서 훨씬 더 독특한 표현은 바로 이야기의 끝을 알리는 관용문들이였습니다. 시작문보단 전 이쪽이 좀 더 멋지더라고요. 1'. 모로칸 아라빅(알제리) "وخبيرتي مشات من واد لواد وانا بقيت مع الناس الجواد" 그렇게 내 이야기는 계곡을 따라 흘러 좋은 사람과 함께 나누었도다 2'. 아르마니안(아르마니아)+터키쉬(튀르키에) "Երկնքից երեք խնձոր է ընկնում՝ Մեկը գրողին, մեկը պատմողին, մեկն էլ լսողին: " 세 개의 사과가 하늘/천국에서 떨어졌으니, 하나는 글쓴이에게, 하나는 이야기꾼에게, 그리고 하나는 듣는 이에게 주어졌노라. 3'. 뱅갈어(뱅갈) "aamaar kothati furolo; Notey gaachhti murolo" 내 이야기는 이렇게 끝나며, 시금치는 염소에게 먹혔다. (뿌리를 먹는 염소의 특성 때문에, 무언가가 염소에게 먹혔다=완전히 사라지다를 은유) 4'. 카탈루냐어(스페인/프랑스) "Vet aquí un gat, vet aquí un gos, aquest conte ja s'ha fos. I vet aquí un gos, vet aquí un gat, aquest conte s'ha acabat." 여기에 고양이가 있고, 개가 있으며, 이야기는 벌써 녹아 흘렀다. 그리고 여기에 개가 있으며, 고양이가 있고, 이 이야기는 끝났다. 5'. 아이슬란드어(아이슬란드) "Köttur úti í mýri, setti upp á sér stýri, úti er ævintýri" 고양이가 늪을 빠져나와 꼬리를 치켜드니, 이렇게 모험은 끝을 맺노라. 6'. 쿠르드어(튀르키에/이라크/시리아) "Çîroka min çû diyaran, rehmet li dê û bavê guhdaran." 내 이야기는 다른 집으로 전해지니, 듣는 이의 어머니와 아버지께 신의 가호가 함께 하기를. 7'. 네델란드어(네델란드) "En toen kwam er een olifant met een hele lange snuit en die blies het verhaaltje uit." 그리고 코가 아주 긴 코끼리가 다가와, 이야기를 모두 불어내버렸다. 개인적으로 제일 띠용했던 관용문. 네델란드에 코끼리가? 8'. 암하릭(에티오피아) "ተረቴን መልሱ አፌን በዳቦ አብሱ::" 내 이야기는 끝났으니 나에게 빵을 주시오. (답가를 요청하는 관용문) 9'. 체코어(체코/슬로바키아) "Zazvonil zvonec a pohádky je konec." 종이 울리고 이야기는 끝난다. 10'. 지오마이(나이지리아) "Tamtis noe lat / dok ba muaan yi wa" 내 이야기는 끝나고, 이야기는 집으로 돌아갔노라. 우리나라도 만만찮게 독특하다 생각했었는데, 이외에도 재밌는 표현들이 많으니 여러분들도 한 번 찾아보세요. 끝내는 말도 제일 간지 터지는 인용으로 마무리 하겠습니다. 11'. 아프리칸스(남아프리카) "Fluit, fluit, die storie is uit" 휘, 휘, 이야기는 끝났다. 출처ㅣ트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