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mp lrtemplate 변환 - Xmp lrtemplate byeonhwan

내 생각..

라이트룸 업데이트후 프리셋 안먹히는 경우 확장자 lrtemplate -> XMP로 변경

라이트룸을 기존에 쓰다가 업데이트하거나  삭제후 재설치하면서 프리셋이 적용안되는경우가 발생합니다.

업데이트 되면서 확장자가 XMP로 변경되서 그렇습니다.

기존에 프리셋.lrtemplate -> 프리셋.XMP 로 변경이 됐습니다..

아주아주 짜증나는 노가다가 시작됩니다 ...

특히 삭제후 재설치때는 프리셋만 따로 백업해놓은 상태에서 설치후 Develop Presets 이폴더에 다시 붙여넣기 하면 기존에는 적용이 됐습니다.

지금 되지않는경우는 Develop Presets 폴더에 프리셋들이 ~~ 물결텍스트가 프리셋 이름앞에 있을겁니다

예를 들면 ~~프리셋.lrtemplate 이렇게 되어있어서 인식을 못하는겁니다. 

파일 이름에 특수 문자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사전 설정 폴더에 있는 사전 설정이 변환되지 않습니다. 

이제부터 노가다가 시작되는데요. 기존에 백업하셨던 프리셋들을 ~~을 다 지워줘야합니다.

그리고 나서 재설치한 라이트룸에 기존처럼 Develop Presets 복사후 라이트룸을 재시작하면 

이런식으로 업데이트가 됩니다.

그리곤 다시 Develop Presets  폴더에가면 지랄맞게 또 ~~표시가 되어있습니다 ㅋㅋ..

그래서 노가다로 물결표시없는걸 백업해놓으시는게 좋을꺼같습니다.

그리고 xmp로 바뀐 파일은 라이트룸 ->환경설정->사전설정->lightroom사전설정표시클릭후 ->CameraRaw->Settings 에 xmp로 변환된파일이 있습니다.

 ~/Library/Application Support/Adobe/CameraRaw/Settings

나중에는 CameraRaw/Settings 폴더에있는걸 백업해두는게 더 좋을꺼같습니다.

* 참고로 저는 MAC 유저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랜만의 포스팅입니다.

날씨 때문인지 무엇 때문인지

건강문제가 저한테는 좀 요즘 많이 와닿는 부분인지라

어려운 일을 겪고 나서 다시 일어섭니다^^

건강관리를 먼저 잘 하시라고 말씀드리구요

이건 2018년도 7.3 업데이트 이후 발생된

프리셋 오류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음 작년 오래전에 라이트룸을 사용하면서

7.3 이후 버젼으로 업데이트할 경우

기존에 사용하였던 프리셋(preset)이

읽혀지지 않는 오류가 있었어요~

어떻게 보면 오류가 아니라

라이트룸과 포토샵의 프리셋 확장자가 따로 있는 것을

하나로 하기 위해 xmp 확장자로 일괄 변하게끔

한건데요~

원래는 프리셋 파일명에

"~~" 이런 표기가 없다하면

새로 업데이트 해서도 문제없이 사용이 됩니다.

그러나 프리셋을 변경해서 저장하거나

아니면 본인이 만든 프리셋이 있을 경우

프리셋 저장 폴더인

"develop presets"에는

자동으로 파일앞에 "~~"가 생성되어

업데이트 이후에는

일일이 바꾸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긴다는 점입니다.

자 여러가지 헷갈리는게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거두절미하고

요즘업데이트된 라이트룸 정확히는

라이트룸 classic CC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리셋 파일 이름에 ~~ 가들어가지 않도록

일괄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글로 쓰는 것도 어렵지만

말로 하는것도

정말 어렵네요

전달하고자 하는것도 제대로 안되고

버벅버벅거려서

이해도를 떨어뜨리는게 아닌가 싶지만

도움이 되실까 해서

영상 제작해서 올려보구요

(영상에서 놓친 부분이 많아 글도 꼭 확인해주셔야 해요)

https://youtu.be/X65S1IZBDuM

퀄러티도 떨어지고

영상편집 공부에 대한 필요성을

많이 느낍니다 ㅎㅎ

잘하시는 분들 부럽부럽..

폰으로 보시거나

영상화질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캡쳐화면을 다시 구성해서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Xmp lrtemplate 변환 - Xmp lrtemplate byeonhwan

이는 업데이트 이후에 대한 설명이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라이트룸을 열어줍니다.

위에 EDIT를 열어 Preferences 클릭

Xmp lrtemplate 변환 - Xmp lrtemplate byeonhwan

Preferences (환경설정)에

preset 탭에 들어가면

1,2번과 같은 상자가 나오는데

1번 : 업데이트 이후 저장되는

프리셋 경로

2번 : 업데이트 이전부터 쭉 저장되는

프리셋 경로

를 나타냅니다.

자 여기서는 영상에서 설명못한 부분을

보충하고자 합니다.

우리가 라이트룸을 사용하면

2번 경로에 프리셋이 저장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2번 파일이 ~~ 표시로 된 파일로만

되어있다면 1번에는 그 프리셋이

저장되거나 읽혀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2번 경로에는 ~~없는 파일로 저장을 시켜줘야

업데이트 이후 제대로 프리셋의 맛을 볼 수 있습니다.

2번을 클릭하여 프리셋 저장 경로에 들어갑니다.

Xmp lrtemplate 변환 - Xmp lrtemplate byeonhwan

Xmp lrtemplate 변환 - Xmp lrtemplate byeonhwan

Xmp lrtemplate 변환 - Xmp lrtemplate byeonhwan

말씀드린바와 같이

파일명 앞에 ~~가 붙어있어요

Xmp lrtemplate 변환 - Xmp lrtemplate byeonhwan

이런식으로 파일명 앞에 ~~를 없애줘야 해요

그리고 나서 라이트룸을 종료시키고

재실행하면

자동으로 xmp 파일로 변환이 되어있습니다.

1번을 클릭하여 새로운 프리셋 경로에 들어갑니다 .

Xmp lrtemplate 변환 - Xmp lrtemplate byeonhwan

Xmp lrtemplate 변환 - Xmp lrtemplate byeonhwan

그러면 파일 이름도 자동으로 xmp 확장자를 가진

파일이 생성됩니다.

Xmp lrtemplate 변환 - Xmp lrtemplate byeonhwan

당연히

라이트룸에 develop(현상) 패널에 들어가면

좌측과 같이 프리셋이 쭉 보이게 되어

사진 작업을 할 수가 있는 것이죠

그런데 말입니다.

xmp 파일로 변환되었다 치고,,

2번 파일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xmp로 변환되더라도

2번 경로의 프리셋 파일들은

또다시 ~~가 생깁니다ㅎㅎㅎㅎ

어렵게 바꾸었는데 말이죠..

자 그래서 이제는 ~~ 없는 lrtemplate파일을

따로 백업해둔 후

다시 2번 폴더에 넣는 방법이 있구요..

이게 가장 현실적입니다.

이유를 말씀드릴께요

그러면 이제 변환해놓으면

xmp로 된 프리셋파일이 있으니

2번 경로의 lrtemplate 파일은

필요없는 것이 아닌가..

제가 실험한 결과는

2번 경로의 lrtemplate파일을

없애도 프리셋 적용 잘되고

새로 프리셋을 생성하면 xmp파일로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당장은...

그러나

떄로는 xmp 파일이 유실되면서

읽혀지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왜? xmp 확장자인데 왜??

그래서 2번 경로의 lrtemplate파일은

필요없는 것이 아니라 백업용으로

반드시 필요합니다. (물론 ~~붙어 있지 않은 상태루요)

왜이렇게 불편하게 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이점만 주의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설명이 헷갈릴 수 있는데

이과정들을 직접 해보시면

어떤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는지

쉽게 아실 수 있을거에요

저는 기다리면

어도비에서 알아서

~~ 없애주는 기능이

생길줄 알았는데

최근들어 업데이트를 해보니

그렇진 않더군요

Xmp lrtemplate 변환 - Xmp lrtemplate byeonhwan

한가지 업데이트 이후 좋은 것은

프리셋 적용의 미리보기가

예전에는 상단에서만 확인 가능했는데

지금은 현재 작업창에서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업데이트하고 사용하는게 좋다는 결론입니다

그리고 프리셋은 너무 많이 올리면

라이트룸이 엄청 무거워지기 땜시

프리셋은 사용할때만 적당히 꺼내 쓰는 것이 좋구요

그래서 더욱더 xmp 변환해놓고 lrtemplate 백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마무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