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 표 밑에 엔터 - wodeu pyo mit-e enteo

컴퓨터로 글을 쓰면서 새로운 행을 시작할 때마다 Enter 키로 줄바꿈을 하거나, 문단을 구분할 때 Enter 키를 여러 번 눌러서 문단 사이의 여백을 만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것은 너무나 일반화된 사용 방법이어서 문제가 있다는 인식조차 드문 것이 현실입니다.

다음은 줄바꿈을 위해 사용하는 Enter 키와 Shift + Enter 키, 즉 하드 리턴과 소프트 리턴의 차이점과 올바른 사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Enter는 문단을 마칠 때만 사용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Microsoft Windows의 기본 어플리케이션인 워드패드 WordPad 부터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Microsoft Office 의 워드 Word, 파워포인트 PowerPoint 등 서식 Style 을 지원하는 모든 글쓰기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음의 두 가지 타입의 줄바꿈을 지원합니다.

워드 표 밑에 엔터 - wodeu pyo mit-e enteo

하드 리턴 Hard Return

Enter 키를 누르는 것을 하드 리턴 Hard Return 이라고 합니다. 리턴 Return 은 PC에서는 엔터 Enter 라고 부르는 키입니다. 하드 리턴을 입력하면 현재 위치에서 문단을 종료하고 다음 행에서 새로운 문단을 시작하게 됩니다.

  • 글머리 기호 Unordered List 나 번호 매기기 Ordered List 내에서 하드 리턴을 입력하면 현재 입력 중인 항목 Item 을 마치고, 새 항목을 입력할 수 있게 됩니다.
  • HTML 문서라면 <p> 태그를 종료하고 새로운 <p> 태그를 생성하는 것과 같습니다.

워드 표 밑에 엔터 - wodeu pyo mit-e enteo

소프트 리턴 Soft Return

Shift + Enter 키를 누르는 것을 소프트 리턴 Soft Return 이라고 합니다. 제목이 길어서 두 행 또는 그 이상의 행으로 표현해야 할 때, 그리고 문단을 마치지 않고 문단 내에서 강제 줄바꿈만을 할 때 소프트 리턴을 삽입합니다.

  • 글머리 기호 Unordered List 나 번호 매기기 Ordered List 의 항목 내에서의 단순 줄바꿈은 소프트 리턴을 사용합니다.
  • HTML 문서라면 <br /> 태그를 삽입하는 것과 같습니다.

리턴과 엔터 Return vs. Enter

리턴 Return 은 타자기의 줄바꿈에서 유래한 것이기 때문에 커서를 문서의 왼쪽으로 되돌린다는 뜻의 캐리지 리턴 Carriage Return 을 줄여부르는 말입니다. 초창기 대부분의 컴퓨터가 리턴 Return 을 쓰고 있었고 엔터 Enter 라고 표기한 IBM PC가 오히려 특별한 경우였는데, 지금은 애플 계열의 키보드에서만 리턴이 쓰이고 대부분의 경우 엔터가 사용됩니다.

단락을 마칠 때 Enter는 한 번만 입력하세요!

문단 또는 단락 Paragraph 은 글을 이루는 구성 요소입니다. 어떤 글을 통해 전달하려는 바가 있을 때, 내용상 끊어서 구분하는 몇 개의 덩어리로 나눌 수 있을 것입니다. 이와 같은 문장들의 덩어리를 문단 또는 단락이라고 합니다.

단락과 단락을 구분하기 위해 Enter 키를 여러 번 입력하시나요?

단락과 단락 간의 세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Enter 키를 사용하면 문단의 사이마다 빈 단락이 생기게 됩니다. 문서 전체의 통일성을 위해 단락의 사이마다 동일한 수의 빈 단락을 넣어주어야 하는데, 이렇게 생긴 빈 단락은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에 의도하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단락과 단락 사이에서 페이지가 나눠지게 된다면, 페이지의 상단에 빈 단락이 위치해 원치 않은 여백을 만들 수 있습니다. 만약 문서 중간에 콘텐츠를 첨삭한다면, 어느 페이지에서 빈 단락으로 인한 문제가 생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문서의 처음부터 끝까지 검토해야 하는 수고를 해야 할 것입니다.

문단 간의 간격 설정

문단과 문단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문단 간의 간격 조절해야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를 예로 들면 ‘홈’ 탭 → ‘스타일’ 그룹에서 수정하려는 스타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 → 컨텍스트 메뉴 Context Menu 에서 ‘수정’을 선택 →  ‘스타일 수정’ 윈도우 하단의 ‘서식’ 드롭다운 리스트에서 ‘단락’ 선택 → ‘단락 앞’ 또는 ‘단락 뒤’의 간격을 조정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Microsoft Word 또는 워드패드 WordPad 에서는 기본값으로 단락의 뒤에 약간의 간격이 추가되어 단락과 단락을 구분해 주고 있습니다. 파워포인트 PowerPoint 에서는 기본값으로 단락 사이의 간격이 지정되어 있지 않지만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워드 표 밑에 엔터 - wodeu pyo mit-e enteo

워드의 단락 설정

‘홈’ 탭 → ‘단락’ 그룹의 오른쪽 하단의 아이콘 클릭 또는 ‘홈’ 탭 → ‘스타일’ 그룹에서 원하는 스타일을 수정

워드 표 밑에 엔터 - wodeu pyo mit-e enteo

파워포인트의 단락 설정

‘홈’ 탭 → ‘단락’ 그룹의 오른쪽 하단의 아이콘 클릭

요약

문단은 워드프로세상의 기본 단위입니다. Enter와 Shift + Enter를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은 구조화된 문서 Structured Document 작성을 위한 첫걸음입니다.

  • Enter 키는 새로운 문단을 시작할 때 사용해야 합니다.
  • Enter 키는 문단의 끝에서 한 번씩만 입력합니다. 문단 간의 간격을 띄우기 위해 Enter 키를 여러 번 입력하지 않습니다.
  • 단순히 문단 내에서 줄바꿈만 하기 위해서는 Shift + Enter를 사용합니다.

워드 표 (테이블 Table) (3)

지난 시간에 5가지 표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봤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워드의 표의 속성 윈도우를 살펴보면서 워드 표를 어떻게 다룰 지 전략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워드 표의 속성 윈도우를 보는 이유는 속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지 절대 속성 윈도우로 표의 서식을 바꾸려는 것이 아닙니다. 표는 마우스 드래그로 디자인 하시는 것이 100번 편하다는 것을 명확히 하고 넘어 갑니다. 표 속성 창은 표에서 마우스를 우 클릭 하시면 쉽게 보실 수 있습니다.

표에 관한 모든 속성 정보를 여기서 수정할 수 있고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워드 표 밑에 엔터 - wodeu pyo mit-e enteo
41연습파일.docx

워드 표 밑에 엔터 - wodeu pyo mit-e enteo
41연습파일_최종본.docx

  1. 표의 셀 하나 하나는 1개의 작은 페이지 와도 같다

    표의 셀은 크기는 작지만 페이지의 속성 모두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셀 하나에 문단 여러 개를 가질 수 있으며 우측 맞춤, 좌측 맞춤, 가운데 맞춤, 문장 간격 등 대부분의 문서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속성을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셀에 대한 부담을 덜어 버리시고 그냥 작은 페이지이고 어떤 형태의 문단도 페이지에 들어 가는 것이면 셀에도 넣을 수 있다고 개념을 잡고 계세요. 페이지와 다른 점은 머리글 바닥글 페이지 번호를 붙일 수 없다는 것 정도이겠네요.

    위에 구분이 셀의 영역 입니다.

  2. 표 자체는 단락과 같은 속성을 가질 수도 있고 개체와 같은 속성을 가질 수도 있다

    워드에서 단락은 엔터를 치는 순간 단락이 된다고 설명 드렸습니다. 간단한 것 같지만 대단히 중요한 속성 입니다. 이 말은 한 줄에 두개의 단락이 올 수 없다는 말이 됩니다. 그래서 표가 단락의 속성을 가질 때는 표 옆에 다른 설명이나 단락들이 배치를 못하게 됩니다.

    표의 속성은 텍스트 배치가 없음 일 때 단락 속성을 둘러 싸기 일 때 개체(그림)과 같은 속성을 같습니다.

    1번영역의 첫 번째 옵션이 표를 단락으로 취급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단락과 같은 속성을 가질 때 단락처럼 맞춤 옵션, 들여쓰기 옵션이 활성화 됩니다. 만약 개체 옵션이라면 이 옵션은 선택 불가 입니다.

    2번 영역은 1번 영역에서 없음을 선택 했을 때만 활성화가 됩니다.

    표를 처음 만드시면 표의 속성은 단락 속성입니다. 위 아래로 엔터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표의 좌 우로는 어떠한 단락 속성의 글을 배치 하실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다른 개체는 역시 배치 할 수 있습니다. 표는 대개 문서를 더 프로페셔널하게 보이고 싶어 사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표에 둘러 쌓기 옵션을 넣고 이리저리 다른 옵션을 변경하는 것 보다 표가 표만의 단락을 가지고 다른 단락과 분리 되는 것이 훨씬 깔끔하고 보기 편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표는 왼쪽 맞춤, 가운데 맞춤, 오른쪽 맞춤 세 가지면 충분하며 들여쓰기 옵션은 걍 쓰지 마세요. 만약 표에 설명을 깃들이고 싶으시면 표의 속성을 개체로 바꾸시는 것보다 개체를 표 옆에 이동하는 것이 훨씬 간편하고 나중에 문서 형식을 더욱더 쉽게 해줍니다. 문서의 길이가 길어 질수록 개체는 가끔 예상 밖으로 변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표를 개체로 지정해서 사용하시다 보면 정말 짜증나는 문제에 많이 부닥칩니다.

    표에 설명을 달고 싶다면 이동이 간편한 텍스트 상자를 이용하면 됩니다. 굳이 표 속성을 둘러 싸기로 바꾸고 단락 배치한다고 골머리 썩지 마세요

    이 기본적인 속성만 알아도 표를 마음대로 다루 실수 있습니다 왜냐 하면 표를 옮기다가 텍스트 모양이 엉망이 되면 당황 할 때가 많은데 기본 원리를 모르시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표의 옆에 설명을 달고 싶다면 표의 속성을 개체로 바꾸시지 않아도 됩니다. 대부분의 표가 작성자를 당황 시킬 경우는 표를 옮기실 때 마우스로 이동하시면 표 속성이 자동으로 개체로 바뀌기 때문입니다.

  3. 표를 옮기는 방법

    표는 마우스로 이동을 하면 속성이 바뀐다고 설명 드렸습니다. 마소는 모든 이용자들이 워드를 정확히 이해 하고 있다고 착각하는 것 같습니다. 바로 이 속성 변환 때문에 유저들이 젤 골머리를 앓는 것이며 워드가 어렵다고 느끼게 됩니다. 표를 이동해서 이상하게 서식이 바뀌면 당연히 멀 합니까? 마우스로 다시 표를 끓어오죠. 그러면 표의 속성은 이미 바뀐 상태이어서 원래의 서식으로 돌아오지 않게 되고 유저들은 워드가 깨졌다 라고 착각하며 비관하며 마이크로소프트를 욕합니다. 표를 옮기실 때 항상 단락 형태를 유지 하면서 어떻게 옮길지 설명 드리겠습니다.

    표의 왼쪽 위에 십자가를 클릭해서 표 전체를 선택 하세요 잘라내기를 합니다.

    잘라내기

    컨트롤 + X

    미리 공간을 만들어둔 표를 옮기실 장소에 가서 커서를 찍고 붙여 넣기를 합니다.

    붙여넣기

    컨트롤 + V

    표가 옮겨 졌지만 텍스트 배치는 바뀌지 않았습니다. 이제 옆의 텍스트상자를 드래그로 이동 하시면 됩니다.

    표는단락의성질도가질있고개체의 스타일도가질있는스타일의일종입니다. 그러나단락의성질로표를사용할것을강력히추천드리면서만약표에 설명을붙이고싶다면차라리텍스트상자를배치하시는것이나중에문서를정리훨씬도움이됩니다. 다만 캐주얼글이나짧은글일때는본인께서사용하시고싶은데로표의성질을변환해도무관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