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 별 기호 - wodeu byeol giho

Microsoft 365용 Word Word 2021 Word 2019 Word 2016 Word 2013 Word 2010 Word Starter 2010 더 보기...간단히

Word 문서에 특수 문자, 분수 또는 기타 기호를 쉽게 삽입할 수 있습니다.

기호, 분수, 특수 문자 또는 국제 문자를 삽입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하는 글꼴이 중요합니다. 일부 글꼴에는 문자가 동일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코끼리 글꼴에는 분수 문자가 없는 반면 Verdana는 해당 글꼴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원하는 기호 또는 문자를 찾기 위해 올바른 글꼴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표시는 정적 기호입니다. 클릭하여 확인하거나 선택을 선택하지 않는 대화형 확인란을 찾고 있는 경우 Word 에서 검사 목록 만들기를 참조하세요.

통화(¥), 음악(♫), 확인 표시(✔) 등의 기호

  1. 파일에서 기호를 삽입하려는 위치에 커서를 둡니다.

  2. 기호 삽입 > 로 이동

    워드 별 기호 - wodeu byeol giho
  3. 기호를 선택하거나 더 많은 기호를 선택합니다.

  4. 위 또는 아래로 스크롤하여 삽입하려는 기호를 찾습니다.

    글꼴 집합마다 기호가 서로 다르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호는 Segoe UI 기호 글꼴 집합에 있습니다. 기호 목록 위의 글꼴 선택기에서 탐색할 글꼴을 선택합니다.

  5. 원하는 기호를 찾았으면 두 번 클릭합니다. 기호가 파일에 삽입됩니다.

  6. 닫기를 선택합니다.

팁: 기호를 크거나 작게 만들려면 해당 기호를 선택하고 글꼴 크기 설정을 사용하세요.

자주 사용하는 기호는 자동 고침 되도록 설정하면 편리합니다. 자세한 방법은 자동 고침을 사용하여 확인 표시 또는 기타 기호 삽입을 참조하세요.

  1. 특수 문자를 삽입할 위치를 클릭하거나 탭합니다.

  2. 추가 기호 >삽입 > 로 이동합니다.

  3. 특수 문자로 이동합니다.

    워드 별 기호 - wodeu byeol giho
  4. 삽입하려는 문자를 두 번 클릭합니다.

    팁: 특수 문자 중에는 바로 가기 키가 연결된 문자가 많습니다. 나중에 또 이러한 특수 문자를 삽입하려면 바로 가기 키를 누르면 됩니다. 예를 들어, ALT+CTRL+C를 누르면 저작권 기호(©)가 삽입됩니다.

  5. 닫기를 선택합니다.

일부 분수(1/4, 1/2 및 3/4)는 입력할 때 분수 문자(1/4, 1/2, 3/4)로 자동으로 전환됩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1/3, 2/3, 1/5 등)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호를 기호로 삽입하려면 삽입 기호 프로세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1. 분수 삽입하려는 곳을 클릭하거나 탭합니다.

  2. 추가 기호 >삽입 > 로 이동합니다.

  3. 하위 집합 드롭다운에서 숫자 형식을 선택합니다.

    워드 별 기호 - wodeu byeol giho

    참고: 숫자 형식 하위 집합이 없는 글꼴도 있습니다. 선택한 글꼴에 숫자 형식 하위 집합이 없으면 Calibri와 같은 다른 글꼴을 사용하여 분수 문자를 삽입해야 합니다.

  4. 삽입하려는 분수를 두 번 클릭합니다.

  5. 닫기를 선택합니다.

자주 사용하는 몇 개의 분수에만 대체할 수 있는 기호가 있습니다. 8/9처럼 자주 사용하지 않는 분수의 경우, 분자를 위 첨자로, 분모를 아래 첨자로 설정하여 기호처럼 보이게 만들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첨자 또는 위 첨자 텍스트 삽입을 참조하세요.

다른 언어로 입력해야 하는 일이 많다면 키보드 레이아웃을 해당 언어로 바꾸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자세한 내용은 키보드 레이아웃 언어 사용 또는 변경을 참조하세요.

Office에서는 다음과 같이 국제 문자의 키보드 바로 가기 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 CTRL+SHIFT+ALT+? 를 삽입합니다.

  • CTRL+SHIFT+~와 "a"를 이어서 누르면 ã가 삽입됩니다.

  • CTRL+SHIFT+:과 "u"를 이어서 누르면 ü가 삽입됩니다.

국제 문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제 문자에 대한 바로 가기 키 를 참조하세요.

기호의 문자 코드를 바로 가기 키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기호와 특수 문자는 ASCII 또는 유니코드 코드를 사용하여 삽입됩니다. 해당 문자의 코드를 찾아보면 어느 것이 ASCII이고 어느 것이 유니코드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추가 기호 >삽입 > 로 이동합니다.

  2. 목록을 위로 또는 아래로 스크롤하여 원하는 기호를 찾을 수 있습니다. 글꼴 또는 하위 집합을 변경하여 찾아야 할 수 있습니다.

    팁: Segoe UI Symbol 글꼴에는 다양한 유니코드 기호가 있습니다.

  3. 오른쪽 하단에서 문자 코드 상자와 기준: 상자를 볼 수 있습니다. 문자 코드는 이 기호를 키보드로 삽입할 때 입력해야 하는 코드이고, 기준:은 문자의 종류입니다. 기준:이 "유니코드(16진수)"이면 이 문자는 유니코드 문자입니다. 기준:이 "기호(10진수)"이면 이 문자는 ASCII 문자입니다.

워드 별 기호 - wodeu byeol giho

유니코드

워드 별 기호 - wodeu byeol giho

ASCII

ASCII 및 유니코드 정보 및 문자 테이블

ASCII 또는 유니코드 문자 사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ASCII 또는 유니코드 문자 코드 삽입을 참조하세요.

확인 표시 삽입

확인 표시 삽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확인 표시 삽입 을 참조하세요.

추가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기호 입력 대화상자는 Alt,I,S로 쉽게 열 수 있습니다. 통상 업무에서 사용하는 기호 정도만을 사용한다면 기호 입력 대화상자에서 글꼴(F)을 (현재 글꼴)로, 기준(M)을 한국어(16진수)로 맞춰 놓고 쓰면 됩니다.

1. 워드 기본 입력 방식

1.1 기호 입력 대화상자

1.1.1 기호 입력 대화상자 열기

기호 대화상자를 불러올 때 한/글 사용자들은 99.9% Ctrl+F10을 사용하지만, 워드는 바로 가기 키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탓에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 ① 마우스를 사용하여 리본 메뉴에서 삽입 탭 > 기호 > 다른 기호를 선택
  • ② 편집 상태에서 우클릭하면 나오는 바로 가기 메뉴에서 기호 삽입(S) 선택
  • ③ 편집 상태에서 메뉴키, S, Enter
  • ④ 바로 가기 키로 Alt, N, U, M을 입력[키팁]
  • ⑤ 바로 가기 키로 Alt,I,S를 사용[메뉴 엑세스 키]

Alt,I,S는 워드 2003의 메뉴 액세스 키로서 현재 버전의 워드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Insert-Symbol의 의미입니다. Alt+I+S 또는 Alt+I,S로 입력해도 됩니다.

1.1.2 기호 입력 대화상자 구성

기호 입력 대화상자에서 글꼴(F), 기준(M), 하위 집합(U) 선택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기호가 달라집니다. 내용이 복잡할 수 있는데, 실제 사용하는 방법은 바로 아래 [1.1.3 사용 방법]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워드 별 기호 - wodeu byeol giho
  • ① 글꼴(F) : 글꼴마다 지원하는 기호의 범위가 다릅니다. 맑은 고딕 바탕·돋움·굴림·궁서 등 통상 사용하는 한국어 글꼴은 대체로 지원하는 범위가 비슷합니다. 딩뱃, ⑯이상의 원 문자 등은 나눔고딕, Kopub 바탕체·돋움체, Noto Sans·Serif KR, Wingdings, MS Gothic 등의 폰트를 선택해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② 기준(M) : 문자 배열을 유니코드로 할지 또는 CP949로 할지를 정하는 것입니다. 한국어(16진수)(=CP949)가 유니코드(16진수)에 비해 기호의 범위가 더 적으나, 하위 집합 이름이 더 직관적이어서 기호를 찾기가 편합니다. 통상적인 문서 작성에 필요한 기호는 한국어(CP949)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 ③ 하위 집합(U) : 기준(M)에서 유니코드나 한국어(CP949)를 선택하면 그에 따른 블록명이 하위 집합으로 표시됩니다[1.2.2 유니코드 기준 하위 집합, 1.2.3 한국어 기준 하위 집합].
  • ④ 문자 코드(C) : 찾는 기호의 16진수 코드를 알고 있으면, 하위 집합을 선택할 필요 없이 여기에 바로 입력하면 됩니다[2.3.3 16진수 코드로 입력]. 현재 글꼴이 문자 코드에 해당하는 기호를 지원하는 경우에만 선택됩니다.
  • ⑤ 최근에 사용한 기호(R) : 최근에 사용한 기호가 순서대로 표시되며, 한/글처럼 목록에서 삭제하거나 사용자 지정 기호표를 따로 만들 수는 없습니다.
  • ⑥ 자동 고침(A) : 현재 선택한 기호를 자동 고침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3.2 자동고침으로 설정].
  • ⑦ 바로 가기 키(K) : 현재 선택한 기호에 바로 가기 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3.1 바로 가기 키 설정].
  • ⑧ 바로 가기 키 : 워드 편집 상태에서 16진수 코드로 바로 입력할 수 있는 키가 표시됩니다[2.3.3 16진수 코드로 입력].

1.1.3 요약 - 기호 입력 대화상자 사용 방법

업무용 문서에서 통상적인 범위의 기호를 사용한다면, 글꼴(F)을 (현재 글꼴)로 설정한 후, 기준(M)을 한국어(16진수)로 맞추고 해당하는 하위 집합(U)을 선택하여 기호를 찾아 입력합니다.

  • 워드는 폰트마다 줄 간격이 다르므로 기호의 폰트도 현재 폰트에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글꼴(F)을 (현재 글꼴)로 지정합니다[1.3.1 (현재 글꼴)].
  • 기준(M)을 한국어(CP949)로 맞춰 놓으면 하위 집합(U)에서 기호를 찾기가 더 편합니다.
  • (현재 글꼴)과 한국어(16진수)로 맞춰 놓고 기호를 한번 입력해 놓으면, 기호 입력 대화상자를 다시 열었을 때 이 설정이 유지됩니다.

딩뱃, ⑯이상의 원 문자 등을 입력하려면, 글꼴(F)을 나눔고딕, KoPub 바탕체·돋움체, Noto Sans·Serif KR, Wingdings, MS Gothic 등 지원하는 폰트로 설정한 후, 기준(M)을 유니코드(16진수)로 맞추고 해당하는 하위 집합(U)을 선택하여 기호를 찾아 입력합니다.

  • 딩뱃, ⑯이상의 원 문자 등은 나눔고딕, Kopub 바탕체·돋움체, Noto Sans·Serif KR, Wingdings, MS Gothic 등에서만 지원됩니다. 각 기호별로 지원되는 폰트는 딩뱃, 원 문자 ⑯~㊿, Ⓐ~Ⓩ, 🅐~🅩, 괄호 문자 ⒃~⒇, 로마 숫자 Ⅺ~Ⅻ, 체크 박스 ☐ ☑ ☒ ✓ ✔ ✗ ✘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딩뱃 등의 기호는 대부분 한국어(CP949)에 없으므로 기준(M)을 유니코드(16진수)로 선택해야 합니다.
  • 2610, 2611, 2612 등 해당 기호의 16진수 코드를 알고 있으면 하위 집합(U)을 찾을 필요 없이 문자 코드(C)에 직접 입력하면 됩니다.

1.2 워드 기호표 하위 집합

1.2.1 기호표 선택

워드가 한/글에 비해 기호(특수문자) 입력이 어려운 것은 기호표에서 원하는 기호를 빨리 찾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한/글 HNC 문자표의 배열그룹(문자 영역)은 '전각 기호(로마자), '전각 기호(선/단위)' 등과 같이 그 이름 자체로 직관적이어서 원하는 기호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워드 기호표의 배열그룹(하위 집합)은, 가령 제곱미터 기호(㎡) 등 단위 기호가 '한중일 호환'으로 되어 있어 하위 집합만으로는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급한 마음에 스크롤을 쭉 내리다 보면 어느새 '...有內鬼終止交易...' 이 분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애타게 찾는 ㎡는 기호표에 없는 것이 아니고 방금 지나갔습니다.

워드 기호표의 하위 집합은 기호표 구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기호표의 구성은 유니코드(16진수), ASCII(10진수), ASCII(16진수), 한국어(16진수) 4가지가 있는데, 이중 유니코드(16진수)와 한국어(16진수)가 실제 쓰는 것입니다. 기호표 오른쪽 아래 기준(M)에서 선택할 수 있고, 한번 선택해서 기호를 입력하면 다음에 기호 입력 창을 열었을 때 그 기준이 그대로 유지됩니다.

기본은 유니코드(16진수)로 설정되어 있지만 한국어(16진수)의 하위 집합이 좀 더 찾기 편합니다. 일단 워드 기호 입력 창을 열고 한국어(16진수)를 선택한 후 아무 기호나 입력해 놓으면 한국어(16진수)로 계속 유지됩니다.

워드 별 기호 - wodeu byeol giho

1.2.2 유니코드 기준 하위 집합

기호 입력 창 아래 기준(M)이 유니코드(16진수)로 되어 있으면 하위집합은 유니코드의 블록 이름으로 표시됩니다.

워드 별 기호 - wodeu byeol giho

맑은 고딕 기준으로 문자표 하위집합은 다음과 같습니다(일반 문자 제외). 기본 설정이기는 하나, '숫자 형식, 한중일 호환' 등의 하위 집합은 기호를 연상하기가 어렵습니다.

하위 집합 기호
일반 문장 부호 – — ― ‘ ’ ‚ “ ” „ † ‡ • ‥ … ‰ ′ ″ ‹ › ※ ‼ ⁇ ⁈ ⁉
위 첨자 및 아래 첨자 ⁴ ⁿ ₁ ₂ ₃ ₄
통화 기호 ₠ ₡ ₢ ₣ ₤ ₥ ₦ ₧ ₨ ₩ ₪ ₫ € ₭ ₮ ₯ ₰ ₱
글자 모양 기호 ℃ ℉ ℓ № ℡ ™ Ω Å
숫자 형식 ⅓ ⅔ ⅛ ⅜ ⅝ ⅞ Ⅰ Ⅱ Ⅲ Ⅳ Ⅴ Ⅵ Ⅶ Ⅷ Ⅸ Ⅹ ⅰ ⅱ ⅲ ⅳ ⅴ ⅵ ⅶ ⅷ ⅸ ⅹ
화살표 ← ↑ → ↓ ↔ ↕ ↖ ↗ ↘ ↙ ⇒ ⇔
수학 연산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기술 기호
괄호 영숫자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⑪ ⑫ ⑬ ⑭ ⑮ ⑴ ⑵ ⑶ ⑷ ⑸ ⑹ ⑺ ⑻ ⑼ ⑽ ⑾⑿ ⒀ ⒁ ⒂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상자 그리기 기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네모 기호
도형 기호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기호 ★ ☆ ☎ ☏ ☜ ☞ ♀ ♂ ♠ ♡ ♣ ♤ ♥ ♧ ♨ ♩ ♪ ♬ ♭
한중일 기호 및 문장 부호 、 。 〃 〈 〉 《 》 「 」 『 』 【 】 〓 〔 〕 〮 〯
한중일 괄호 문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중일 호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세로꼴 ︐︑︒︓︔︙
한중일 호환꼴 ︰︵︶︷︸︹︺︻︼︽︾︿﹀﹁﹂﹃﹄﹇﹈
반자 및 전자 !"#$%&'()*+,-./0123456789:;<=>?@ABCDEFGHIJKLMNOPQRSTUVWXYZ[\]^_`abcdefghijklmnopqrstuvwxyz{|}~ᅠᄀ ᄁ ᆪ ᄂ ᆬ ᆭ ᄃ ᄄ ᄅ ᆰ ᆱ ᆲ ᆳ ᆴ ᆵ ᄚ ᄆ ᄇ ᄈ ᄡ ᄉ ᄊ ᄋ ᄌ ᄍ ᄎ ᄏ ᄐ ᄑ ᄒ ᅡ ᅢ ᅣ ᅤ ᅥ ᅦ ᅧ ᅨ ᅩ ᅪ ᅫ ᅬ ᅭ ᅮ ᅯ ᅰ ᅱ ᅲ ᅳ ᅴ ᅵ ¢£¬ ̄¥₩
특수 문자

1.2.3 한국어 기준 하위 집합

기호 입력 창 아래 기준(M)이 한국어(16진수)로 되어 있으면 하위집합은 한글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인코딩 방식인 CP949를 기준으로 배치됩니다.

워드 별 기호 - wodeu byeol giho

맑은 고딕 기준으로 문자표 하위집합은 다음과 같습니다(일반 문자 제외). '기호 1~3'은 구분이 잘 안 되지만, '로마 숫자', '단위, '원 문자'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하위 집합 기호
반자 알파벳   ! " # $ % & ' ( ) * + , - . / 0 1 2 3 4 5 6 7 8 9 : ; < = >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 _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
기호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호 2 ⇒ ⇔ ∀ ∃ ´ ~ ˇ ˘ ˝ ˚ ˙ ¸ ˛ ¡ ¿ 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호 3 ! " # $ % & ' ( ) * + , - . / 0 1 2 3 4 5 6 7 8 9 : ; < = >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 _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
로마 숫자 ⅓ ⅔ ⅛ ⅜ ⅝ ⅞ Ⅰ Ⅱ Ⅲ Ⅳ Ⅴ Ⅵ Ⅶ Ⅷ Ⅸ Ⅹ ⅰ ⅱ ⅲ ⅳ ⅴ ⅵ ⅶ ⅷ ⅸ ⅹ
상자 그리기 기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위 ㎕ ㎖ ㎗ ℓ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Ω ㏀ ㏁ ㎊ ㎋ ㎌ ㏖ ㏅ ㎭ ㎮ ㎯ ㏛ ㎩ ㎪ ㎫ ㎬ ㏝ ㏐ ㏓ ㏃ ㏉ ㏜ ㏆
원 문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⑪ ⑫ ⑬ ⑭ ⑮ ½ ⅓ ⅔ ¼ ¾ ⅛ ⅜ ⅝ ⅞
괄호 문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⑴ ⑵ ⑶ ⑷ ⑸ ⑹ ⑺ ⑻ ⑼ ⑽ ⑾ ⑿ ⒀ ⒁ ⒂ ¹ ² ³ ⁴ ⁿ ₁ ₂ ₃ ₄

1.3 글꼴 선택

1.3.1 (현재 글꼴)

기호 대화상자 글꼴(F)은 보통 '맑은 고딕'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워드에서 배수 줄 간격 기준은 글꼴(폰트)마다 다르고, 맑은 고딕이 다른 글꼴에 비해 줄 간격이 넓기 때문에 맑은 고딕 글꼴로 기호를 삽입하면 그 줄의 간격이 벌어집니다[바탕체 등 글꼴 사용 2. 바탕체와 맑은 고딕을 같이 사용할 때의 줄 간격 문제]. 특히 기호는 언뜻 봐서는 글꼴(폰트)이 다른 것을 알기 어렵기 때문에 줄 간격이 벌어지는 이유를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글꼴(F)은 (현재 글꼴)로 지정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한번 (현재 글꼴)로 지정하여 기호를 삽입하면 그다음에 기호 대화상자를 다시 열어도 (현재 글꼴)로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워드 별 기호 - wodeu byeol giho
[1.3.A] 글꼴(F)을 (현재 글꼴)로 선택하고 실제 기호를 한번 삽입(I)하면 이후에도 계속 (현재 글꼴)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1.3.2 Wingdings

특이한 화살표나 이모티콘 등은 한글 글꼴(맑은 고딕, 바탕체 등)이 아닌 Segoe UI, Wingdings 같은 딩뱃(Dingbat) 글꼴에서 제공됩니다. 따라서 이모티콘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입력 글꼴을 바꿔야 합니다. Wingdings 등에 관한 내용은 [4.1 딩뱃 폰트 - 글머리 기호, 이모티콘]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워드 별 기호 - wodeu byeol giho
[1.3.B] '글꼴'을 'Wingdings'으로 지정하면 이모티콘이 나옵니다.

※ 수정 이력

  • 최초 게시 : 2020. 8. 9.
  • [1.2 위드 기호표 하위 집합] 유니코드와 한국어로 세분화 : 2021. 5. 2.
  • [1.1.2 대화상자 구성, 1.1.3 대화상자 사용 방법] 추가 : 2021.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