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간에 좋은 음식 - wi gan-e joh-eun eumsig

입력 2020.04.15 11:15 수정 2020.04.16 15:18 조회수 76,496 입력 2020.04.15 11:15수정 2020.04.16 15:18 조회수 76,496

위 간에 좋은 음식 - wi gan-e joh-eun eumsig
[사진=jv_food01/gettyimagesbank]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여러 가지 제한 조치가 시행되면서 스트레스와 활동 부족으로 소화불량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런 증상을 없애려면 위장 기능을 건강하게 유지해야 한다.

위장이 튼튼해야 음식물 소화를 잘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위와 장을 통해 음식물 흡수가 잘 이뤄져야 인체의 면역 체계와 신경 시스템 등도 원활하게 가동된다.

소화불량에 시달리고 있다면 위장 기능을 강화시켜주는 식품에 눈을 돌려보자. 이와 관련해 ‘데일리라이프닷컴’이 소개한 위장을 건강하게 만들고 소화력을 촉진시키는 식품 7가지를 알아본다.

1. 플레인 요구르트

당분이나 지방이 전혀 들어있지 않거나 조금 들어 있고 신 맛이 나는 플레인 요구르트이어야 효과가 있다. 신 맛은 우유를 발효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젖산 박테리아가 반영된 결과다.

요구르트를 정기적으로 섭취하면 락토바실러스와 비피더스와 같이 인체에 유익한 세균을 증가시킨다. 이런 유산균들은 비타민 A, B와 K 등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고 이는 소화기 계통을 튼튼하게 해준다.

2. 마늘

주성분인 알리신은 소화를 촉진하고 비타민 B의 완전 흡수를 돕는다. 특히 암을 억제하고 암의 진행을 지연하는 효과가 있다. 마늘은 모양은 반듯반듯하고, 껍질 표면이 윤기 있고 뽀얀 회백색이 도는 것이 좋다.

3. 식초

타액과 위액 분비를 촉진하여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 흡수를 돕는다. 식초는 초산, 구연산, 아미노산, 호박산 등 60여 종류 이상의 유기산이 포함된 필수 영양제이면서도 미네랄과 비타민 등 각종 영양소의 체내 흡수를 돕고 중매해주는 촉진제이기도 하다.

4. 브로콜리 등 십자화과 채소

배추를 포함해 양배추와 브로콜리, 순무, 케일 등 십자화과 채소는 내장 건강을 위해 좋은 식품이다. 이들 식품들은 섬유질과 함께 다양한 식물성 영양소와 비타민, 미네랄 등을 함유하고 있다.

식물성 영양소는 유익한 세균 수를 증가시켜 내장을 튼튼하게 만들어줄 뿐만 아니라 항염증 및 산화 방지제 성분도 함유하고 있다. 십자화과 채소의 섬유질은 특히 음식물이 소화기 계통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십자화과 채소에는 비타민 U도 들어있다. 비타민 U는 항 궤양성 비타민으로 단백질과 결합해 손상된 위벽을 보호해 소화 궤양을 치료하고 세포를 튼튼하게 만들어 준다.

5. 생강

생강은 아시아에서 전통적으로 위장에 가스를 배출시키고 복부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완화시켜주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념으로 사용하면 소화 기관을 편안하고 부드럽게 해준다.

생강의 매운맛 성분인 진저롤은 항염증 기능을 갖고 있고 위장이 불편한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미생물에 대항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6. 옥수수

위와 장을 튼튼히 한다. 소화 효소 작용으로 소화액의 분비를 높여 식욕과 소화를 촉진하고, 장의 연동운동을 활발하게 한다. 따라서 변통이 조절되며, 장내 유익균의 기능도 돕는다.

7. 베리류

블루베리, 라즈베리, 딸기 등 베리류의 열매들은 소화에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있는 식품이다. 섬유질과 산화 방지제,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 등을 함유하고 있다.

우리 몸에 있는 활성산소를 해가 없는 물질로 바꿔주는 항산화물질 중 하나인 폴리페놀은 소화기 계통의 우호적인 세균을 활성화시킨다.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s://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인간으로서 몸을 보호하고 생명을 유지하는데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바로 의식주다. 세  가지 중 가장 중요한 것 하나만 고르라면 주저 않고 ‘음식’을 고르겠다. 옷과 집은 외부의 물리적인 힘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주지만 음식은 생명을 유지하도록 각각의 세포들을 먹여 살리기 때문에 옷이나 집과 달리 음식을 중단하면 사람은 한 달도 못 살고 죽는다.

위 간에 좋은 음식 - wi gan-e joh-eun eumsig
 

음식은 먹거나 마실 수 있는 모든 것을 가리키는 말로 주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무기질 등 영양소와 물이 포함돼 있다. 인체의 장기 중 간(肝)은 음식으로 섭취된 영양분이 통과하는 첫 관문이다. 위에서 분해되고 소장에서 흡수된 영양분은 간문맥이라는 혈관을 통해 간으로 이동한다. 간은 우리 몸에 필요한 단백질과 여러 가지 영양소를 만들어 내고 저장하며 건강을 해치는 나쁜 물질들을 해독한다. 마치 거대한 생화학공장과도 같다.

포털사이트의 검색창에 ‘간에 좋은 음식’을 입력하면 수도 없이 많은 글이 올라와 있다. 산낙지, 청국장, 다슬기, 부추, 당근, 마늘, 블루베리, 호두를 비롯해 결명자, 구기자와 같은 차, 헛깨나무, 밀크시슬과 같은 건강기능식품 등 많은 것들이 나열돼 있다. 하지만 임상시험으로 입증되지 못했고 무턱대고 많이 먹으면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

특히 어느 한 장기를 위한 과도한 음식은 오히려 다른 장기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알코올분해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이 심장에 좋다고 매일 와인을 마실 경우 알코올성간질환 발생가능성이 높아진다. 콩팥기능이 떨어져 있는 사람이 시금치 같은 녹색채소를 많이 먹으면 혈중칼륨수치가 높아져 심장마비위험성도 생긴다.

간에 좋은 음식을 먹기에 앞서 개인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다른 질환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개인의 특성에 따른 균형 잡힌 식단이 기본이 돼야 한다. 일반인이나 만성간염환자는 고단백, 고열량, 고비타민 식사를 하는 것이 원칙이고 간경화환자들은 간 전문의와 식이상담을 하는 것이 좋다.

단백질 보충은 간세포 재생을 돕는다. 생선, 콩, 두부, 기름기를 제거한 살코기, 달걀, 우유가 좋고 가능하면 식물성 단백질이 좋다. 하지만 간경화가 있는 경우 간성혼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단백질 섭취를 줄여야 한다.

  모든 음식물은 간에서 대사돼 우리 몸에서 필요한 에너지로 전환된다. 간이 나쁘면 에너지를 충분히 만들어 내지 못하거나 간에서 다 써버려 쉽게 피곤해진다. 이 때는 단순당이나 지방이 아닌 현미, 잡곡, 통밀, 율무, 팥, 수수, 보리 등의 곡류가 좋다. 단 비만이나 고지혈증 환자는 고열량음식으로 인한 지방간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고비타민과 무기질이 함유된 녹황색채소인 부추, 미나리, 쑥갓, 브로콜리, 시금치 등과 담색채소인 앵배추, 마늘, 콩나물, 영지버섯, 표고버섯, 미역, 파래, 김 등과 함께 오렌지, 귤, 블루베리는 간내 각종 대사를 촉진하고 간세포를 재생하며 항산화작용을 통해 간암까지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에 좋은 음식을 먹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간에 해가 되는 음식을 피하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 백 번 잘하다가도 한 번 실수로 순식간에 간이 파괴돼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편에는 간에 나쁜 음식과 이상한 음식들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 칼럼의 내용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헬스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위 간에 좋은 음식 - wi gan-e joh-eun eumsig
�����/����=Ŭ����Ʈ�ڸ���

�� ������ ���η����� ���� ����� '��' ������ �ǽ��ؾ� �Ѵ�. ���� �̷� ������ ��Ÿ���� ���� ������ �����Դ� �� ������ ��, ���ؾ� �� ������ �˾Ƶδ� �� ����.

�޼� ���� �����֡�Ŀ�� ���ϰ�, �� ���ž�
�� ����, ��ġ ���� ���� ������ ��� �� �� ����, �����ֽ� �����ݸ���Ŀ�ǡ�ź�����Ḧ ������ �� ��ȭ�� �� �ִ�. ����������ȸ�� � ������ �̷� ��ǰ�� ������ ���� �к�ǰ� ����ų�, �����ĵ� ���̿��� ������ ������ ���� ������� ���ϰ� �����. �������� �ڱ��� ������ �����ϱ⵵ �Ѵ�. �ݸ� ��(�)�� ��ġ ������ ��ȭ�ϴ� ȿ���� �ִ�. ���� ��κп� ��� �ִ� �׿��ʸ��̶�� ������ ��ġ ������ �����ϴ� �Ƶ���� ȣ������ ����� ����߸��� �����̴�. � ������ ���� �󸶳� ���ž� Ư�� ȿ���� �������� ���ؼ��� ���� �������� �ʾҴ�. �ٸ�, ������ ������� Ŀ�� ��� ���� ���÷� ���ô� �� ������ �ȴٰ� �˷�����.​

�����η��� �������ġ��� ���ϰ�, ���� �Ծ��
���� ���η��� ������ ����� ���� ������ ���� ���� �㰨��Ƣ�衤���� ���� �⸧�� Ƣ�� ���� �������ġ�� ���� ����ǰ �㻧������ũ���� ���� �а��� ���� ���ᡤ���ġ�����ߡ����� ���� ���̼����� ���� ��ǰ�� ������ �� ��ȭ�� �� �ִ�. �̱���ȭ����ȸ���� ���ϸ� ������Ƣ��ó�� ������ ���� ��ǰ�� �������� ���� ���� ���� ���� ���� �������� �����, �� � �ɷ��� ����߷� ������ ������ �������� ���� �����Ѵ�. ����ǰ�� ���� �Է��� ���� ����� ������ ���δ�. �а��� ������ �����忡�� ������ ���ء��������� �ʰ� ���忡 ���� ��ȿ�Ǹ鼭 ������ ������ �� �ִ�. ���� �ᡤ����� �� ���̼����� ���� ��ǰ�� ��ȭ�ҷ� ������ ��ȭ�� �� �ִ� ������ ��Ÿ����. ���̼����� ������ ���ص��� �ʾ� �忡 �ִ� ������ ��ȿ��Ű�� ��ȭ�� ��Ű�µ�, �� �������� ��ź ���� ���� ���� �߻��� ���η��� ������ �����ϱ� �����̴�. ����ߴ� �� ������ ��ȣ�ϴ� ȿ���� �־� ���� ��ȭ�� ������ ������, ��ȭ�ҷ� ���󿡴� ȿ���� ������ ���� ������ ������ ������ ��ȭ��ų �� �ִ�.

�ݸ� �ҡ������� ��ȭ�ҷ� ���� ��ȭ�� ������ �ش�. ���� ���忡�� ������ ��ȭ�������ǹǷ� ��ź �� ������ ���� �����Ѵ�. ������ ���� ���η����� ���̴� �� ������ �ȴ�. 24���� ���ο��� �������� ���� ĸ���� �԰� �� �� ���� ��ȭ�� �������, ������ ���� ���� �ִ� ���Ĺ��� ������ �����Ű�� ȿ���� �־��ٴ� ���� ����� �ִ�.

    ����� �ǰ��� ���� ��ǰ,�����֡�����ݸ�, �׸��� '�̰�'����ߡ�����ݸ��� ���� �� �縣��~����, �Ƹ��, '�̰�'�� �ָ� �����ִ� ��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