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엑셀(Excel)에서 외부 데이터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 웹페이지에 있는 특정 데이터 표를 엑셀로 연결하여 사용하기.

How to..

1. 먼저, 엑셀로 가져 올 특정 데이터가 있는 웹페이지의 주소(URL)를 복사한다.

2. 엑셀 메뉴에서 '데이터 - 새쿼리 - 기타 원본에서(O) - 웹에서(W)' 클릭.(그림①)

3. 복사해둔 주소(URL)를 URL 입력란에 입력 후 '확인' 버턴 클릭.(그림②)

4. '탐색 창' 좌측 리스트에서 엑셀로 가져올 데이터 선택 후 하단의 '로드' 버턴 클릭.(그림③)

5. 해당 데이터가 엑셀에 로드되어 보여 집니다.(그림④)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0123

아래 사이트처럼 표를 엑셀에 긁어오고 싶을 때 쓸 수 있는 방법이다. (드래그해서 컨트롤c/v말고)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웹에 표기된 표를 가져오는 방법을 알아보자

긁어서 가져오는 방법 말고 웹데이터를 가져오는 다른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웹이랑 연결되기 때문에 이 방식대로 웹데이터로 가져온다면

표가 유연하게 변경이 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1. 데이터 탭> 데이터 가져오기> 웹 사이트 주소 입력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2. 데이터 변환 클릭 (아무것도 테이블에서 바꿀게 업다면 그대로 로드 눌러도 좋다.)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데이터변환을 클릭

3. 한 행에  두값이 들어있고 이를 옆에 열을 추가해줘서 밀어넣기 해보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홈> 열분할> 특수문자 삽입에 있는 줄바꿈으로 선택 (이렇게 줄바꿈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담긴 경우)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열 분할 방법

4. 첫 행을 머리글로 사용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첫 행을 머리글로 사용

첫행을 머리글로 설정해서 날릴 수도 있다. 


5. 데이터 구조 형식 맞추기

이후엔 간단하다. 변환탭에서 열마다 데이터 구조를 잘 맞춰주면 된다.

날짜면 날짜, 숫자면 숫자..

데이터를 구조화하려면 필드별로 형식을 잘 맞춰야한다.

이는 변환 탭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6. 데이터 로드

홈> 데이터로드 눌러주면 된다.


7. 새로고침

웹데이터가 고쳐지는 대로 테이블도 반영되길 원한다면새로고침만 눌러주면 된다.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새로 고침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모두 새로고침

사이트를 제작하거나 게시물을 작성할 때 표 형식으로 자료를 올려야 할 때가 있습니다.

html 또는 자바 등을 사용하여 표를 만들고 하나씩 직접 올리는 방법도 있지만

그 양이 많을 경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하나씩 올릴려면 시간도 많이 걸리고 옮겨 적는 과정에서 실수로 빠트리거나 잘못 적을 수도 있습니다.


미리 엑셀로 된 자료가 있으면 수고스럽게 하나 하나
옮겨 적지 않고 파일을 업로드하여

첨부파일 형식이 아닌 게시물에서 바로 보이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이번에 제가 알려드리는 팁은 

엑셀 문서를 인터넷에 파일 첨부 형태로 업로드하는 것이 아니라

html 형태로 변환시켜서 사이트나 블로그에 직접 글을 게시한 것처럼 올려놓는 방법입니다

웹사이트나 다른 곳에서도 이 방법으로 올리는 것이 가능하며

저는 예제로 티스토리에 엑셀 문서를 업로드하여 보겠습니다.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1. 먼저 자료가 있는 엑셀 파일을 실행합니다.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2. 업로드하고 싶은 부분을 마우스로 드래그합니다.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3. 상단 메뉴에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 (단축키 control + S)을 클릭합니다.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4. 파일 형식을 웹페이지 (.html 또는 .htm)로 변경합니다.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5. 경고창이 뜹니다. 무시하고 예(Y)를 누릅니다.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6. 통합 문서, 시트, 선택영역 중에서 하나를 선택합니다.

표 부분만 가져오면 되기 때문에 [선택 영역]을 체크하고 저장을 누릅니다.

그럼 이제 확장가가 .htm인 문서가 생성됩니다.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7. 파일을 클릭하고 오른쪽 클릭하여 크롬을 이용하여 실행합니다.

익스플로러나 사파리 등 다른 브라우저로 열어도 상관없습니다.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8. 파일을 실행한다. 엑셀에서 보이는 그대로 html 표가 생성되었습니다.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9. 빈 화면을 오른쪽 클릭하여 페이지 소스 보기를 눌러줍니다.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10. 페이지 소스를 확인하는 탭이 열리면
전체 선택 (단축키 : control + A) 후 복사(단축키 : control + C) 합니다.

또는 전체 선택 후 오른쪽 클릭하여 복사를 누릅니다.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11. 이제 티스토리에 새로운 글쓰기를 누르고

우측 상단에 [기본 모드]라고 적혀있는 드롭다운을 클릭하여 HTML모드로 바꿔줍니다.

카테고리를 설정하고 제목을 입력한 뒤 본문 부분에 복사해둔 소스를 붙여 넣어 줍니다.

게시물 공개 후 완료를 실행하면 표가 게시됩니다.

웹 페이지를 엑셀로 - web peijileul egsello

12. 이미지 형태가 아닌 표 자체를 만든 것처럼 게시물이 작성되었습니다.

사실 이 방법을 모르고 있었는데 며칠 전에 많은 양의 자료를

웹사이트에 게시해야 하는 일이 생겨서 어떻게 힘 안 들이고 쉽게 올릴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찾아낸 방법입니다.

이미 알고 계셨던 분도 있으시겠지만 저는 이 방법을 알게되서 너무 신났답니다.

혹시라도 저처럼 고민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어요.

혹시나 제가 잘 못 알고 있거나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답니다.

티스토리 새내기는 앞으로 꾸준히 활동하면서 이것저것 알쓸신잡을 종종 올릴 거니깐 많이 구경 와 주세요~

그럼 모두 건강 조심하시고요. 다음에 만나요. 안녕히 계세요~!